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상관계이론

Search Result 1,57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the Marital Relationship in "Vegetarian" of the Han Gang : Focusing on Object Relation Theory (한강의 「채식주의자」 부부 관계 분석 :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 Choi, Ji-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582-59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dynamics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vegetarian' of the Han Gang and the relationship patterns in the system by applying object relation theory. 'Vegetarianism' has already been analyzed and reinterpreted in various angles, but if you look at it from the object relationship theory and the systematic perspective, you can understand the inevitable history of the generation through psychological analysis and relation dynamics of the person. First, we will analyze the psychological dynamics of the characters by analyzing the meanings and exploring the meaning with the object relation theory and concept. The psychological analysis and the search process of the characters based on the theory are enough evidence for the counselor to reinterpret the life story of the client in the future clinical scene. 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ethical but practical clinical education, the field of clinical practice will be extended when analyzing the characters using art. It is suggested that the meaning search through various character analysis needs to be accumulated culturally.

Human-Robot Social Interaction: Applying Attachment Theory (기술진화로 인한 인간과 기계의 사회적 관계 연구)

  • Song, Geunhye;Lee,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25-438
    • /
    • 2017
  • 기술혁신으로 인간과 로봇의 문자 음성형 대화가 가능한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인간이 로봇에 정서적 반응을 나타낸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로봇이 도구적 장치에서 벗어나 친밀감을 맺을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연구되어온 애착이론이 인간과 로봇의 관계에도 적용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간이 기계를 의인화한다는 기존의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를 검토하고,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대한 애착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인간이 기계와 정서적 관계를 맺을 수 있으나 타인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함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애착이론을 토대로 인간과 로봇의 가능한 사회적 관계양상을 그려보았다. 마지막으로 로봇과의 소통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가까운 미래사회에 인간과 로봇의 건전한 관계형성을 위한 후속연구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최신 기술흐름을 반영하여 대화가 가능한 로봇을 대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바탕으로 인간이 로봇의 관계양상을 심층적으로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닌다.

  • PDF

건설시장에서의 관계지향성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

  • 김영아;최낙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137-153
    • /
    • 2002
  • 본 연구는 자원의존이론, 거래비용이론, 관계계약이론 등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건설업계에서 관계지향성을 행동적 구성요인으로 개념정립하고, 관계지향성에 대한 영향요인 및 관계지향성 행동의 성과변수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행동변수로서의 관계지향성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정보교환, 조화노력, 협동적 규범, 업무적 결속을 사용하였다. 연구표본은 C지역의 전문건설업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서 단일차원의 관계지향성 개념을 식별하였다.

  • PDF

자본조달순위이론에 관한 실증연구

  • Gwak, Se-Ye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2 no.1
    • /
    • pp.89-104
    • /
    • 2006
  • 이 논문은 자본조달순위이론(pecking order theory)을 한국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 검정을 하였다. 설명변수로 기업의 자금부족(deficit)과 부채비율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본조달순위이론이 지지되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통제변수에 유형자산, 기업규모, 수익성 등 전통적인 자본구조영향요인 변수들을 포함시켜 분석한 결과, 정보비대칭이론에 의한 설명이 적합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유형자산이 증가할수록 부채비율은 감소하였고, 기업규모가 증가하면 레버리지가 감소하는 관계를 나타냈으며, 수익성이 증가함에 따라 부채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전년도의 부채규모가 높은 경우에는 당해 연도의 부채사용이 감소하고, 직전년도의 레버리지가 낮은 경우에는 당해 연도의 부채가 증가하는 평균회귀현상을 나타냈다.

  • PDF

수직적 거래관계의 불공정성에 관한 연구;제조업자와 유통업자 관계를 중심으로

  • Im, Chae-Un;Pyeon, Hae-Su;Baek, Seo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95-108
    • /
    • 2007
  • 본 연구는 수직적 유통거래 관계에서 거래의 불공정성을 발생시키는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모형을 겁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거래의 불공정성의 개념을 도입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거래의 불공정성 연구에 응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장지배력이론과 거래비용이론을 적용시킴으로서 거래의 불공정성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국내 소비재 제조기업 표본 258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제조업체의 브랜드 자산이 높을수록, 거래의 불공정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의 상대적 의존성이 높을수록 거래의 불공정성은 증가할 것이라고 결과가 도출되었고, 마케팅협력정도가 높을수록 거래의 불공정성은 감소할 것이라고 나타났다. 거래의 불공정성이 증가할수록 관계지속기대감은 감소할 것이며, 거래의 불공정성이 증가할수록 신뢰는 감소할 것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시사점,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미래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On the Picture Theory of the Tractatus (『논리-철학 논고』의 그림 이론에 관하여)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2 no.2
    • /
    • pp.253-290
    • /
    • 2019
  • Wittgenstein presents so-called picture theory in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What is, then, the point of the picture theory? What are the philosophical problems which the picture theory tries to solve? In this paper, I will endeavor to show that the object of a picture is different from the sense of a picture, that the representing rel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ojective relation, that picture theory is applied to composite propositions as well as elementary propositions and that on the one hand the basic problems that picture theory tries to solve are problem of theory of meaning and that of theory of truth, but on the other hand the more important problem is what Wittgenstein calls "the mystery of negation." From these discussions, we can see that it is not correct at all to interpret that the picture theory in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s nothing but an analogy which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ntent.

The relationships of body-cathexis to satisfaction with ready-to-wear (신체만족도와 기성복에 대한 만족의 상관관계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34
    • /
    • pp.183-193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만족도와 기성복에 대한 만족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Virginai Tech 여대생으로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는 신체 5부위 (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기성복에 대한 만족은 기성복의 바지기장 허리 힙, 허벅지 가슴 넥크라인과 다양성에 대한 만족으로 측정되었다. 결과로 특정 부위에 대한 기성복의 만족은 그 부위에 관련된 신체만족도와 깊은 관계가 있었다 예로 기성복의 바지기장에 대한 만족은 하체와 신장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관계가 있었다 Symbolic interaction 이론과 social compari-son 이론이 이들 결과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 PDF

Presentation of Efficient Matching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s to Image Recognition (효과적인 정합과정 알고리즘의 제시 및 영상 인식에의 적용)

  • 최세하;이주신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1
    • /
    • pp.31-3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애매성을 고려한 이론을 적용하여 유사도를 측정한 후 퍼지 관계 행 렬을 생성하여 인식을 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식 시스템은 모델과 입력 영상의 특징값을 정합하여 행하게 되는데 이때 얼마나 유사한가를 계산하는 유사도 측정은 대단히 중요한 작업중의 하나가 된다. 이를 위해 톨이론과 퍼지이론의 일치도 연산을 이용하여 유 사도를 측정하며, 퍼지 관계 행렬을 생성하여 정합을 행하고자 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에 대 해 3차원 물체와 얼굴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논문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auses and Outcomes of Relationship-Orientedness between Businesses (관계지향성의 구성요인 및 원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 최낙환;김영아;이호정
    • Asia Marketing Journal
    • /
    • v.3 no.3
    • /
    • pp.1-24
    • /
    • 2001
  • 본 연구는 자원의존이론, 거래비용이론, 관계계약이론 등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관계지향성의 원인과 성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구매기업과 공급기업간의 행동적 관계지향요인과 관계지향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행동적 관계지향요인으로는 정보교환, 조화노력, 행동적 규범, 업무결속을 들고, 관계지향성 분석을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표본에는 C지역의 전문건설업체를 대상으로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 그 중 185부를 회수하여, 적합한 설문 140부가 사용되었다. 군집분석결과 관계지향성 집단은 정보교환, 조화 노력, 협동규범 수용, 업무결속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비관계지향성 집단은 정보교환, 조화노력, 협동규범 수용, 업무결속이 모두 낮게 나타나 기업간의 관계지향성을 의미있는 2개의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기업간 관계지향성의 영향요인으로 환경의 역동성, 대안의 이용가능성, 공급의 중요성, 상호호혜전략,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관계지향성에 대한 영향요인들이 관계지향집단과 비관계지향집단으로 분류하는데 얼마나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관계지향집단과 비관계지향집단의 분류에 환경의 역동성, 대안의 이용가능성, 공급의 중요성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혜전략, 신뢰성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간 관계지향성의 성과로서 실현경쟁우위와 관계유지의도를 검토하였다. 관계지향성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MANOVA(multivariatee analysis of variance)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결과, 관계 정도가 높은 집단이 관계 정도가 낮은 집단보다 실현 경쟁우위수준을 높게 지각하고 관계를 유지하려는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