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잠 탐색 패턴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31초

대잠 헬기와의 협동 작전을 고려한 수상함의 최적 대잠탐색 패턴 산출을 위한 시뮬레이션 (Construction of Optimal Anti-submarine Search Patterns for the Anti-submarine Ships Cooperating with Helicopters based on Simulation Method)

  • 유찬우;박성운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3-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상함과 대잠헬기가 협동작전을 수행하는 환경에서의 수상함의 최적 탐색 패턴을 도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잠 탐색 작전을 수행하는 수상함과 대잠헬기의 기동 및 탐색 임무를 모델링하였으며, 탐색의 대상이 되는 잠수함의 회피 기동을 확률적 방법으로 모델링 하였다. 또한 수상함과 대잠 헬기가 수행하는 대잠 탐색 임무의 효과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들을 정의하였다. 대잠 탐색 작전의 주요 변수 중 하나인 수상함과 잠수함 예상위치간 초기 거리의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들을 생성하였다. 각 시나리오에 대해, 수상함이 단독으로 최적 탐색 패턴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와, 수상함과 대잠헬기가 협동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까지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되어온 수상함들의 단독 작전을 가정한 최적 탐색 패턴으로는, 대잠헬기와의 협동 작전 환경에서 최대의 탐지 효과도를 얻을 수 없음을 밝히고, 협동 작전 환경에서 잠수함 탐지 확률을 최대화 하기위한 수상함의 기동 패턴 재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HMS를 이용한 대잠탐색 패턴분석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A Development of Simulator for Analysis of Anti-Submarine Search Patterns Using HMS)

  • 신성철;박영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9-106
    • /
    • 2010
  • 대잠작전에서 HMS를 이용한 탐색이 그 기본전술로 이용되고 있으며 점차 HMS 운용전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해양환경, 탐색패턴, 소나 운용전술, 대잠 탐색전술 등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대잠 탐색전술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잠 탐색환경에서 HMS 탑재함이 잠수함을 탐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탐색패턴들을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뮬레이터는 대잠탐색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반영하고, 대잠함의 탐색패턴 및 잠수함의 회피 기동 등을 고려하여, 단독 또는 다수 세력에 의한 협동 대잠작전 등의 다양한 대잠탐색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개발된 시뮬레이터는 HMS를 이용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대잠전 운영전술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잠수함 탐지 효과도 증대를 위한 대잠 헬기 임무 할당 방안 연구 (Modeling and Simulation for Evaluating the Submarine Detection Capability of ASW Missions for an Anti Submarine Helicopter)

  • 유찬우;김재익;김철호;정영란;박성운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9-6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함정에 탑재돼 운용되는 대잠헬기의 잠수함 탐지능력 증대시키기 위한 임무 할당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대잠헬기가 대잠 탐색 임무 중에 수행하는 행동 및 행동들 간의 연간관계를 분석하여 모델링하였다. 또한 대잠 헬기가 수행하는 대잠 탐색 임무의 효과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들을 정의하였다. 설계된 모델링 결과를 이용해 효과도를 분석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으며, 시나리오 및 대잠 탐색 임무 시 대잠 헬기와 상호작용하는 아군 수상함 및 적 잠수함과 관련된 주요 설정값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해 임무의 효과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잠 헬기 디핑 소나의 운용 간격, 반복적인 탐색 임무 수행 시의 패턴에 따른 효과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대잠 탐색 임무 할당 방안을 제안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대잠 탐색패턴 최적화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Optimization Method for Anti-Submarine Searching Pattern Using Genetic Algorithm)

  • 김문환;서주노;박평종;임세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23
    • /
    • 2009
  • It is hard to find an operation case using anti-submarine searching pattern(ASSP) developed by Korean navy since Korean navy has begun submarine searching operation.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develop hull mount sonar(HMS) based optimal submarine searching pattern by using genetic algorithm. Developing the efficient ASSP based on theory in near sea environment has been demanded for a long time. Submarine searching operation can be executed by using ma ulti-step and multi-layed method. however, In this paper, we propose only HMS based ASSP generation method considering the ocean environment and submarine searching tactics as a step of first research. The genetic algorithm, known as a global opination method, optimizes the parameters affecting efficiency of submarine searching operation. Finally, we confirm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SSP by simulation.

어뢰대항전술 영향을 고려한 수상함의 대잠탐색패턴 연구 (The Study on Anti-Submarine Search Pattern of the Surface Ship Considering the Torpedo Countermeasure Tactics)

  • 이민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4-210
    • /
    • 2010
  • The tactical effectiveness, which is the result of applying decision-making algorithms to respond a specific situation with weapons and sensors, is required to analyze according to the integrated combat situation, because each situation, which is intimately involved with each other, influences the surface ship to complete missions successfully. However, the tactical effectiveness have been analyzed in separation of each tactical situa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integrated tactical situation. This paper is originated from the needs for analyzing the anti-submarine search region of the surface ship after it evades the torpedo by operation of the torpedo countermeasure tactics. It also describes simulation results of effectiveness analysis for the search patterns in the search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