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 공간

Search Result 90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easurements of Photochemical Oxidants in urban area of Seoul (서울시 대기 중 광화학적으로 생성된 산화성 기체의 측정에 관한 연구)

  • 이강웅;이재훈;홍상범;김경렬;장성기;한진석;박철진;정일웅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02-303
    • /
    • 2000
  • 광화학적 오염이 공간적으로는 전지구적 규모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각국에서 공통적으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중요한 대기환경의 현안으로 현재 대두되고 있다. 광화학적인 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의 대다수가 인체에 유해하며 식물을 비롯한 우리의 환경에 광역적이고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다른 대기 오염의 현상보다 더욱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 New Spectrum Analysis Method of OP-FTIR for Measuring $O_3$ and VOCs in the Ambient (대기 중 오존과 VOCs 측정을 위한 OP-FTIR의 새로운 스펙트럼 분석 방법 개발)

  • 홍대웅;조석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27-228
    • /
    • 2003
  • 대기 오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광화학반응에 기여도가 높고, 인체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Volatile organic carbons(이하 VOCs)를 측정하는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져 오고 있다. Gas chromatography와 같은 sampling method에 의한 농도 측정 방법은 정확한 농도를 측정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대기 중 광화학반응 기작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오존과 VOCs를 포함한 화학종들의 공간적, 시간적인 농도 변화를 분석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Strategic Implementation Plans for Enhancing Air Quality in Seoul (서울시 대기환경 개선 실천과제 및 추진전략)

  • 김운수;장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44-48
    • /
    • 2000
  • 서울시민의 인체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도시공간상의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저감 및 관리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 대기환경 수준은 사회·경제적 여건변화와 교통, 토지이용, 에너지 소비 둥 여러 가지 영향인자의 복합적 작용의 결과이나, 이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한 처방은 다소 미흡한 수준이다. (중략)

  • PDF

A Study of Validity of the Wind Field according to Wind Flow Modeling Methods and Spatial Resolutions (공간적 해상도 및 바람장 생성방법에 마른 바람장의 유효성 연구)

  • 김성태;구윤서;최상민;윤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05-106
    • /
    • 2002
  • 대기 중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확산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대기의 흐름과 배출원의 특성이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대기확산 모델의 기상자료는 단일 측정기상자료를 입력자료로 이용하고 있지만, 이런 방법은 모델링 영역 전체를 동시간대에서는 같은 풍향과 같은 풍속이라고 가정하여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중략)

  • PDF

Predic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air pollutants within tunnel (터널 내 대기오염물질의 공간분포 예측)

  • Park, Il-Gun;Hong, Min-Sun;Kim, Beom-Seok;Kang, Ho-Geu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4 no.6
    • /
    • pp.607-616
    • /
    • 2012
  • The need for management of tunnel air quality is imminent considering the rapid increase of number and span of tunnels in Korea. To investigate spatial distribution of $CO_2$ within tunnels, $CO_2$ were measured and model simulations were performed in Namsan 1 tunnel. Results show that $CO_2$ concentrations were 250 ppm to 400 ppm higher in the exit than tunnel entrance. Also, $CO_2$ concentrations were 200 ppm to 300 ppm lower inside no ventilating vehicle than in the tunnel. Both experimental and mode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spat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gradient of air pollutant inside tunnel are highly dependent on traffic density.

A Study on Develop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s for Presenting Air Pollution Emission Data Using GIS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Bong-Gyou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 no.1 s.1
    • /
    • pp.39-4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for presenting diverse air pollution emission data using GIS. In this study, the system has been develped by ArcView 3.1 and digital maps. This paper consists of four parts. After the introduction, section two explains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s regarding air pollution omissions in the case of Seoul. Section three describes interfaces and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research and final section summarizes and derives conclusions.

  • PDF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iting Areas in General Hospital - focusing on the behavior of out-patient - (종합병원 외래진료부의 대기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외래 이용환자의 대기형태를 중심으로 -)

  • 노윤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1999.04a
    • /
    • pp.45-48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better arrangement of waiting areas in general hospital on comprehensing the patient's behavior as patient call-system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s characteristics is changed. That is for improvement in the circumstance of waiting area more important than before, and for the patient satisfaction and patient's affirmative judgement of hospital quality by offering the convenience. Through this study, the way of improvement for waiting area can be suggested such as the beeper system, the restructuring of program information, the multiple aim space without hospital program, the reform of the seat's arrayal, the waiting area with convenien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