• Title/Summary/Keyword: 대체연료유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Pyrolysis Technologies of Polymer wastes for the Production of Alternative Fuel Oil (대체연료유 제조를 위한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 오일화 기술)

  • 정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Conference
    • /
    • 2000.04a
    • /
    • pp.19-144
    • /
    • 2000
  • 막대한 에너지원을 갖고 있는 고분자 폐기물은 열분해에 의하여 오일화가 가능하며 이 오일은 대체 연료유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연료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폐플라스틱 및 폐타이어의 경우는 공정을 서로 달리하여야 이용이 가능하며 생성유의 유질에서도 다소 차이가 있다. 올레핀계가 함유된 폐플라스틱을 열분해 오일화 하기 위해서는 분해 촉매를 사용하여야 하며 열분해유는 경유분과 d사한 성상을 갖고 있으며 폐타이어의 열분해유는 유황성분 및 BTX 분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어서 경유분과는 다소 다른 성상을 갖고 있다. 또한 폐타이어 및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기술이 사용화되기 위해서는 열분해시 발생하는 Coking 문제 극복 및 시스템에 대한 설계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PDF

The Study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of Industrial Fuel from Mixed Waste Plastics (혼합폐플라스틱으로부터의 대체연료유 생산기술에 대한 실증연구)

  • Lee, Dae-Sik;Lee, Gwang-Sik;Kim, Seong-Ok;O, Se-Cheon;Kim, Su-Ryong;Gwon, U-Tae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405-41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3톤/일의 플라스틱 투입량을 기준으로 혼합폐플라스틱으로부터 대체연료유를 생산할 수 있는 소용량 중심의 폐플라스틱 유화설비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장기간에 걸친 시운전을 통하여 유화설비의 운전성 평가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폐플라스틱으로는 플라스틱 재활용 업체에서 분리 선별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그리고 이들을 혼합한 폐플라스틱을 각각 적용하였으며 $400\sim420^{\circ}C$의 분해 운전온도에서 폐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른 시운전 평가를 하였다. 본 실증연구로부터 폴리에틸렌의 경우에 있어서는 79%의 재생유 회수율을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에 있어서는 80%의 재생유 회수율을 각각 얻을 수 있었으며 플라스틱 종류별 안정적인 운전조건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폐플라스틱 투입량에 대한 설계용량과 운전용량과의 비교로부터 약 40$\sim$50%의 설계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유화설비의 설계를 위하여 사용된 혼합폐플라스틱의 부정확한 물성 값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로부터 얻은 시운전결과를 바탕으로 설계인자들을 확립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ctual Assessment to Introduce Bio-ethanol Blended Fuel in Domestic (국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

  • Yim, Eui-Soon;Min, Kyung-Il;Jeon, Cheol-Hwan;Lee, Don-Min;Kim, Jong-Ryeol;Kim, Seung-Soo;Jang, Eun-Jung;Park, Cheon-Kyu;Jung, Chung-Sub;Kim, Jae-Kon;Lim, Young-Kwan;Shin, Seong-Cheol
    • New & Renewable Energy
    • /
    • v.3 no.4
    • /
    • pp.98-103
    • /
    • 2007
  • 국제 원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에 따라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한 대체에너지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하여 바이오연료의 시용 및 상용보급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디젤은 2002년부터 시범보급사업(Demonstration & disseminatio을 거쳐 2000년 7월부터 전국주유소를 통하여 경유 중에 바이오디젤 0.5%를 혼합한 BD0.5를 수송용 연료로 도입하여 아시아 최초로 상용보급화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휘발유 중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를 2006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수행중이다. 자동차용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을 위해 함산소 기재로 사용되는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바이오에탄올로 대체한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는 수분 혼입에 의한 상 분리(Phase separation)와 금속에 대한 부식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서브옥란가솔린(Sub-octane gasoline)에 혼합하여 상 분리 모사실험, 금속류 부식시험, 고무류 침지실험 등 다양한 품질특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실정에 알맞은 최적의 혼합량(E3, E5)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국에 4개 시범주유소를 운영하여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의 유통 및 보급을 통해 최적의 유통인프라(Distribution infrastructure) 보완 및 구축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 PDF

Actual Assessment to Introduce Bio-ethanol Blended Fuel in Domestic (국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

  • Yim, Eui-Soon;Min, Kyung-Il;Jeon, Cheol-Hwan;Lee, Don-Min;Kim, Jong-Ryeol;Kim, Seung-Soo;Jang, Eun-Jung;Park, Cheon-Kyu;Jung, Chung-Sub;Kim, Jae-Kon;Lim, Young-Kwan;Shin, Seong-Ch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49-653
    • /
    • 2007
  • 국제 원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에 따라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한 대체에너지 빛 온실가스배출감소를 위하여 바이오연료의 사용 및 상용보급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디젤은 2002년부터 시범보급사업(Demonstration & dissemination)을 거쳐 2006년 7월부터 전국주유소를 통하여 경유 중에 바이오디젤 0.5%를 혼합한 BDO.5를 수송용 연료로 도입하여 아시아 최초로 상용보급화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휘발유 중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를 2006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수행중이다. 자동차용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을 위해 함산소 기재로 사용되는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바이오에탄올로 대체한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는 수분 혼입에 의한 상 분리(Phase separation)와 금속에 대한 부식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서브옥탄가솔린(Sub-octane gasoline)에 혼합하여 상 분리 모사실험, 금속류 부식시험, 고무류 침지실험 등 다양한 품질특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실정에 알맞은 최적의 혼합량(E3, E5)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국에 4개 시범주유소를 운영하여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의 유통 및 보급을 통해 최적의 유통인프라(Distribution infrastructure) 보완 및 구축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testing method for storage stability of emulsions used recycling waste oil (유화정제연료유의 안정성 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 Kang, Hyungkyu;Kim, Shin;Lee, Jongeun;Lim, Taeyoon;Choi, Daesung;Jung, Choongsub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58.2-158.2
    • /
    • 2010
  • 본 논문은 정부의 연구 지원에 의해 폐유를 유화 방법으로 재활용한 유화정제연료유의 저장안정성 측정방법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국내외 유화정제연료유 저장안정성 시험방법이 마련되지 않아 ASTM D 3707, 지식경제부 '석유대체연료의 성능평가기준과 품질시험방법 등에 관한 고시' 별표4 유화연료유 저장안정성 평가방법(습식법) 등 유화연료유의 저장안정성 시험방법을 근간으로 하여 $40^{\circ}C$에서 30일 동안 저장용기에 저장하면서 매 10일 마다 상 하층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내용을 언급하였다.

  • PDF

Coparative study on the dynamic properties of fuel oils (연료유(가솔린, 디이젤 연료, 천연가스)의 성능평가 방법 비교 연구)

  • 최주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6
    • /
    • pp.1-22
    • /
    • 1996
  • 연료유(가솔린, 디이젤 연료, 천연가스)의 성능평가 방법으로서 기존 ASTM 표준엔진 시험방법에 많은 단점들이 지적되어 그동안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고에서는 그동안 연구되어온 이들 사항들을 요약 정리하여 서로를 비교코저 하였다. 새로운 여러가지 평가방법들은 석유정제공정의 품질관리, 자동차 생산현장에서의 엔진시험, 연구, 자동차 배기가스 영향 등의 대기환경 연구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해외에서는 최근 이들 방법들의 상업화된 기기의 개발과 시판 사용이 1990년대 접어들면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방법들은 기존의 ASTM 표준엔진 시험 방법의 여러 가지 난점을 극복키 위해 보다 신속, 정확하고 적은 시료의 양, 측정 가동의 편이성, 저렴한 운용 관리비, 많은 시료의 연속적인 측정 용이, 기존 시험엔진에 비해 저렴한 측정기기 가격 등 많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관련 연구소의 엔진시험분야에서 배기가스에 미치는 연료 조성 및 물성의 영향과 동력학적 성질의 예측 등은 매우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관련분야의 품질관리, 연구개발을 위해 본고의 내용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Analysis of dynamic characteristic for the 1Ton/Day-Scale Waste Oil Gasification Process (1톤/일급 폐유 가스화 공정의 동적 특성 해석)

  • 이봉렬;이승종;윤용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517-522
    • /
    • 2003
  • 가스화 용융 기술은 주로 에너지 분야에 적용, 개발되어 온 기술로 폐기물의 에너지화라는 이론 연구에 머물러 왔지만, 최근에서야 효과적인 폐기물 이용을 위한 공정의 개발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향후 연소반응에 근거한 공정을 점차 대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기술은 특히 환경 문제와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가스화 공정을 거쳐 발생되는 생성가스에 포함된 유해 성분이 적고, 저급 에너지를 연료 가스나 연료유 둥의 고급에너지로 전환이 가능한 기술이다.(중략)

  • PDF

New Technology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Alternative Fuel Oil from Thermal Degradation of Plastic Waste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에 의한 대체 오일 생산의 신기술 개발)

  • Lee Kyong-Hwan;Roh Nam-Sun;Shin Dae-Hyun
    • Resources Recycling
    • /
    • v.15 no.1 s.69
    • /
    • pp.37-45
    • /
    • 2006
  • For treating a huge amount of plastic waste with the environment problem, pyrolysis of plastic waste into alternative fuel oil is one or important issue in recycling methods. This study was introduced over the trend or generation of plastic waste, in Korea pyrolysis technology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basic technology in pyrolysis process and new technology of pyrolysis developed in KI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developed in KIER are the continuous loading treatment or mixed plastic waste with an automatic control system, the minimization of wax production by circulation pyrolysis system in non-catalytic reactor, the reuse of gas produced and the oil recovery from sludge generated in pyrolysis plant, which have greatly the advantage economically and environmetally. The experiment result data in 300 ton/yr pilot plant showed about $81\;wt\%$ liquid yield for 3 days continuous reaction time, and also the boiling point distribution of light oil (LO) and heavy oil (HO) produced in distillation tower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gasoline and diesel, respectively.

New Technology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Alternative Fuel Oil from Thermal Degradation of Plastic Waste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에 의한 대체 오일 생산의 신기술 개발)

  • Lee, Kyong-Hwan;Roh, Nam-Sun;Shin, D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Conference
    • /
    • 2005.10a
    • /
    • pp.34-46
    • /
    • 2005
  • For treating a huge amount of plastic waste with the environment problem, pyrolysis of plastic waste into alternative fuel oil is one of important issue in recycling methods. This study was introduced over the trend of generation of plastic waste, pyrolysis technology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basic technology in pyrolysis process and new technology of pyrolysis developed in KI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developed in KIER are the continuous loading treatment of mixed plastic waste with an automatic control system, the minimization of wax production by circulation pyrolysis system in non-catalytic reactor, the reuse of gas produced and the oil recovery from sludge generated in pyrolysis plant, which have greatly the advantage economically and environmetally. The experiment result data in 300 ton/yr pilot plant showed about 81 wt% liquid yield for 3 days continuous reaction time, and also the boiling point distribution of light oil (LO) and heavy oil (HO) produced in distillation tower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gasoline and diesel, respectively.

  • PDF

Process Development of Pyrolysis Liquefaction for Waste Plastics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유화기술 개발)

  • Nho Nam-Sun;Shin Dae-Hyun;Park Sou-Won;Lee Kyong-Hwan;Kim Kwang-Ho;Jeon Sang-Goo;Cho Bong-Gyu
    • New & Renewable Energy
    • /
    • v.2 no.2 s.6
    • /
    • pp.118-125
    • /
    • 2006
  • The target of this work was the process development of demonstration plant to produce the high quality alternative fuel oil by the pyrolysis of mixed plastic waste. In the first step of research, the bench-scale units of 70 t/y and the pilot plant of 360 t/y had been developed. Main research contents in this step were the process performance test of pilot plant of 360 ton/year and the development of demonstration plant of 3,000 t/y, which was constructed at Korea R & D Company in Kimjae City. The process performance of pilot plant of 360 t/y showed about 80% yield of liquid product, which was obtained by both light gas oil(LGO) and heavy gas oil(HGO), The boiling point range distribution of LO product that was mainly consisting of olefin components in PONA group appeared at between that of commercial gasoline and kerosene. On the other hand, HO product was mainly paraffin and olefin components and also appeared at upper temperature distribution range than commercial diesel. Gas product showed a high fraction of $C_3\;and\;C_4$ product like LPG composition, but also a high fraction of $CO_2$ and CO by probably a little leak of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