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역 정보와 국소정보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for Optimization of Black-box Objective Functions (서포트 벡터 회귀를 이용한 블랙-박스 함수의 최적화)

  • Kwak, Min-Jung;Yoon, Mi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5 no.1
    • /
    • pp.125-136
    • /
    • 2008
  • In many practical engineering design problems, the form of objective functions is not given explicitly in terms of design variables. Given the value of design variable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value of objective functions is obtained by real/computational experiments such as structural analysis, fluid mechanic analysis, thermodynamic analysis, and so on. These experiments are, in general, considerably expensive. In order to make the number of these experiments as few as possible, optimization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predicting the form of objective functions. Response Surface Methods (RSM) are well known along this approach. This paper suggests to apply Support Vector Machines (SVM) for predicting the objective functions. One of most important tasks in this approach is to allocate sample data moderately in order to make the number of experiments as small as possible. It will be shown that the information of support vector can be used effectively to this aim. The effectiveness of our suggested method will be shown through numerical example which is well known in design of engineering.

가시광 파장 대역을 고려한 무선통신 채널 특성 연구

  • Lee, Gwon-Hyeong;Gang, Tae-Gyu;Park, Hyeon-Ch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5
    • /
    • pp.23-29
    • /
    • 2009
  • 가시광 무선통신은 차세대 조명으로 주목받고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조명 기술과 무선통신 기술을 융합한 그린 IT 기술이다. 즉, 실내 가정 또는 사무실 환경에서 조명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가시광 무선통신은 LED 조명이 있는 곳에서는 항상 통신이 가능하여, 병원이나 항공기내와 같이 기존 무선통신에 제약을 받는 환경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기술이다. 또한, 실내 LED 조명을 이용함으로써 국소 지역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가시광 무선통신은 조명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통신뿐만 아니라 기존의 조명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절감형 반도체 광원을 이용한 LED조명에 대한 실내의 조도 분포와 가시광 무선통신의 채널 연구에 필요한 항목을 제시한다.

The effects of Korean logical ending connective affix on text comprehension and recall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 Nam, Ki-Chun;Kim, Hyun-Jeong;Park, Chang-Su;Whang, Yu-Mi;Kim, Young-Tae;Sim, Hyu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251-258
    • /
    • 2004
  • 본 연구는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연결어미의 효과와 글읽기 능력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결어미로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가 사용되었다. 앞뒤에 제시되는 두 문장의 국소적 응집성(Local coherence)을 형성하는데 연결어미가 도움을 준다면, 연결어미가 있는 경우에 문장을 이해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글 내용을 기억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다. 만일에 글읽기 능력이 연결어미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면, 연결어미의 출현 여부와 읽기 능력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인과 관계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 읽기 시간에 연결어미의 출현이 미치는 효과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인과 관계 연결어미는 뒤의 문장을 읽는데 촉진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이런 연결어미의 효과는 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관된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연결어미의 출현은 문장의 회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연결어미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는 읽기 능력의 상하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문장 읽기 시간과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부가 관계 연결어미 역시 인과 관계 연결어미와 유사한 형태의 효과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앞뒤 문장의 응집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런 연결어미의 글읽기에 대한 효과는 글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건이 복합 명사의 중심어 선택과 의미 결정에 재활용 될 수 있으며, 병렬말뭉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구축되는 의미 대역 패턴을 사용하여 데이터 구축의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한다. 및 산출 과정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현재 구축중인 세종 전자사전에도 직접 반영되고 있다.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J. Searle] (7) 수로 쓰인 것(상수)(象數)과 시로 쓰인 것(의리)(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들도 없음을 말한다. [(성중영)(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ulcorner$한국어사전$\lrcorner$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 PDF

Interactivity within large-scale brain network recruited for retrieval of temporally organized events (시간적 일화기억인출에 관여하는 뇌기능연결성 연구)

  • Nah, Yoonjin;Lee, Jonghyun;Han, Sanghoo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9 no.3
    • /
    • pp.161-192
    • /
    • 2018
  • Retrieving temporal information of encoded events is one of the core control processes in episodic memory. Despite much prior neuroimaging research on episodic retrieval, little is known about how large-scale connectivity patterns are involved in the retrieval of sequentially organized episodes. Task-related functional connectivity multivariate pattern analysis was us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sequential retrieval. In this study, participants performed temporal episodic memory tasks in which they were required to retrieve the encoded items in either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While separately parsed local networks did not yield substantial efficiency in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e large-scale patterns of interactivity across the cortical and sub-cortical brain regions implicated in both the cognitive control of memory and goal-directed cognitive processes encompassing lateral and medial prefrontal regions, inferior parietal lobules, middle temporal gyrus, and caudate yielded high discriminative power in classification of temporal retrieval process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nemonic control processes across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are recruited to re-experience temporally-linked series of memoranda in episodic memory and are mirrored in the qualitatively distinct global network patterns of functional conne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