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량 맞춤화형 제품의 선호도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A Study of the Fashion Design Process Model for Mass Customized Clothing)

  • 박진아;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13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에 적절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하기 위하여, 맞춤화 정도를 달리한 두 가지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종래의 대량 생산형 디자인 프로세스와 비교 고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이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맞춤화가 가장 심화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에서의 디자인 만족도가 높았으므로, 의류 제품에 있어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여 디자인 요소별 선호도를 분석해 본 결과,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색채가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 소비자에게 색채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집단으로 선정한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전체 응답자 집단에 비하여 소재 변수를 의미 있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 집단과 연구집단의 경우 모두 스타일이 가장 중요하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대량 맞춤화형 의류 제품의 수용 가능성과 이에 적합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 PDF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A Study of the Fashion Design Process Model for Mass Customized Clothing)

  • 박진아;이주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97-90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ffective design process model f3r mass customized clothing. Therefore, this study was to propose two models of mass customized fashion design processes which were different in the customized degree and to compare their efficiencies and appropriateness with those of the existing fashion design process.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survey of 150 female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during April in 2003. It was analysed by frequency, $X^2-test$, crosstabulation, correlation, t-test and multiple-regression. The results of survey were: Many respondents$(62.0\%)$ preferred mass customized products and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model which suggested more choices to presumers. The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was considered to be applicable to the present domestic clothing market. In the case of the whole respondents, color was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in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model; because of this, the opportunity to choose colors will be essential in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In the case of respondents who have higher preference on mass customized products, textile(texture) was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In the cases of both(whole respondents and respondents who have higher preference on mass customized products), style was the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 in fashion design process. To summarize, it proposed that to accept the mass customized clothing will be possible in this study. What is more, the guidelines to develope mass customized fashion design process model were suggest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