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당뇨병 유병률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iabete Care - 췌장암 환자의 당뇨병 관리

  • Yun, Mi-Ae
    • The Monthly Diabetes
    • /
    • s.289
    • /
    • pp.53-56
    • /
    • 2013
  • 당뇨병과 췌장암은 어떠한 관계가 있을까? 제2형 당뇨병의 경우 췌장암의 발생 위험은 1.8배 높다. 우리나라 췌장암 환자의 당뇨병 유병률은 28~30%로 일반인의 당뇨병 유병률이 7~9%에 비하여 3배 이상 높다(중앙암등록본부, 2012). 또한 일반인의 췌장암 유병률이 10만명 당 7명(0.007%)인데 비하여 당뇨병 환자의 췌장암 유병률은 1.6%이고, 췌장암 환자에서 당뇨병이 있을 확률은 40.6%라 한다(대한소화기학회지, 2009).

  • PDF

당뇨병 치료의 미래

  • Kim, Sin-Gon
    • The Monthly Diabetes
    • /
    • s.286
    • /
    • pp.10-15
    • /
    • 2013
  • 당뇨병은 이제 하나의 사회적 유행병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지난 30여년간 당뇨병으로 인한 유병률이 6-7배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 속도는 선진국들의 그것 보다 훨씬 빨라 조만간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이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에 이를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우리나라 당뇨병의 합병증은 무척 흔해 새로 신대체요법을 받는 환자들의 70.5%에서 당뇨병이 동반되어 있을 정도이다.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도 급속히 늘어 최근 20년간 3배가 증가하였으며 이제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4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 당뇨병으로 인한 의료비용 지출도 늘어 최근 10여년간 당뇨병 관련 총 진료비가 7배 증가하였으며, 전체 건강보험 총 진료비의 5분의 1을 점유할 정도가 되었다.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 40대를 지켜라 -자각증상 없는 당뇨병 합병증이 더 무섭다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v.35 no.4
    • /
    • pp.20-22
    • /
    • 2011
  • 사회의 중추라 할 수 있는 40대의 당뇨병 발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른 당뇨병 합병증에 의한 사망률도 증가하여 당뇨병이 40대의 사망원인 8위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 30~40년 전부터 경제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면서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양식의 변화를 당뇨병 유병률이 1990년대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당뇨병 유병률이 약 5~6%, 즉 250만 명 이상이 당뇨병 환자로 추산되고 있으며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 PDF

Diabetes Prevalence and Diagnosis Rates, and Risk Factor Effect Analysis (당뇨병 유병률, 진단률 및 위험인자 영향 분석)

  • Yujin Gil;Yoon Chung;Sangsoo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105-110
    • /
    • 2024
  •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8th 1st year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diabetes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types and the prevalence and diagnosis rates of diabetes were investigated by age group.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glycated hemoglobin levels and body weight, waist circumference, cholesterol, triglyceride levels, weight-adjusted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mass index in patients already diagnosed with diabet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valence of diabetes in 2019 was 16.03%, and male The prevalence rate for men continued to increase after the 30s, and that for women was lower than that for men until the 40s, but increased rapidly after the 50s and became similar to that of men after the 70s. In the diabetes diagnosis group, the glycated hemoglobin level had a low and no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weight, waist circumference, BMI, and WWI levels, but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178 with the triglyceride level, and the p value was less than 0.001, which was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Effect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성인의 건강상태, 건강행위가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 Hong, Ji-Yeon;Park, Jin-A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0
    • /
    • pp.198-209
    • /
    • 2014
  • Diabetes Mellitus (DM) is well known for increasing morbidity and mortality, especially related to their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valence rate of DM and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rategy to reduce the prevalence rate of DM. The study subjects were adults aged over 19 on the basis of the primitive data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 Therefore, the data of 5995 participants were analyzed. For data process, the complex sample analysis module of SPSS 18.0 program was employed to add weighting befor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evalence rate of DM of the study subjects was 10.5%. Regarding the odds ratio of DM prevalence, the subjects who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had the odds ratio 2.51 times higher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and more; those in subjective bad health condition 4.77 times higher than those in subjective good health condition; those in obesity 1.44 times higher; those with high blood pressure 2.57 times higher; those with hyperlipidemia 2.63 times higher; those who fail to control their weight 1.31 times higher; those going on a diet 2.75 times higher. This study revealed that a level of educ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obesity, high blood pressure, hyperlipidemia, weight control, and dietary therapy were the predictable variables of the prevalence rate of DM, and thereby suggested the nursing direction and research direction to reduce the prevalence rate of DM.

당뇨병 환자의 고혈압으로 찾아오는 합병증

  • 배종화
    • The Monthly Diabetes
    • /
    • s.151
    • /
    • pp.20-23
    • /
    • 2002
  • 고혈압과 당뇨병은 성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만성 질환으로서 특히 두 가지 질환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고혈압과 당뇨병은 둘 다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신장질환 및 망막질환의 위험 인자로서 조기에 합병증을 발생시켜 유병률과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통계에 의하면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서 두 배 이상 고혈압이 발생하고 당뇨병 환자의 1/3에서 결국 고혈압이 발생하는데 특히 50세 이전에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많이 발생하며, 50세 이후에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많이 발생한다. 또한 백인에서 보다 흑인에서 두 가지 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두 배 이상 많으며 경제적으로 빈곤할 수록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당뇨병 환자에서는 고혈압이 유병률이나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데 그 이유는 고혈압의 합병증, 즉 관동맥질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신장질환 등의 발생과 성인 시력장애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인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당뇨병 환자에서도 고혈압 발생이 두 배로 많은데 당뇨병의 유형 및 기간, 신장질환 유무, 연령, 성별 및 인종에 따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두 가지 질병이 다 같이 유사한 합병증을 일으켜 표적 장기에 손상을 주므로 두 질환을 가지고 있으면 이러한 합병증의 발병을 더욱 앞당기게 된다.

  • PDF

Changes and determinants affecting on geographic variations in health behavior,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Korean (지역사회 건강행태, 고혈압, 당뇨병 유병률 변화와 변이 요인)

  • Kim, Yoo-Mi;Kang, Sung-H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1
    • /
    • pp.241-25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health behavior and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during five years and analyzed determinants affecting on geographic variations of them. Data from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in the period of 2008 and 2013 with 246 small district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vergence tools such a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ol and decision tree. During the five years period, areas of the increases in smoking and drinking were southwest regions showed increased smoking and areas of increases in physical activity are western regions. Areas of the increases i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ere west and south regions and in the prevalence of diabetes were east and north regions. Determinants affecting on regional variations i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were drinking, physical activity, obesity, arthritis, depressive symptom and stress. Mental health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non-communicable disease. Thus, to decrease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our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to develop customized mental health policies according to the region-specific characteristics.

Diabete Care: Healthy Life - 신장합병증을 동반한 당뇨환자의 교육

  • Kim, Seon-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87
    • /
    • pp.38-43
    • /
    • 2013
  • 당뇨병성 신장 합병증은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써, 20년 이상 경과한 제1형 당뇨병 환자의 40-50%에서 유발되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10~15%정도로 1형에 비해 유병률이 낮아 보이지만 제2형 당뇨병의 빈도가 훨씬 높으므로 혈액 투석을 받는 당뇨병 환자의 절반이상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이다.

  • PDF

임신성 당뇨병에 대하여

  • 조용욱
    • The Monthly Diabetes
    • /
    • s.148
    • /
    • pp.23-25
    • /
    • 2002
  • 임신성 당뇨병은 정도에 관계없이 임신 중에 처음 발생하였거나 진단된 다양한 정도의 당대사 장애를 말한다. 유병률은 인종이나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대략 2-3$\%$정도로 보고되어 있고 최근에 들어서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PDF

노화와 당뇨병

  • 유형준
    • The Monthly Diabetes
    • /
    • s.148
    • /
    • pp.20-22
    • /
    • 2002
  • 의료기술과 생활형편의 향상에 의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우리 나라 노인 인구는 전 인구의 7$\%$를 넘어섰다. 이른바 고령화 사회가 된 것이다. 이처럼 노인 인구수가 급증하면서 눈에 띄게 늘고 있는 노인병 중의 하나가 당뇨병이다. 보고에 따라서는 20세에서 44세 사이의 연령대에 비해 65세 이상의 연령에서 10배나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당뇨병이 있으면서도 노인이기 때문에 진단을 받지 않고 있는 경우를 합하면 더 늘어날지 모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