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

Search Result 17,46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tudies of Vert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zone in Pohang Area (오존의 수직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 김지영;윤용훈;송기범;김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77-378
    • /
    • 2000
  • 1957년 국제지구물리관측년 (IGY: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계획 이래 대기중의 오존전량(total ozone)과 대기중의 수직 층별 오존량의 측정을 위해 본격적으로 전세계적 오존관측망이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점을 기준으로 오존에 관한 연구는 전지구적인 오존전량의 감소경향과 남극상공 성층권에서의 오존량 파괴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대기중 오존의 행태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각각의 대기권이 서로의 오존량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기중 오존의 수직분포에 관한 연구가 대단히 중요하다. (중략)

  • PDF

Regional Air Quality Management Policies and Prospects In Korea (한국의 지역 대기질 보전정책과 방향)

  • 최흥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41-43
    • /
    • 2000
  • 대기오염물질은 산불·황사 등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되기도 하지만 생산과 소비등 인간의 모든 활동과정에서 발생한다. 대기오염물질은 바람·비등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제거되는데 오염된질의 이동·반응 등에 의해 배출원 주변지역은 물론 멀리 떨어진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의 특징으로 인해 일정한 지역 전체가 하나의 대기오염권역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국경을 넘어 이동하기도 한다. (중략)

  • PDF

Deposition of Acid Precipitation in the Western Part of Kyongsangnam-do (서부경남 지역의 대기산성강하물질의 침착량 평가)

  • 박정호;조인철;최금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87-88
    • /
    • 2000
  • 서부경남 남해연안 지역에 위치한 대형 석탄 화력발전소는 그 동안 국가산업발전과 국민생활향상에 기여해온 반면, 다량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로 지역주민들의 건강, 재산 피해 및 각종 환경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그 피해사항도 언론매체를 통해 자주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지역 대기질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실제 정확한 지역의 대기오염 현황 파악을 통한 적극적인 대책방안이 요구된다. (중략)

  • PDF

PM-10 Source Estimation Using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를 이용한 PM-10의 오염원 추정)

  • 황인조;김동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91-293
    • /
    • 2000
  • 대기 연구자들은 대기오염의 일반적인 현황과 대기오염 유발의 근본 원인 파악, 저감 대책 등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 중에서 대기오염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오염원 (Source) 추정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미진하다. 대기질의 평가와 예측은 분산모델과 수용방법론을 이용하는데, 분산모델에 내재되어 있는 한계성과 제약점 때문에 수용체에서 오염물질의 특성을 분석한 후, 오염원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수용방법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중략)

  • PDF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s of $PM{2.5}$ Particles in Sihwa area (시화지역 PM2.5 분진의 화학적 조성 및 오염원 특성)

  • 박승식;이권호;김영준;김상우;윤순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94-296
    • /
    • 2000
  • 대기에어로졸의 화학적 조성은 대기화학과정 및 에어로졸의 기후변화 (climate forcing)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변수이다 대기에어로졸 군 입자크기가 2.5 $\mu\textrm{m}$보다 작은 미세입자들은 인간의 건강과 사회복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S. EPA, 1996). 시화지역은 크게 공단지역과 주거지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단지역에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이 대기확산을 통해 주거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주거지역에 살고있는 주민들에게 많은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Air Dispersion Modeling Software, "AirMaster" (대기 확산 모델링 소프트웨어, "에어마스터")

  • 구윤서;김성태;윤희영;전경석;박성순;황주현;김종화;이임학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63-364
    • /
    • 2000
  • 2000년 7월 환경부에서 발표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의 수는 32,437개소이고, 그 중에서 대형굴뚝이 있는 1종 ∼ 3종 사업장이 3,117 개소에 이르고 있다. 이들 사업장의 대부분은 굴뚝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21세기 대기환경관리 정책방향은 사업장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관리를 강화하고 있고,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방식도 기존의 배출농도 규제중심에서 배출원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기여농도를 중심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중략)

  • PDF

The Effect of Urban Air Pollution with operating the large Market in central area of City(1) (대형 유통사업이 도시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1))

  • 박종길;김경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36-237
    • /
    • 2000
  • 오늘날 자동차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연료로 사용되는 석유류의 연소는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을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며 지역환경조건 - 지역의 지리적 상황과 대기상태 및 대기질 - 과 결합하여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도시의 인구 증가는 도시 기반 시설인 도로망의 확충을 요구하며,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유통업체의 도심으로의 진출은 도시 교통량의 증가 및 차량 정체를 초래하여 도심지역의 대기오염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중략)

  • PDF

Projection of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에서의 먼지 배출량 장래 전망)

  • 이승복;심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4-135
    • /
    • 2000
  • 현실적이고 장기적인 대기환경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대기질 개선에 필요한 비용과 그에 따른 이익이 같이 예측되고 평가되어야 하는데, 대기질의 오염정도를 중장기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 대기질 모델링이 사용되며 이의 주요한 입력자료는 배출량 자료이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 수도권에서 관찰되는 대기오염의 형태가 과거와는 달리 주요 오염물질이 아황산가스 등 1차 오염물질에서 미세먼지와 오존 등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미세먼지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Temporal Variat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PAHs in Seoul (서울지역에서 대기 중 분진 및 입자상 PAHs 농도의 시간적 분포 특성)

  • 송은주;이유진;최지예;이지이;김용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41-342
    • /
    • 2003
  • 대기 중의 부유분진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은 대기오염을 측정하는 일반지표 중의 한 항목으로, 보통 대기의 단위부피당 질량으로 그 오염정도를 판단하고 있다. 대기 중 부유분진은 입경별 농도분포에 따라 통해 오염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여러 오염원에서 배출되어지는 여러 화학물질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 위해성 측면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또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는 환경에 존재하는 중요한 발암물질이자 돌연변이 유도체이다.(중략)

  • PDF

The Characteristics of Air Quailty over Jeju Island : Variations of $O_3$ and NO$_2$ (제주지역 대기질 변동특성 : $O_3$과 NO$_2$를 중심으로)

  • 오태권;박용이;허철구;이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19-420
    • /
    • 2003
  • 대기질의 특성 및 변동에 관련된 많은 연구는 대부분이 대도시 또는 대도시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연구로부터 대도시에서의 대기질, 특히 오존의 변동 특성 및 기타 오염물질과의 관계 등에 대한 많은 자료가 축적되어왔다. 그렇지만 대도시의 오존농도가 대도시내에서의 생성 및 소멸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대기운동과 관련된 수송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혀짐에 따라 청정한 대기상태에서 배경농도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