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체서식처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ssessment of Underwater Acoustics according to Habitat types (서식처 유형에 따른 수중음향 평가)

  • Gu, Jung-Eun;Jung, Sang Wha;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9-479
    • /
    • 2018
  • 하천의 수심, 유속, 하상경사, 하상재료, 만곡도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생물서식처로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그 특성들에 의해 서식처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서식처 유형에 따라 수중음향의 특성이 달라지며, 수중음향의 서식지의 양적 표시자로서 잠재력으로 인해 최근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적인 영향을 적게 받은 자연하천으로 양양 남대천 12개 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서식지의 형태에 따른 수중음향과 하천의 수리적 인자에 따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식처 유형으로는 빠른 유속에 얕은 수심을 가지고 있는 여울(riffle), 수심이 깊고 유속이 느린 소(pool), 낙차가 있는 계단형 여울(step riffle)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중배경음은 여울과 계단형 여울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경음을 나타내었다. H2, H4, H5, H9, H10 지점은 여울 형태로 유속에 따라 H2, H5, H4, H9 지점 순으로 음압레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H10지점은 H9, H4 지점에 비해 낮은 유속임에도 높은 음압레벨을 보였다. 이는 H10 지점의 하상이 조도가 매우 큰 전석으로 이루어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H3, H6, H7, H8, H12 지점은 소 형태로 H12 지점을 제외하고 대체로 낮은 음압레벨을 보였으며, H3과 H6지점에서는 저주파수에서 높은 음압레벨을 보였다. 이는 수심이 깊은 경우 상류의 저주파수의 음파가 잘 전달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H1과 H11지점은 계단형 여울로 낮은 수심에서 빠른 유속을 가진 H11지점과 느린 유속을 가진 H1 지점에서 대체로 높은 음압레벨을 나타내었다. 이는 낙차에 의한 수중음향 발생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세 가지 유형에 따른 수중 음향을 비교하였을 때 음압레벨은 계단형 여울, 여울, 소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중음향이 서식처의 수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물서식처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수중음향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Planning of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Habitat Restoration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서식처 적합성 지수 (HSI)를 활용한 맹꽁이 서식처 복원 계획)

  • Cho, Dong-Gil;Shim, Yun-J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1
    • /
    • pp.62-69
    • /
    • 2016
  •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is the only amphibian species of genus Kaloula living in South Korea. They are designated and managed as endangered class II wildlif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of a habitat restoration study to prevent the extinction of narrow-mouth frog. This study is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direc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s to restore damaged narrow-mouth frog habitats or to suggest alternative habitat options.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of narrow-mouth frog was applied to the research area in Mokpo City of Jeollanam-do Province, in order to present a new narrow-mouth frog habitat. We analyzed the research area based on historical contexts, ecological environment, ecology, and habitat requirements. The research area was divided into the core, buffer, and transition zones according to UNESCO MAB (Man and Biosphere) to establish local land-use plans. As for the foundation of the plan, we divided the habitat composition of the core, where narrow-mouth frog live in, into wetland (spawning area), grassland (shelter and feeding grounds), and forestland (feeding ground). We had a comparative analysis of habitat suitability in pre and post planning of narrow-mouth frog habitat restoration. For the validation study of habitat restoration plans,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on the composition of test-bed, continuous monitoring, and scientific habitat maintenance.

The effect of variations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after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Osan Stream (오산천 하천환경정비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Jea-Su;Kwon, Yong-Duk;Kim, Seong-Hwan;Kim, Kook-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77-981
    • /
    • 2006
  • 본 연구는 오산천 하천환경정비로 인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6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5개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6목 38과 81종이었으며, 년도별로는 2002년에는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나, 2004년에는 36종으로 종수가 급감하였다. ESB에 따른 군집의 생태점수는 2003년도에 45.4에서 2004년도에는 21.7로 낮아졌다가 2005년도에는 31.2로 높아졌다. 이는 하천환경정비공사로 일시적인 교란을 일으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종조성의 변화로는 상류부의 경우 환경정비공사 완료 후 생태계안정화와 추이대가 복원되면서 1급수 지표종인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와 옆새우(Gammarus sp.)가 출현하여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류의 경우는 군집의 종조성이 빈약하지만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면서 수서생물의 서식처가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하상의 물리적 구조와 이와 연관된 유기물 퇴적층과 토사 퇴적층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하도특성에 맞는 안정된 군집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체서식처를 하천환경정비계획 수립 시 고려하여야 한다.

  • PDF

Assessment of A Dam-Wetland Functions Considering Hydrogeomorphic Characteristics (수문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한 댐습지의 기능평가)

  • Kim, Duck-Gil;Shin, Han-Kyu;Kim, Hung-Soo;Kim, J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06-1010
    • /
    • 2010
  • 기존의 댐에 대한 연구는 이 치수 및 전력생산, 환경문제와 같은 댐의 전통적인 기능과 그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으나 댐의 친환경적 활용방안 및 댐에 서식하고 있는 동 식물 및 생태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댐 상류지역 및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는 댐의 수질개선, 희귀 동 식물의 서식처 확보 등과 같은 생태보존, 위락 경관 생태공원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댐유역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습지의 보전뿐만 아니라 훼손에 따른 대체습지(인공습지)의 필요성이 점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댐을 대상으로 댐이 지니고 있는 습지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수문지형학적 방법인 HGM 방법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HGM 방법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습지와 기준습지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의 대상지역은 댐 유역내 습지지역이 조성되어 있는 보령댐으로 선정하였으며, 기준지역은 보전이 잘 되어 있고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우포늪으로 선정하였다. HGM 방법에서의 기능 평가는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식물 서식처 그리고 동물 서식처 측면으로 구분하여 대상지역과 기준지역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댐습지가 지니고 있는 습지의 기능이 자연습지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50%정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댐습지가 습지로서의 역할을 기능적으로 100% 수행을 못하고 있지만, 댐이 습지의 기능을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는 수행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Functional Assessment of Gangcheon Replacement Wetland Using Modified HGM (수정 수문지형학적 방법을 적용한 강천 대체습지의 기능평가)

  • Kim, Jungwook;Lee, Bo Eun;Kim, Jae Geun;Oh, Seunghyun;Jung, Jaewon;Lee, Myungjin;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3
    • /
    • pp.318-326
    • /
    • 2017
  • Riverine wetlands were reduced and damaged by dredging of rivers and constructing parks in wetlands by Four Rivers Project from 2008 to 2013. Therefore, replacement wetlands were constructed for the compensation of wetland loss by the government. However, It is not enough to manage replacement wetlands. In order to manage the wetlands efficiently, it is necessaty to assess the functions of the wetlands and to manage them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Here we performed functional assessments for a replacement wetland called Gangcheon wetland using the modified HGM approach. Hydrological, biogeochemical, animal habitat, and plant habitat functions for the wetland were assessed. To assess the functions, we collected informations for modified HGM approach from the monitored hydrologic data, field survey, published reports and documents for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and hydraulic & hydrologic modeling. As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he hydrological function for the replacement wetland showed 65.5% of the reference wetland, biogeochemical function showed 66.6%, plant habitat function showed 75%, and animal habitat function showed 108.3%. Overall, Gangcheon wetland function after the project was reduced to 78.9% of the function before the project. The decrease in hydrological function is due to the decrease of subsurface storage of water. And the decrease in biogeochemical & pland habitat functions is due to the removal of sandbank around the Gangcheon wetland. To compensate for the reduced func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wetland area and to plant the various vegetation. The modified HGM used in this study can take into account the degree of improvement for replacement wetlands, so it can be used to efficiently manage the replacement wetlands. Also when the wetland is newly constructed, it will be very useful to assess the change of function of the wetland over time.

A Substitute Habitat Planning for 'Kaloula borealis' Based on Wetlands (습지를 기반으로 하는 맹꽁이 대체서식처 조성 계획)

  • Jung, Young Sun;Park, Mi Ok;Koo, Bon Ha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6 no.1
    • /
    • pp.1-15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ke a plan and design the substitute habitat for Kaloula borealis by pre-proposed planning model for wildlife based on wetlands. The habita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status in study area, Shingi village in Gunpo,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and restoration strategies of habitats including conservation, enhancement were established by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and the substitute habitat needed to replace was selected. One of three potential substitute habitats in the same watershed to the original habitat was selected by suitable site assessment. And finally the substitute habitat for Kaloula borealis was planned by the planning indices, and some adults and tadpoles were captured and released into built substitute.

Assessing habitat suitability for timber species in South Korea under SSP scenarios (SSP 시나리오에 따른 국내 용재수종의 서식지 적합도 평가)

  • Hyeon-Gwan Ahn;Chul-Hee Lim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0 no.4
    • /
    • pp.567-578
    • /
    • 2022
  •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have recently emerged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coniferous forests in the highlands are de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whereas the distribution of subtropical species is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forest species in South Korea du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predicts changes in future suitable areas for Pinus koraiensis,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cultivated as timber species based on climate, topography, and environment. Appearance coordinates were collected only for natural forests in consideration of climate suitability in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Future climate data used the SSP scenario by KMA. Species distribution models were ensembled to predict future suitable habitat areas for the base year(2000-2019), near future(2041-2060), and distant future(2081-2100). In the baseline period, the highly suitable habitat for Pinus koraiensi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3.87% of the country. However, in the distant future(2081-2100), it decreased to approximately 0.11% under SSP5-8.5. For Cryptomeria japonica, the habitat for the base year was approximately 7.08%. It increased to approximately 18.21% under SSP5-8.5 in the distant future. In the case of Chamaecyparis obtusa, the habitat for the base year was approximately 19.32%. It increased to approximately 90.93% under SSP5-8.5 in the distant future. Pinus koraiensis, which had been planted nationwide, gradually moved north due to climate change with suitable habitats in South Korea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near future, Pinus koraiensis was not suitable for the afforestation as timber species in South Korea. Chamaecyparis obtusa can be replaced in most areas. In the case of Cryptomeria japonica, it was assessed that it could replace part of the south and central region.

Evaluation on Replacement Habitat of Two Endangered Species,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nd Polygonatum stenophyllum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서식지 적합 지수를 이용한 멸종위기식물 단양쑥부쟁이와 층층둥굴레의 대체서식지 평가)

  • Lee, Bo Eun;Kim, Jungwook;Kim, Nam-Il;Kim, Jae Ge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433-442
    • /
    • 2017
  • As a result of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in Korea, the habitat of endangered plant species of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nd Polygonatum stenophyllum, which had been natively grown in the riparian zone of Namhan River, was destroyed and artificial replacement habitats were created. In this study,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placement habitats are suitable for each species or not. From October 2015 to July 2016, Habitat Evaluate Procedures (HEP) were conducted on two replacement habitat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Gangcheonsum and Sum-River) and on two replacement habitats of P. stenophyllum (Gangcheonsum and Youngjuk) in the Namhan River watershed. As evaluation parameters for A. altaicus var. uchiyamae habitat, habitat matrix (ratio of unburied gravel), height above the ordinary water level, soil nutrients, and light conditions were selected and for P. stenophyllum habitat, soil texture, light conditions, and coverage of companion species were selected. HSI was appli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each replacement habita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replacement habitat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and P. stenophyllum located in Gangcheonsum have relatively high HSI values as 0.839 and 0.846,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replacement habitat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in Sum-River and P. stenophyllum in Youngjuk zone have HSI value of 0, indicating unsuitable habitats for these species.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apply HSI for plant species in Korea and proved the usefulness of HSI on plants.

IHA를 이용한 댐직하류 하천의 수문변화 특성 분석

  • Jang, Chang-Lae;Kim, Jo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16-1120
    • /
    • 2008
  • 댐은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고 있지만, 댐을 철거하자는 많은 NGO와 다른 환경단체들이 주장하는 생태비용의 이유로 최근에 재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댐 건설로 인한 유사의 차단과 첨두 홍수량의 감소는 하천의 장갑화와 유사의 하구이송을 감소시켜 댐 직하류 하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직 간접적인 영향들은 하도 내에 물리적 서식처 형상, 생태학적 연관성, 이로 인해 하천지형학에서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댐 운영이 하류의 하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정량화하는데 있어 기존의 단순한 유황 분석을 통한 갈수량, 저수량, 평수량, 풍수량은 댐으로 인한 하류 하천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문변화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IHA(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 모형을 이용하여 합천댐 직하류 하천의 수문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댐의 유입량과 방류량을 비교한 결과, 대체적으로 홍수기(6월$\sim$9월)에는 댐에 의한 유량 조절효과로 첨두량이 감소하였으며, 그 이외의 월 평균유량은 증가하여 유황이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수문변화율은 댐의 방류량이 유입량보다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수문특성 변화 지표는 댐 유역의 치수, 이수, 환경생태적인 변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적응하는데 있어, 댐 운영을 최적화하거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