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기자료

검색결과 2,167건 처리시간 0.03초

대기오염종합정보시스템 (Air pollution Monitoring and Total Management System)

  • 송미영;조석연;선우영
    • 환경기술인
    • /
    • 통권174호
    • /
    • pp.67-72
    • /
    • 2001
  • 대기오염에 관한 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우선 대기오염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오염 상황에 대한 원인 분석 및 변화 추세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광범위한 지역의 대기오염 상황을 감시하고, 이들 오염 상황으로부터 적절한 분석 및 예측을 수행 또는 지원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불가결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및 실시간 대기측정 자료와 기상측정 자료를 DB화하고, GIS로 구축된 지형 및 지용도 자료와 배출량 자료를 연계하여, 현재의 대기

  • PDF

서울시의 점오염원 배출량 추정 방법 (A Methodology Estimation of Point Source Emission Inventory in Seoul)

  • 박성규;김신도;박진수;홍유덕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4
    • /
    • 1999
  • 대기오염 배출원 자료(Emission Inventory)는 어떤 지역의 대기질 관리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역 대기질 개선의 대책을 마련하고, 대기환경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이 배출원이 정확하지 않으면 올바른 정책의 수립과 대기질 개선 및 유지가 어렵게 된다. 환경부에서는 매년 '대기오염물질배출량'에 대하여 조사 발표하고 있으며, 이 자료를 통하여 많은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중략)

  • PDF

경기지역 대기오염 배출자료 관리를 위한 Web Components의 구성 (Web Components Air Pollutants Emission Management in Gyonggi Area)

  • 장영기;신문기;서정배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274
    • /
    • 2000
  • 대기오염의 현황을 인지하고 현실적인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대기오염 모델의 입력자료, 주요 배출원의 파악 및 기여정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대기관리정책의 수립 및 평가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Aerometr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AIRS)과 유럽 CORINAIR(EU 내에서 data 호환을 위한 규약)의 경우에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정보를 WWW(World Wide Web:이하 WWW) 상에서 공개함으로써 배출량 연구의 공유와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다. (중략)

  • PDF

대기확산모델 운영을 위한 국내기상자료 변환프로그램개발 (The development of a meteorological data conversion program for air dispersion modeling)

  • 임문혁;정의석;홍현수;김진완;김선규;김선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9-350
    • /
    • 2003
  • ISCST 등의 대기확산모델은 모두 EPA에서 개발된 것으로 모델 운영에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가 미국의 실정에 맞게 프로그램 되어 있다. 특히 ISC모델을 운영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기상자료를 생성하는 MIXHTS와 PCRAMMET등은 미국 기상청이나 기타 기상관련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ISC를 운영하는데 있어 국내 기상자료를 해당하는 형태로 전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우리나라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기상자료의 형태와 MIXHTS PCRAMMET에서 요구하는 기상자료형태를 모두 알고 있어야만 ISC를 운영하기 위한 올바른 기상자료를 만들 수 있었다. (중략)

  • PDF

대기오염자료처리방법에 따른 대기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Ambient Air Qualities with Data Processing Methods)

  • 마창민;조창래;문광주;홍유덕;한진석;정일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9-130
    • /
    • 2001
  • 대기오염실태를 파악하고 대기질 개선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총 152개소(2000년 12월 기준)의 지역대기측정망을 환경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중에 있으며, 이들 측정소에서 생산되는 자료는 (지자체) $\longrightarrow$ 환경관리청 $\longrightarrow$ 환경부 $\longrightarrow$ 국립환경연구원('99년 1월부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최종적으로 축적된다. (중략)

  • PDF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조사의 현황과 추진방향 (Status and Direction for Emission Source Inventory of Air Pollutants)

  • 석광설;이석조;홍지형;차준석;김정태;장세경;김인회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56
    • /
    • 2002
  • 1980년 환경청 발족이래 국가 대기환경보전을 위한 수많은 노력을 수행해 왔으나, 선진국에 비해 아직까지도 대기오염과 관련된 기초자료가 매우 부실하다. 특히 대기보전정책이나 관련 연구의 기초가 되는 대기오염 발생원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 왔으나, 일관된 업무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편적인 대응을 해옴으로서 아직까지도 신뢰성 있는 오염배출원 자료가 확립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중략)

  • PDF

공간적 해상도 및 바람장 생성방법에 마른 바람장의 유효성 연구 (A Study of Validity of the Wind Field according to Wind Flow Modeling Methods and Spatial Resolutions)

  • 김성태;구윤서;최상민;윤희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6
    • /
    • 2002
  • 대기 중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확산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대기의 흐름과 배출원의 특성이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대기확산 모델의 기상자료는 단일 측정기상자료를 입력자료로 이용하고 있지만, 이런 방법은 모델링 영역 전체를 동시간대에서는 같은 풍향과 같은 풍속이라고 가정하여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중략)

  • PDF

TOMS(Total Ozone Mapping Spectrometer) Aerosol Index자료를 이용한 대기 에어로졸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Atmospheric Aerosol using TOMS Aerosol Index Data)

  • 이권호;김영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1-442
    • /
    • 2001
  • TOMS (Total Ozone Mapping Spectrometer)는 Nimbus-7과 Meteor-3에 탑재되어 자외선 영역에서 오존의 양을 측정하는 임무를 가지고 1978년부터 1994년 12월까지 일별 오존자료를 제공하였다. 1996년 8월 17일에 발사된 일본의 ADEOS에 탑재된 TOMS는 1997년 6월 29일까지 자료를 생산했으며 1996년7월 2일 발사된 Earth Probe의 TOMS는 현재까지 실시간 자료를 보내오고 있다. TOMS는 지구의 대기에 의해 반사된 태양 광선중의 자외선 자료를 통해 오존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원리이다. (중략)

  • PDF

EOS 자료를 이용한 지구고층대기 연구

  • 최기혁;임효숙;이주희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통권 4호 Proceedings of the 2001 KSRS Spring Meeting
    • /
    • pp.91-91
    • /
    • 2001
  • 현재 진행되고 있다고 여겨지는 지구변화 (Global Change)의 연구는 환경/지구과학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의 분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Global Warming)는 지구환경에 부정적인 효과가 초래될 것으로 우려되는바, 여러 지구환경 인자들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인자는 대기온도이고 아울러 해수온도/해류, 바람속도/방향, 대기화학 조성, 식생분포, 구름량, 얼음분포 등이 간접적인 인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EOS 위성군 중 고층대기 연구를 위한 UARS 위성의 HRDI 센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HRDI는 대기성분 중 산소 $O_2$ 발광선의 도플러 변이를 측정하여 바람속도를 측정한다.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50~100 km 상공의 바람속도 변화를 지상에서의 OH 발광선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연구로서 정략적이고 보편적인 결과 도출보다는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지구온난화는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는 대기 중 에너지의 증가를 불러와 필연적으로 고층대기의 교란 현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지구전체 대기의 풍속/풍향의 고도변화가 분석되면 지구온난화에 의한 고층대기 변화가 탐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철강산업분야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과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Estimation of Emission Factor for Air Pollutants in the Iron and Steel Industry)

  • 방선애;홍지형;허정숙;석광설;김대곤;이대균;엄윤성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69
    • /
    • 2002
  • 국제사회는 환경을 범지구적 문제로 규정하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환경협약을 체결하고 환경보호를 위한 무역규제조건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상황은 국가 간 정보의 교류·협력을 강조하며, 대기배출량 등 환경정보의 상호 교류를 요구하고 있다. 각 국의 국가 대기배출량은 자료의 신뢰성과 각 국 자료의 비교·평가를 위해서 산정방법과 자료 제출형태 등이 일관된 형태를 이루어야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