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확산

Search Result 68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월성원전 부지의 해륙풍 모델링 및 특성분석

  • 이갑복;손순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107-112
    • /
    • 1996
  • 원전의 환경방사선 영향평가(정상시/사고시)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방사성 물질의 대기중 이동을 모사·예측할 수 있는 체제가 정립되어야 한다. 해안 지역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해륙풍이 대기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대기확산모델의 바람장 자료로 이용되는 월성원전 주변지역의 해륙풍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삼차원 상세 해륙풍 모델을 개발하였다. 봄철 약한 북풍의 지균풍이 부는 맑은 날에 대하여 해륙풍 모델을 수행시켜 월성원전 지역의 해륙풍 특성을 분석하고 해륙풍 모델결과와 관측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by Yellow Sand Phenomenon (황사현상에 의한 먼지의 입경별 분포와 중금속 오염특성)

  • 이용기;최양희;임홍빈;최승석;김종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80-381
    • /
    • 2002
  • 한반도를 위시한 동북아 지역은 급속한 산업 및 경제적 활동 증가로 세계의 주요 오염지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의 이동확산은 어느 특정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오염과 피해 사이에 시간과 공간적인 차이가 존재하고 있으며 인과관계도 불명확한 상황이다. 매년 봄 한반도를 위시한 동북아지역에 중국, 만주 등지를 기원으로 하는 황사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황사와 함께 이동되는 대기오염물질들 역시 강한 서풍기류에 의해 북태평양까지 이동할 만큼 장거리 이동현상도 발생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Fine Dust Modeling for Air Quality Prediction (미세먼지 확산 모델링을 이용한 대기질 예측 시스템에 대한 연구)

  • Yoo, Ji-Hyun
    • Journal of IKEEE
    • /
    • v.24 no.4
    • /
    • pp.1136-1140
    • /
    • 2020
  • As air pollution caused by fine dust becomes serious, interest in the spread of fine dust and prediction of air quality is increasing. The causes of fine dust are very diverse, and some fine dust naturally occurs through forest fires and yellow dust, but most of them are known to be caused by air pollutants from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petroleum and coal or from automobile exhaust gas. In this paper, the CALPUFF model recommended by the US EPA is used, and CALPUFF diffusion modeling is performed by generating a wind field through the CALMET model as a meteorological preprocessing program that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wind field, which is a meteorological element required by CALPUFF. Through this, we propose a fine dust diffusion modeling and air quality prediction system that reflects complex topography.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 Prediction of Vehicle Emission in Urban Street Canyons (도심 거리 협곡에서 자동차 대기오염물질의 확산 특성 및 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 박성규;김신도;이희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65-166
    • /
    • 2003
  • 도심 도로변의 대기질은 주변의 고층 건물로 인한 거리 협곡으로 인하여 도시의 대기질에서 가장 빈번하게 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이다. 대부분의 대도시에서 고층 빌딩으로 구성된 도심 거리 협곡(urban street canyon)의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운전자, 보행자, 도로변 작업자, 자동차 승객 등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동차 대기오염물질은 지표면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거리 협곡은 배출원 인근의 대기오염물질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우선적으로, 거리 협곡은 협곡 상공에서 수직적인 혼합을 유도하게 된다. 둘째로, 거리 협곡의 형성은 협곡의 지형적 또는 물리적 경계 내의 오염물질을 정체시키게 되어, 협곡 상공으로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하여 오염물질을 수송하는 것을 지체시키는 경향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