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잠전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and SLBM Development (북한 SLBM 개발과 핵전략 : 해군력 건설 방향과 한미 해군협력)

  • Oh, Soon-Kun
    • Strategy21
    • /
    • s.41
    • /
    • pp.333-370
    • /
    • 2017
  • 북한의 SLBM 위협이 대한민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어 왔지만, 북의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탄도미사일이 보유한 진정한 위협에 대한 인식은 아직도 부족한 듯하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논의가 북 SLBM 기술의 성숙도와 완성시기 등 기술적 수준에 관심이 치우쳐져 있기 때문이다. 핵전략과 억제전략의 관점에서 본다면 북한의 SLBM 개발은 한미동맹의 제1격에 대한 완벽한 제2격 능력 보유에 그 핵심이 있다. 즉 향후 개발될 북한의 SLBM은 평양 김정은 정권의 생존을 보장할 직접적이고 핵심적인 전력이 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미 군사동맹과 북한의 현 군사력 균형을 깨뜨리고 앞으로 북의 군사도발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결과를 가지고 올 것이다. 북의 핵전략은 현재 확증보복(assured retaliation)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결국에는 전쟁에 사용될 전술적 핵무기 능력(war-fighting capability)을 갖게 될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 해군은 우리의 강점을 활용하여 적의 약점을 공략할 수 있는 상쇄전략(offset strategy)을 개발하여야 한다. 북한의 현 제한된 잠수함 기술력과 대잠작전 능력을 고려할 때 한국해군은 수중영역에서의 공세적 대잠전(offensive ASW) 개념을 보다 발전시켜야만 할 것이다. 이는 미 해군이 냉전기간 중 소련해군 핵추진전략잠수함(SSBN) 대응을 위해 발전시킨 전략대잠전(strategic ASW) 개념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미 해군은 소련 해군의 SSBN 을 억제하기 위해 공세적인 전략대잠전을 수행했고 그 결과 소련해군은 자국의 연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요새전략(bastion strategy)를 추구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미 해군의 전략대잠전은 공격잠수함(SSN), 대잠초계기, 수중 탐지체계(SOSUS), 공격기뢰 등의 전력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북한 SLBM 에 대한 한국해군의 전략개념은 북의 핵전략(제 2 격능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정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해군력 건설은 대잠전 능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우리 해군은 장기적으로 핵추진잠수함을 비롯하여 성능이 향상된 대잠초계기, 한반도 해역을 중심으로 한 미 해군의 SOSUS 와 유사한 수중탐지장비 그리고 장시간 수중작전이 가능한 무인잠수정(UUV)을 도입해야만 한다. 단기적으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KAMD 체계에 SM-3 를 보유한 이지스함을 포함시켜, 북 SLBM 에 대한 요격능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한미동맹은 북 핵전략의 핵심전력인 SLBM 개발에 대한 위협인식을 공유해야만 하다. 작전적 수준에서는 양국 해군 간 대잠전 및 대유도탄전 작전운용성 증대에 우선순위를 두고, 기존의 한미 간 연합작전능력 강화뿐 아니라 위기시를 대비하여 미일 간 구축되어 있는 대잠전 및 대유도탄전 능력도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 Study on Submarine Stealth (잠수함 스텔스에 관한 연구)

  • Choi, Cha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716-718
    • /
    • 2011
  •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미래 해전의 양상은 비대칭적인 전략과 수단이 보편화되는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며, 비대칭전력의 핵심인 잠수함의 중요성이 대두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요성이 대두되는 잠수함 측면에서 잠수함을 탐지하는 대잠전 탐지체계를 분석한 결과 소나체계인 음향탐지체계와 전자파, 자기, 광학장비 등으로 탐지하는 비음향탐지체계로 구분되며 각각의 탐지체계로부터 탐지를 거부하고 생존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필요한 잠수함의 스텔스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Simulator Development for Determining the Sonar Sensor Configuration of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Based on a Hold-at-Risk Scenario (위험제어 시나리오 기반의 무인잠수정 소나 센서 배열 선정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 Shin, Myoungin;Lee, Jinho;Hong, Wooyoung;Kim, Woo Shik;Bae, Hoseuk;Cho, Hyun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9 no.2
    • /
    • pp.21-33
    • /
    • 2020
  • This study develops a simulator for determining the sonar sensor configuration of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UVs) based on a scenario, in order for UUVs to conduct an effective anti-submarine warfare (ASW). First, we analyze the missions and operational concepts of UUVs in the field of ASW, and then select a Hold-at-Risk scenario as the one with the highest priority. Next, for modeling the components of a simulator, the motion, acoustic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condition of the platforms (UUV and target submarine) are specified. Especially, based on the beam pattern of each sonar configuration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passive sonar equation is used to verify target detection, and we further estimate the azimuth and elevation of the target using amplitude and phase of the received signal, respectively.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performance tendency depending on the sonar sensor configurations of a UUV, and the simulator provides a high applicability under various scenarios.

선박방사소음의 측정및 평가방법

  • 윤종락
    • Journal of KSNVE
    • /
    • v.8 no.2
    • /
    • pp.232-238
    • /
    • 1998
  • 선박 방사소음은 군사적 목적의 수동소나가 탐지대상으로 하는 수중음향 표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동소나 운용자는 대잠전 수행이전에 다양한 선박들에 대한 방사소음을 측정, 분석하여 개별 선박 고유의 음향 특징을 수집함으로써 실전 상황에서 미지 선박이 탐지되는 경우 이들 자료를 식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새로운 수동소나의 개발자나 스텔스 능력의 선박 설계자 역시 선박방사소음 특징자료를 필요로한다. 본 글은 선박방사소음의 발생기구, 측정시스템 및 측정자료의 분석 평가 기술을 연구분석한 내용이다.

  • PDF

1990년대를 지향하는 일본 해상자위대

  • Kim, Yeong-Tae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1 s.129
    • /
    • pp.28-37
    • /
    • 1989
  • 해상자위대는 질이나 양적인 면에서 일관된 생산정책에 의해 그 기반이 유지되고 있으며, 조선소의 수많은 기술자들이 함대 현대화를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금년도 예산에는 2척의 1천9백톤형 프리킷함과 1척의 2천4백톤형 대잠전 잠수함, 2척의 1천톤형 해양소해함과 1척의 2천8백톤형 음향측정함의 건조가 반영되어 있다. 현재 일본 해상자위대는 해군 항공대를 포함하여 4만6천명의 장병과 4천명을 상회하는 군무원들로서 편성되어 있다

  • PDF

Tactics Generation about Anti-submarine using Genetic Algorithm through Oceanography Environmental Change (해양 환경 변화에 따른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대잠전 전술 생성에 관한 연구)

  • Park, Kang-moon;Shin, Sang-bok;Kim, Seon-jae;Hwang, Jaer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2
    • /
    • pp.362-368
    • /
    • 2018
  • Making proper judgements in urgent situations facing a submarine at the sea is very critical. This is because the commander's misjudgments could drive the entire ally to destruction in a moment. In order to generate appropriate tactics on behalf of the human commander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in such emergency situations, studies using intelligent agents and genetic algorithm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inference engine based intelligent agent is adopted to each warship and submarine to generate optimal tactics on the variable environment with genetic algorithms. And we analyze the risk of the allianc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enemy submarine through a simple simulation and generate appropriate tactics using the genetic algorithm. Also generated tactics are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to figure out why such results are formed.

The Study on Anti-Submarine Search Pattern of the Surface Ship Considering the Torpedo Countermeasure Tactics (어뢰대항전술 영향을 고려한 수상함의 대잠탐색패턴 연구)

  • Lee, Min-Ky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13 no.2
    • /
    • pp.204-210
    • /
    • 2010
  • The tactical effectiveness, which is the result of applying decision-making algorithms to respond a specific situation with weapons and sensors, is required to analyze according to the integrated combat situation, because each situation, which is intimately involved with each other, influences the surface ship to complete missions successfully. However, the tactical effectiveness have been analyzed in separation of each tactical situa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integrated tactical situation. This paper is originated from the needs for analyzing the anti-submarine search region of the surface ship after it evades the torpedo by operation of the torpedo countermeasure tactics. It also describes simulation results of effectiveness analysis for the search patterns in the search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