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전제어제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대전제어제를 이용한 polymer bead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Seong-Un;O, Yu-Mi;Yun, Hae-Sang;Kim, Gyeong-Su;Kim, Yeong-Jo;Park, Seon-U;Kim, Cheol-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6-176
    • /
    • 2009
  • 대전제어제를 이용하여 양과 음의 전하량을 가지는 토너 입자를 제조하였다. polymer bead와 대전제어제를 각각 용매에 녹인 후 중합하였으며 토너 입자의 크기는 약 $8{\mu}m$로 제조되었고 제조된 토너 입자의 전하질량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polymer bead의 전하량과 대전제어제가 중합된 토너 입자의 전하질량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양의 전하량을 갖는 토너 입자는 약 34.12uC/g로 측정되었고, 음의 전하량을 갖는 토너 입자는 약 -22.5uC/g으로 측정되었으며, 또한 대전제어제가 가지는 양과 음의 특성에 따라 polymer bead의 특성 또한 바뀌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PDF

Nano-sized Silica를 이용한 Polymer bead의 대전 특성에 관한 연구

  • O, Yu-Mi;Kim, Seong-Un;Yun, Hae-Sang;Kim, Gyeong-Su;Park, S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02-202
    • /
    • 2009
  • 대전제어제를 이용하여 전하량을 가지는 토너 입자를 제조하고, 입자의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입자의 표면처리를 하였다. 제조된 토너 입자의 크기는 약 $8{\mu}m$정도이며, 표면 처리를 위해 크기가 약 14nm 정도인 nano-silica를 사용하였다. 대전제어제가 첨가된 토너 입자의 평균 전하질량비는 30.9uC/g이고, 표면처리를 한 입자의 전하질랑비는 외첨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표면처리가 된 입자의 유동성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입자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PDF

Fabrication of counter electr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using surface modified and dispersion controll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표면개질 및 분산제어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 대전극의 제조)

  • Choi, Hee-Jung;Lee, Gi-Won;Park, Nam-Kyu;Kim, Kyung-Kon;Hong, Sung-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445-4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용 표면개질제를 리빙라디칼중합법을 통하여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면개질되고 분산제어된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고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대전극 재료로 사용하였다. 우선 리빙라디칼중합법 중 nitroxide mediated polymerization (NMP) 기술을 이용하여 poly(maleic anhydride-co-p-acetoxystyrene)-block-poly(p-acetoxystyrene)를 합성하고, 공중합체중의 maleic anhydride기에 이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pyrene기를 도입하였다. 공중합체 중의 p-acetoxystyrene 반복단위들은 가수분해 반응을 통하여 p-hydroxystyrene 반복단위로 변환하였으며, 제조된 공중합체의 구조와 열 특성 등을 GPC, GC, $^1H$-NMR, TGA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제조된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polymer wrapping법으로 처리하였고, 표면개질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다양한 용매에서 비교분석하였다. 표면이 개질되고 페이스트 내에의 분산성이 향상된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대전극 제조에 응용하였으며, 표면처리 및 분산제어 여부에 따른 제작 특성 및 동작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 PDF

A Role-based User Access Control for e-Healthcare System (e-Healthcare 시스템을 위한 역할기반 사용자 접근제어)

  • Kyung-Hyun Min;Hyun-Suk Cho;Bong-Hwa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559-156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제 3 자들 간에 디지털 인증서를 교환하여 신뢰를 구축하는 방법인 신뢰관리 시스템을 확장하여 역할에 대한 정책을 정의하고 정의된 역할을 인증서에 입력하여 접근을 제어하는 RBAC 방식을 제안하여 이를 e-Healthcare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정책 문서는 XML 로 정의하고 인증서버를 모듈화하여 e-Healthcare 시스템과의 연동 및 웹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확장하였고 다양한 접근 권한이 가능한 PACS 테스트베드를 구현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걸프(Gulf)전을 통해 살펴본 사막의전투 양상

  • Heo, Seon-M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145
    • /
    • pp.58-69
    • /
    • 1991
  • 제2차 세계대전중 "폰 라빈스타인" 장군이 말한대로, 사막은 전술가에게는 천국이지만, 병참장교에게는 악몽과 같다는 명구가 사막전투의 어려움을 그대로 일러주고 있다. 사막은 높은 열과 습도로 인해 장병들의 작전효율을 크게 감소시키며, 특히 이번 걸프전의 경우 먼지와 모래바람은 첨단장비의 한계를 인식시켜주고 있다. AH-64 "아파치" 헬기는 매일 엔진을 세척하고 있으며, M1A1 "에이브람스" 전차는 가스터어빈 엔진의 에어필터를 이틀에 한번씩 교체하고 있다. 또한 무전기등이 고온에서의 장시간 사용으로 빈번하게 고장이 발생하며, 높은 온도는 "패트리어트" 제어장치의 공기정화장비에 과동력을 공급하여 오동작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 PDF

폴리피롤/공중합폴리에스테르 전도성 복합필름의 전기전도성에 미치는 고분자 구조의 효과

  • 이성모;김길래;백두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21-125
    • /
    • 1998
  • 1977년 polyacetylene(PA)이 할로겐 도핑에 의해 금속에 필적하는 도전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발견된 이래 전도성 고분자는 전기 전도도 및 전자 상태를 자유롭게 제어 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2차 전지 및 연료 전지, 가스분리막, 우주 항공용 경량 도전재료, 대전방지제등의 넓은 응용분야를 가지며 현재에도 기초 연구 및 응용 연구의 양면에서 활기를 띠고 있다.(중략)

  • PDF

Machine Tool Technology; The Present and the Future(12) (공작기계 기술의 현재와 미래(12))

  • 강철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3 no.3
    • /
    • pp.9-25
    • /
    • 1996
  •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의 개념은 180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프랑스의 Joseph Jacquard는 1801년에 구멍을 낸 카드(Perforated cards)를 이용하여 베틀기계에 직물의 모양을 Design하는데 자동적으로 Control 하는 방법을 창조해냈다. 그 후 구멍을 낸 카드를 이용하여 페달을 밟아 얻어진 공기를 Air motor와 Valve 를 조정하므로서 자동적으로 Piano를 연주하게 하는 방법도 역시 수치제어다. 이 NC의 개념이 실제 공작기계 에 적용된 것은 제2차 대전후의 일이다. 미공군(US Air force)에서는 복잡한 형상의 항공기부품가공과 그것을 검사할 검사용 Gauge를 고정밀도로 효율있게 제작할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미국 Michigan주 Traverse시에 있던 Parsons회사도 Helicopter의 Rotor blade의 윤곽을 정확하게 검사하는 Plate gauge를 가공할 수 있는 기계를 개발하고 있었으며 그 회사의 사장 John T. Parsons씨는 Jig boringmachine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Plate gauge를 가공하는 방법을 미공군에 제안을 하였다. 1948년 미공군에서는 설계번경이 수없이 일어나는 Missile 의 부품을 단시간 내로 제작하기 위해서 Persons사와 기술계약을 맺고 새로운 공작기계 개발에 착수하므로서 NC공작기계 연구를 시작한 역사적인 시발점이 되었다.

  • PDF

MACHINE TOOL TECHNOLOGY;THE PRESENT AND THE FUTURE(8) (공작기계 기술의 현재와 미래(8))

  • 강철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2 no.11
    • /
    • pp.5-19
    • /
    • 1995
  • 항공기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의 발달에 끊임없이 큰 영향을 주어왔고, 또 기기서 파생된 신 기술도 수없이 발생하였다. NC 공작기계도 그 하나이다. 제 2차 세계대전 후 미공군은 복잡한 형상의 항공기 부품가공과 고정밀도의 검사용 Gauge를 제작할 필요성을 얻게 되었다. Helicopter의 Rotor blade의 Prifile 검사용 Plate gauge를 가공할 수 있는 기계를 개발 중에 있었던 J.T.Person이 Jig boring machine을 저자적으로 제어하면서 Gauge를 가공하는 방법을 1947년 미공군에 제안하게 되었다. 이것이 NC 발달사에 기록된 역사적인 사실이며 이 Project는 후에 MIT로 넘아가고 1952년에 NC milling machine을 완성시켰다. 그 후, 1955년 Gidding & Lewis사가 최초로 NC 공작기계를 공업화한 제1호기 Numericord를 시장에 내 놓게 되었다.

  • PDF

Effects of the Addition of Metallic Salts and Polyhydric Alcohols on the Formation and the Triboelectric Charge of Zinc Complex-compound Particle (아연 착화합물의 입자형성 및 마찰대전량에 미치는 금속염 및 다가알코올 첨가의 영향)

  • In, Se-Jin
    • Clean Technology
    • /
    • v.19 no.3
    • /
    • pp.249-256
    • /
    • 2013
  • The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obtain zinc complex compound with smaller particle sizes, which is used as a charge control agent in manufacturing toner. Metallic salts and polyhydric alcohols have been studi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formation and the triboelectric charge of zinc complex-compound particle with different sizes. Reactants such as zinc chloride and 3,5-di-tert.-butyl salicylic acid have been used to form the complex compound. Polyethylene glycol (PEG-300), glycerin and ethylene glycol have been added into the zinc chloride solution beforehand to lower the reaction rate in the formation of zinc complex-compound. Aluminium(III) chloride has been mixed in the zinc chloride solution beforehand to restrain the particle size from growing. When PEG-300 and aluminium(III) chloride are used to lower the reaction rate and to restrain the particle size from growing,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zinc complex compound decreases from $5.28{\mu}m$ to $2.33{\mu}m$, which was 44.1% of $5.28{\m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