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리이론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acilitat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Franchising Companies (해외진출 국내 프랜차이즈기업의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 Im, Yeong-Gyun;Choe, Jong-Won;Kim, H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8a
    • /
    • pp.67-84
    • /
    • 2007
  • 세계경제는 국가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개방과 통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교역환경의 변화는 국내 프랜차이즈기업의 해외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있지만 동시에 선진국 프랜차이즈기업의 위협을 극복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프랜차이즈기업을 대상으로 해외 진출기업과 미진출기업의 조직특성에서의 차이점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원기반이론과 대리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몇 가지 조직특성이 국내 프랜차이즈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국내 315개 프랜차이즈기업에 대한 서베이조사를 통해 검증하고 있다. 분석 결과, 해외 진출 프랜차이즈기업이 미진출 프랜차이즈기업에 비해 규모가 크고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국내시장에서 점포의 지리적 분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성은 기대와 달리 해외 진출 기업이 미진출 기업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맹점에 대한 가격구속은 진출기업과 미진출기업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국내 프랜차이즈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몇가지 시사점을 향우 연구과제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

  • PDF

An Economic Meaning of Agency Contract Term in Korea (우리나라에서 대리계약기간이 갖는 경제적 의미)

  • Lee, Eui-Kyu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6 no.2
    • /
    • pp.71-89
    • /
    • 1999
  • 본 논문은 대리이론에서 대리계약기간이 시간적 차원에서 대리비용을 통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의 대리계약기간을 조사하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대리계약기간을 결정하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대리계약기간을 결정하는 요인은 성과적 변수보다 대리적 변수가 훨씬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대리문제 해결양태를 정리할 수 없었는데 주로 내부승진 경영자, 친인척 경영자, 동일지역출신 경영자 등 인적요인을 통해서 대리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리문제해결을 위한 이러한 방법들의 유효성을 보기 위해서 다음 단계 우리나라 기업에서 대리비용의 존재여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대리비용으로 과소투자의 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대리계약기간의 장단에 따른 대리비용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는 대리문제의 통제방법은 유효하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The Implication of Bandura's Vicarious Reinforcement in Observational Learning for Christian Education (관찰학습에서의 반두라 대리강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함의)

  • Lee, Jongmin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1
    • /
    • pp.81-107
    • /
    • 2020
  • This study reviews Bandura's vicarious reinforcement in observational learning process and implies this concept into Christian education in terms of spiritual role modeling.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answers three questions: "what is vicarious reinforcement?" "how does vicarious reinforcement take place in observational learning?" and "how does vicarious reinforcement affect observer's behavior change?" Bandura conceptualizes the learning process with observational learning and imitative or non-imitative performance. Based on this concept, Bandura define the roles of vicarious reinforcement in the four steps of observational learning process: attention, retention, motor reproduction, and motivational process. Also, the three effects of vicarious reinforcements are explain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observational learning effect, inhibitory or disinhibitory effects, and eliciting effect. Adapting the structure of observational learning theory in terms of the effect of vicarious reinforcement and the function of role models,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examines the biblical concept of imitation of Christ and the modeling strategy of discipleship. Especially Paul's spiritual role model serves as positive vicarious reinforcement for the Christian believers to perform the desired behaviors. Also, Paul's condemnation serves as explicit negative vicarious reinforcement. Then, the last part of this study covers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from observational learning and empirical studies in terms of spiritual role modeling to Christian education.

Factors which Influence Customers' Intention to Switch from Call-Based Driver-for-hire Services to App-Based Driver-for-hire Services Based on Online to Offline (O2O) Business Model: Focusing on Kakao Driver service (콜 대리업체 서비스에서 O2O 방식이 적용된 대리운전 사업 모델로의 소비자 전환 의도에 관한 연구: 카카오 드라이버를 중심으로)

  • Kim, Daewon;Jeong, Hye Seung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1 no.3
    • /
    • pp.51-78
    • /
    • 2016
  • Online-to-offline (O2O) commerce is the new trend that merges online commerce with traditional industries in various field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ich factors influence customers' intention to switch from call-based driver-for-hire services to O2O app-based services. This study used variables and factors based on Theory of Switching Intention, and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in order to design research questions. We surveyed 500 users of call-based driver-for-hire servic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call-based driver-for-hire services is estimat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that strengthens customers' intention to switch from the call-based driver-for-hire services to the app-based services. Loyalty to the previous call-based driver-for-hire services was not seen as a crucial motivator that causes customers to switch to the new O2O driver service. Switching cost also did not play a key role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call-based service and the intention to use the new app-based service. Performance expectancy, easiness in use, the level of user's knowledge or available assistance in relation to the use of app-based services, and expectancy for reasonable price was found to have meaningful impacts on customers' intention to switch from the call-based driver-for-hire services to the app-based services. Age, gender and user experience on the new service were found incapable of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forementioned factors which influence customers' choice of the app-based driver-for-hire service, and customers' intent to switch to the app-based service.

입찰계약방식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임영균;권영식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1
    • /
    • pp.6.1-6.16
    • /
    • 1998
  • 입찰계약방식은 발주기업인 구매자가 최선의 공급자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하나의 전략적 도구로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본연구는 대리이론과 거래비용분석에 의해 발주기업의 입찰계약방식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입찰계약방식이 거래의 관계지향성과 계약의 명시성의 두가지 차원을 본질로 하고 있으며, 이들 두가지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보의 비대칭성, 지각된 위험의 크기, 성과측정 및 감시의 필요성, 응찰기업에 대한 신뢰와 몰입수준, 발주기업의 상대적 의존도의 다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 본연구는 입찰계약방식이 이들 요인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명제의 형태로 제시하고 있으며, 실증분석을 위한 몇 가지 제언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 PDF

The Economic Analysis of Notional and Global Interest Politics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 Hwang, Uk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6 no.4
    • /
    • pp.103-127
    • /
    • 2007
  • This study presents the political economics models to explore the political landscape of special interest groups influencing the government's decision making process for implementin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 Starting with the popular menu-auction types of lobbying frameworks in the literature, the study extends its scope of research to multi-principal and multi-agency based international interest group politics and its hybrid case in order to bring the interaction of the relevant interest politics to the fore. Within a specific factor model of international trade between 2 small open economies, we compare the political equilibrium environmental standards in different institutional frameworks which can be feasible in the sense of recently growing role of environmental interest group. Although the conventional finding suggests that cooperative bargain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can attain the globally optimal level of the standard, the paper rather explains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interest groups and the hybrid case also generate the stricter standard then national interest politics usually do.

  • PDF

한국기업의 임원근속기간과 설비투자 수준에 관한 연구

  • Lee, Eui-Gye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1
    • /
    • pp.245-261
    • /
    • 1998
  • 본 논문은 다기간 대리모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대리비용 중에서 대리인과 위임자의 의사 결정고려기간(decision-making horizon)의 차이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과소투자유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대리인인 경영자는 자신의 명성을 고려해서 투자효과가 자신의 임기내에 나타나는 투자안에 높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 그런데 계속기업을 전제로 하면 대리인인 경영자는 위임자인 주주보다 투자의사결정시 고려하는 기간이 짧아서 과소투자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동적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이론적 모형의 결과도 대리계약기간이 짧을수록 투자수준이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한국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임원근속기간과 설비투자수준의 관계에 대해서 실증분석한 결과, 이론적 기대와 일치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낮은 편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전문경영체제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한국기업환경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 PDF

기업합병(企業合倂)과 에이전시이론(理論)

  • Kim, Wi-Sae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8 no.2
    • /
    • pp.99-110
    • /
    • 1991
  • 본 논문은 최근 미국에서 성행되고 있는 기업합병(企業合倂)과 기업비공개화(企業非公開化)와 같은 기업재구성(企業再構成)의 동기를 대리인(代理人) 문제(間題)의 관점에서 설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업합병의 경우, 취득기업의 내부자지분율(內部者持分率)이 높을수록 주주의 부(富)는 합병을 통해 증가하는 반면 내부자지분율이 낮은 기업은 합병을 통해 기존 주주의 부(富)는 오히려 감소한다. 이러한 현상은 소유경영자지분(所有經營者持分)이 낮을 수록 대리인비용이 크게 발생한다는 이론과 일관성(一貫性)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피취득기업의 주식가격은 합병정보가 공시 되기 이전 몇개월동안 크게 하락하였으나 합병 공시와 동시에 크게 상승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그 이유는 대리인문제(代理人問題)로 설명 할 수 있다. 피취득기업의 경영자는 기업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운용할 것(지분(持分)의 대리인비용(代理人費用))이므로 합병공시전 주가는 하락하지만, 합병공시후에는 이러한 대리인문제가 개선될 것이므로 주가가 상승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합병의 경우, 취득기업과 비취득기업 모두 대리인문제(代理人問題)와 관련을 갖는다. 또한 1980년 이후 공개기업(公開企業)의 경영자가 자기회사 주식을 매입한 후 비공개기업(非公開企業으)로 환원(還元)다하는 현상이 유행하고 있다. 비공개기업으로 환원한 기업의 경영자는 창의적 기업활동을 통하여 기업가치를 증대시킨 후 다시 발행시장에서 신주를 발행하여 상당한 이익을 얻고 있다. 이는 공개기업으로 존속하는 경우 낮은 내부자지분율로 인해 대리인문제가 발생하므로 비공개 기업으로 전환함으로써 대리인 비용을 자기주식 취득을 통해 절감시킬 수 있는 증거로 간주된다.

  • PDF

A Debate on the Reform Plan of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Governance Structure - A Critique on the Appliance of the Agency Theory and a Democratic Alternative -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 개편 논쟁에 관한 연구 - 대리인 이론 적용 비판과 민주주의적 대안의 모색 -)

  • Joo, Eun-S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3 no.1
    • /
    • pp.343-368
    • /
    • 2011
  • This Study aims to criticize national pension fund governance reform plan of Korea government and to search for an alternative direction of the reform. Firstly, I examine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Korean government reform plan by clarifying limits of application of agency theory to the public pension fund governance. Secondly, I try to reconstruct principles of the public pension fund governance with an alternative theoretical view emphasizing democracy principle. Thirdly, I evaluate the government reform plan with the basis of reconstructed pension fund governance principles. The government reform plan is expected to cause retrenchment of democracy and even political autonomy. It also would make worse the problem of pension fund autonomy from the financial market and the risk of the pension fund caused by market turbulence. Finally I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 of the pension fund governance reform emphasizing the democracy principle. This direction contains constructing co-determination structure of the state and the civil society, escalating controling power of the governing body to the administration body, setting the limits of the roles of the state, attaining of the autonomy from the financial market,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and social account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