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역통과 여파기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7초

고조파 억압을 위한 접힌 피드 구조를 갖는 SIR CPW 대역통과 여파기 (SIR CPW Bandpass Filter with Folded Feed Structure for Suppressing Spurious Harmonics)

  • 박광선;이창언;천동완;이진택;신철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9-16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SIR CPW 대역통과 여파기의 고조파 억압을 위한 접힌 피드 구조를 제안하였고 이를 이용해 SIR CPW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접힌 피드 구조는 넓은 저지대역을 갖는 저역통과 여파기의 특성을 보이며, CPW 대역통과 여파기에서 고조파 억압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및 측정결과 접힌 피드 구조를 갖는 SIR CPW 대역통과 여파기는 5.8 f$_{0}$까지 -20 dB 이 하로 고조파를 억압하는 우수한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다.

깍지낀 마이크로스트립 대역통과 여파기 설계 (Design of a Interdigital Microstrip Bandpass Filter)

  • 신진옥;전성근;이문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565-57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깍지낀 마이크로스트립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깍지낀 마이크로스트립 대역통과 여파기는 일반적인 결합 선로 대역통과 여파기에 비해 주파수 선택성과 삽입 손실과 반사 손실 특성이 우수하며, 크기가 작고, 넓은 대역폭을 가진다. 깍지낀 마이크로스트립 대역통과 여파기의 구조는 평행접지판 사이의 준 TEM-모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공진기이다. 각각의 공진 소자의 길이는 중심주파수의 $\lambdag/4$이고, 선로의 한쪽은 단락회로로 종단되고 다른 한쪽은 개방회로로 종단되어 있다. 여파기는 Ensemble(version 5.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최적 설계하였다. 제작된 여파기는 중심주파수 11.2GHz에서 대역폭이 2.52GHz(22.5%), 삽입손실 -1.8dB, 반사손실 -17.0dB의 특성을 나타냈다.

  • PDF

고조파 감쇠특성을 향상시킨 변형된 마이크로스트립 여파기 (Modified Microstrip Filters Improving the Suppression Performance of Harmonic Signals)

  • 김봉수;이재욱;송명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1054-106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제 2차 고조파의 감쇠특성이 향상된 새로운 평행 결합선로 마이크로스트립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제작 및 특성에 관해서 소개한다. 결합선로에 연속적인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기본 통과대역의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하지 않는 고조파 통과대역은 제거한다. 또한 결합선로 사이의 간격, 마이크로스트립 선폭 및 길이와 같이 여파기 디자인을 위해 요구되는 매개변수의 복잡한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 즉, 평행결합선로 마이크로스트립 여파기의 전통적인 디자인 방법으로 설계한 기본 구조에 규칙적인 변형을 주면서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 새로운 여파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2.5 GHz에서 10 % 대역폭을 가지는 3차 Butterworth 대역통과 여파기와 10 GHz에서 15 % 대역폭을 가지는 5차 Chebyshev 대역통과 여파기가 사용됐다. 각각 5개와 3개의 정사각형 홈이 사용됐을 때 30 dB 이상의 고조파 감쇠가 발생하며 통과대역에서는 더 우수한 차단 특성이 있다.

결합 및 교차 선로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설계 (Design of a Narrow-Band Bandpass Filter Using Microstrip Open-Loop Resonators With Coupled and Crossing Lines)

  • 안승현;이영구;이문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1011-10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교차 및 결합 선로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개방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제작하였다. 이 여파기는 크기가 작고 경량이며, 협대역 타원함수 대역통과 특성과 같은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파기는 두 개의 동일한 마이크로스트립 개방루프 공진기와 교차 및 결합선로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루프 공진기를 사용함으로서 여파기 크기는 링 공진기와 비교하여 50% 정도가 축소된다. 교차선로는 억제대역에서 두 개의 노치를 제공하므로, 통과대역에서 예리한 선택도를 가진다. 중심주파수 2.455GHz로 설계된 마이크로스트립 대역통과 여파기는 1.22%의 대역폭을 가지며, 이는 무선LAN의 응용에 매우 적합하다. 여파기는 포토 에칭법으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대역통과 여파기는 2.458GHz대에서 0.85%의 대역폭을 가지며 크기는 $2.6cm\times1cm$이다.

  • PDF

PI-SIR과 OLRR을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이중 대역 여파기의 설계 방법 (A Novel Design Method of Microstrip Dual-Band Filter Using PI-SIR and OLRR)

  • 임지은;이재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45-25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의사 인터디지털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Pseudo-Interdigital Stepped Impedance Resonator: PI-SIR)와 개방 루프 링 공진기(Open-Loop Ring Resonator: OLRR)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이중 대역 대역 통과 여파기를 제안한다. PI-SIR을 이용하여 이중 대역 여파기의 첫 번째 통과 대역과 두 번째 통과 대역을 설계하고, OLRR을 이용하여 두 번째 통과 대역 특성을 강화한다. PI-SIR 구조에서 특성 임피던스 비와 전기적 길이 비를 이용하면 첫 번째 통과 대역과 두 번째 통과 대역을 쉽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2.45 GHz와 5.8 GHz에서 동작하는 이중 대역 여파기의 설계 결과와 측정 결과로부터 제안된 여파기가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과대역 보상을 위한 2단 대역통과 여파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2-order BPF for improvement of passband flatness)

  • 문수덕;최경;황희용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37-140
    • /
    • 2005
  • 본 논문은 낮은 품질계수의 공진기를 사용한 여파기의 통과대역 평탄도를 개선하기 위한 2단 상보 여파기의 설계를 연구하였다. 품질계수로 인해 상보 여파기 평탄도 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낮은 품질계수의 공진기를 사용하고, 기존의 여파기 설계공식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상보 여파기의 설계변수를 제시하였다. 제시한 설계변수로 상보 여파기를 설계하여 전체적인 통과 대역 평탄도를 1dB 이내로 만들 수 있었다.

  • PDF

λ/4 Hair-pin 공진기를 이용한 LTCC MLC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The Design of LTCC MLC Bandpass Filters using λ/4 Hair-pin Resonators)

  • 성규제;여동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4-1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λ/4 hair-pin 공진기를 이용한 LTCC MLC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안하였다. λ/4 hair-pin 공진기는 부분적인 평행 결합선로와 그 선폭이 동일한 전송선로로 구성되어, 등가적으로 SIR이 되므로 기존의 SIR과 달리 구조적인 불연속 없이 공진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부가적인 용량성 결합을 포함한 λ/4 hair-pin 공진기를 이용한 LTCC MLC 대역통과 여파기의 등가회로를 유도하고, 설계 절차를 기술하였다 1.8 GHz대역에서 2단의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DGS구조를 이용한 초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A Ultra-Wideband Bandpass Filter Using DGS structure)

  • 정승백;양승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5호
    • /
    • pp.162-16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대역통과 여파기와 저역통과 여파기를 하나의 구조로 합성하여 크기 증가 없이 초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여파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구조는 그 구조가 간단하다. 그리고 저역 통과 특성을 얻기 위하여 이미 잘 알려진 DGS(Defected Ground Structure) 구조를 이용하였다. 기존의 대역통과 여파기와 저역통과 여파기를 직접 연결하였을 때 보다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측정결과 통과대역은 $2.1GHz{\sim}10.56GHz$이고 삽입손실은 최대 0.5dB, 반사손실은 최소 20dB, 군 지연은 $0.13ns{\sim}0.35ns$ 까지 최대 변화폭 0.23ns의 변화를 보인다.

FSCS를 이용한 고조파가 억제된 광대역 스터브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Design of a Broad Band-pass Filter with Stubs for Harmonics Suppression using the FSCS)

  • 최영구;김복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호
    • /
    • pp.103-10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FSCS를 이용한 고조파가 억제된 ${\lambda}_g/4$ 단락형 스터브 대역통과 여파기와 ${\lambda}_g/2$ 개방형 스터브 대역통과 여파기를 새로운 구조로 제안 설계하였다. 제안된 여파기는 FSCS를 이용한 광대역 대역저지 여파기를 대역통과 여파기에 집적화 시켜 제2 고조파를 억제하였고, 스터브 사이에 BSF를 집적화하여 크기의 증가를 방지하여 22% 감소하였다. 제안된 여파기는 중심주파수 5.8 GHz에서 통과 대역폭 50%, 고조파 저지대역 120% 광대역 대역통과 여과기의 특성을 나타내었고, ${\lambda}_g/4$ 단락형 스터브 여파기의 경우 삽입손실 0.5 dB, 반사손실 14 dB의 측정결과를 ${\lambda}_g/2$ 개방형 스터브 여파기의 경우는 삽입손실 0.8 dB, 반사손실 14.4 dB의 측정결과를 얻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와 측정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무선 랜 대역을 저지하는 초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Ultra-Wideband Band-Pass Filter with Notched Wireless-LAN band)

  • 정승백;양승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9호
    • /
    • pp.60-6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대역통과 여파기와 대역저지 여파기를 하나의 구조로 합성하여 크기 증가 없이 초광대역 특성을 가지면서 Wireless-LAN 대역을 저지하는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구현하였다. 대역저지 특성을 얻으면서도 여파기의 크기증가가 없어야 하기 때문에 전송선에 내장된 형태의 오픈 스터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저역 통과 특성을 얻기 위하여 접지 면에 식각할 수 있는 DGS(Defected Ground Structure) 구조를 이용하였다. 기존의 대역통과 여파기와 저역통과 여파기를 직접 연결하였을 때 보다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측정결과 통과대역은 $2.21GHz{\sim}10.92GHz$ 이고 삽입손실은 최대 0.7dB, 반사손실은 최소 17dB, 군 지연 변화폭은 0.22ns였으며 $5.3GHz{\sim}5.7GHz$의 저지대역을 형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