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당뇨병 유병률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Diabete Care - 췌장암 환자의 당뇨병 관리

  • 윤미애
    • 월간당뇨
    • /
    • 통권289호
    • /
    • pp.53-56
    • /
    • 2013
  • 당뇨병과 췌장암은 어떠한 관계가 있을까? 제2형 당뇨병의 경우 췌장암의 발생 위험은 1.8배 높다. 우리나라 췌장암 환자의 당뇨병 유병률은 28~30%로 일반인의 당뇨병 유병률이 7~9%에 비하여 3배 이상 높다(중앙암등록본부, 2012). 또한 일반인의 췌장암 유병률이 10만명 당 7명(0.007%)인데 비하여 당뇨병 환자의 췌장암 유병률은 1.6%이고, 췌장암 환자에서 당뇨병이 있을 확률은 40.6%라 한다(대한소화기학회지, 2009).

  • PDF

당뇨병 치료의 미래

  • 김신곤
    • 월간당뇨
    • /
    • 통권286호
    • /
    • pp.10-15
    • /
    • 2013
  • 당뇨병은 이제 하나의 사회적 유행병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지난 30여년간 당뇨병으로 인한 유병률이 6-7배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 속도는 선진국들의 그것 보다 훨씬 빨라 조만간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이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에 이를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우리나라 당뇨병의 합병증은 무척 흔해 새로 신대체요법을 받는 환자들의 70.5%에서 당뇨병이 동반되어 있을 정도이다.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도 급속히 늘어 최근 20년간 3배가 증가하였으며 이제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4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 당뇨병으로 인한 의료비용 지출도 늘어 최근 10여년간 당뇨병 관련 총 진료비가 7배 증가하였으며, 전체 건강보험 총 진료비의 5분의 1을 점유할 정도가 되었다.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 40대를 지켜라 -자각증상 없는 당뇨병 합병증이 더 무섭다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5권4호
    • /
    • pp.20-22
    • /
    • 2011
  • 사회의 중추라 할 수 있는 40대의 당뇨병 발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른 당뇨병 합병증에 의한 사망률도 증가하여 당뇨병이 40대의 사망원인 8위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 30~40년 전부터 경제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면서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양식의 변화를 당뇨병 유병률이 1990년대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당뇨병 유병률이 약 5~6%, 즉 250만 명 이상이 당뇨병 환자로 추산되고 있으며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 PDF

당뇨병 유병률, 진단률 및 위험인자 영향 분석 (Diabetes Prevalence and Diagnosis Rates, and Risk Factor Effect Analysis)

  • 길유진;정윤;박상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05-110
    • /
    • 2024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에 참여한 대상자 중 당뇨병 유병자를 4개의 유형별로 구분하여 당뇨병 유병률과 진단율을 연령대별로 조사하였다. 또한 이미 당뇨병 진단을 받은 환자들의 당화혈색소 수치와 체중, 허리둘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치 및 체중보정 허리둘레,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9년도 당뇨병 유병률은 16.03 %이었으며, 남성의 유병률은 30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여성의 유병률은 40대까지 남성보다 낮았으나 50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70 대 이후에는 남성과 비슷해졌다. 당뇨병 진단그룹에서 당화혈색소 수치는 체중, 허리 둘레, BMI, WWI 수치와 상관계수도 낮고 상관관계도 유의하지 않았으나 중성지방 수치와는 0.178의 상관계수를 보이며 p value는 0.001 이하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

성인의 건강상태, 건강행위가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 홍지연;박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98-209
    • /
    • 2014
  • 당뇨병은 유병률과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질병이다. 본 연구는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당뇨병 유병률의 감소를 위한 중재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19세 이상 성인으로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5995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 모듈을 사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0.5%였고, 당뇨병 유병 오즈비는 학력에서 대졸 이상에 비해 중졸은 2.51배, 주관적 건강상태가 매우 좋은 경우에 비해 매우 나쁜 경우 4.77배, 비만인 경우 1.44배, 고혈압을 진단받은 경우 2.57배,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경우 2.63배, 체중조절을 하지 않는 경우 1.31배, 식이요법을 하는 경우 2.75배로 높았다. 본 연구는 당뇨병 유병률을 예측하는 변수로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비만 유병 여부, 고혈압 의사진단 여부, 고지혈증 의사진단 여부, 체중조절 여부, 식이요법 여부를 밝힘으로써 당뇨병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와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당뇨병 환자의 고혈압으로 찾아오는 합병증

  • 배종화
    • 월간당뇨
    • /
    • 통권151호
    • /
    • pp.20-23
    • /
    • 2002
  • 고혈압과 당뇨병은 성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만성 질환으로서 특히 두 가지 질환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고혈압과 당뇨병은 둘 다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신장질환 및 망막질환의 위험 인자로서 조기에 합병증을 발생시켜 유병률과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통계에 의하면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서 두 배 이상 고혈압이 발생하고 당뇨병 환자의 1/3에서 결국 고혈압이 발생하는데 특히 50세 이전에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많이 발생하며, 50세 이후에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많이 발생한다. 또한 백인에서 보다 흑인에서 두 가지 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두 배 이상 많으며 경제적으로 빈곤할 수록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당뇨병 환자에서는 고혈압이 유병률이나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데 그 이유는 고혈압의 합병증, 즉 관동맥질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신장질환 등의 발생과 성인 시력장애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인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당뇨병 환자에서도 고혈압 발생이 두 배로 많은데 당뇨병의 유형 및 기간, 신장질환 유무, 연령, 성별 및 인종에 따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두 가지 질병이 다 같이 유사한 합병증을 일으켜 표적 장기에 손상을 주므로 두 질환을 가지고 있으면 이러한 합병증의 발병을 더욱 앞당기게 된다.

  • PDF

지역사회 건강행태, 고혈압, 당뇨병 유병률 변화와 변이 요인 (Changes and determinants affecting on geographic variations in health behavior,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Korean)

  • 김유미;강성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241-25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건강행태, 고혈압, 당뇨병 유병률의 변화와 변화율의 지역 간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8년과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5년간 지역 간 건강행태 변화와 고혈압 및 당뇨병 유병률 변화의 지역 간 변이 정도, 변이의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 의사결정나무 등 융복합적 분석을 하였다. 지난 5년간 현재 흡연율과 월간 음주율의 증가는 남서부 지역에서 높았고, 걷기 실천율의 증가는 서부 지역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고혈압은 서부와 남부, 당뇨병은 동부와 북부 지역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고혈압 및 당뇨병 유병률 변화의 지역 간 변이 요인은 고혈압 및 당뇨병 이외에 음주, 신체활동, 비만, 관절염, 우울증상 및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우울증상이 증가하는 지역에서 고혈압과 당뇨병의 유병률의 증가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혈압과 당뇨병의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에 기반한 주민 정신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Diabete Care: Healthy Life - 신장합병증을 동반한 당뇨환자의 교육

  • 김선영
    • 월간당뇨
    • /
    • 통권287호
    • /
    • pp.38-43
    • /
    • 2013
  • 당뇨병성 신장 합병증은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써, 20년 이상 경과한 제1형 당뇨병 환자의 40-50%에서 유발되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10~15%정도로 1형에 비해 유병률이 낮아 보이지만 제2형 당뇨병의 빈도가 훨씬 높으므로 혈액 투석을 받는 당뇨병 환자의 절반이상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이다.

  • PDF

임신성 당뇨병에 대하여

  • 조용욱
    • 월간당뇨
    • /
    • 통권148호
    • /
    • pp.23-25
    • /
    • 2002
  • 임신성 당뇨병은 정도에 관계없이 임신 중에 처음 발생하였거나 진단된 다양한 정도의 당대사 장애를 말한다. 유병률은 인종이나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대략 2-3$\%$정도로 보고되어 있고 최근에 들어서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PDF

노화와 당뇨병

  • 유형준
    • 월간당뇨
    • /
    • 통권148호
    • /
    • pp.20-22
    • /
    • 2002
  • 의료기술과 생활형편의 향상에 의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우리 나라 노인 인구는 전 인구의 7$\%$를 넘어섰다. 이른바 고령화 사회가 된 것이다. 이처럼 노인 인구수가 급증하면서 눈에 띄게 늘고 있는 노인병 중의 하나가 당뇨병이다. 보고에 따라서는 20세에서 44세 사이의 연령대에 비해 65세 이상의 연령에서 10배나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당뇨병이 있으면서도 노인이기 때문에 진단을 받지 않고 있는 경우를 합하면 더 늘어날지 모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