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담수직파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5초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 기계이앙과 담수산파 재배의 건물 생산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Biomass Production between Machine-Transplanted and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in the Central Plain Area of Korea)

  • 양운호;박정화;강신구;김숙진;최종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86-195
    • /
    • 2018
  •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 기계이앙과 담수산파 재배의 건물 생산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 시험 포장에서 최근 육성 등록된 목우와 녹우 품종을 이용하여 5월 20일에 이앙 및 직파하여 3년간 검토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담수산파 재배의 $m^2$당 입모수는 125~192개였으며, 출수기는 9월 11일~18일로 기계이앙보다 11~17일 지연되었다. 2. 기계이앙보다 담수산파 재배에서 수확기의 3년 평균 볏짚 건물중은 증가하였고 이삭 건물중은 감소하였는데, 볏짚 건물중 증가량이 이삭 건물중 감소량의 3.3배로 많아 전체 건물 수량은 증대되었다. 3. 건물 수량은 볏짚 건물중과 밀접한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이삭 건물중과는 일정한 관계가 없었으며, 출수 후 수확기까지의 볏짚 건물중 감소 정도와 이삭 건물중 증가 정도는 유의한 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4. 건물 수량과 밀접하게 관련된 볏짚 건물중은 초장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m^2$당 수수가 많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기계이앙 대비 담수산파의 전체 건물중 비율은 이삭 건물중 비율과는 관계가 없었고 볏짚 건물중 비율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5. 기계이앙 대비 담수산파에서 $m^2$당 수수는 9% 증가하여 하나의 이삭이 차지하는 평균 면적이 감소하였음에도 이삭줄기당 건물중 비율이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6. 따라서 담수산파 재배를 통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담수산파에서 이삭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품종 재배적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운방법의(耕耘方法) 차이(差異)가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과 직파(直播)벼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ifferent Tillage Practices on Chang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Direct Seeding Rice)

  • 조현준;조인상;현병근;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1-305
    • /
    • 1995
  • 논토양(土壤) 경운(耕耘) 및 관기방법(灌漑方法)에 따른 토양(土壤)의 물리적특성(物理的特性)과 수도생육(水稻生育)의 차이(差異)를 구명(究明)하고자 석천통(石泉統)에서 무경운(無耕耘) 건답(乾畓), 무경운(無耕耘) 담수(湛水), 경운(耕耘) 건답(乾畓), 경운(耕耘) 담수구(湛水區)와, 관행(慣行)(기계이앙경운(機械移秧耕耘)-로타리) 등(等)의 5개(個) 처리구(處理區)를 두고 수도(水稻)를 3년간(年間) 재배(栽培)하면서 토양(土壤)의 물리적특성(物理的特性)과 수도생육(水稻生育)을 조사(調査)한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토양(土壤)의 가비중(假比重)과 경도(硬度)는 경운구(耕耘區)보다는 무경운구(無耕耘區), 담수구(湛水區)보다는 건답구(乾畓區)에서 높았다. 무경운(無耕耘), 건답구(乾畓區)의 투수원도(透水速度)는 경운비토구(耕耘碑土區)보다 56% 빨라 전관개기간중용수량(全灌漑期間中用水量)이 27% 증가(增加)되었으나, 무경운구(無耕耘區)에서는 관행구(慣行區)보다 낙수기이후(落水期以後) 수분감소(水分減少)가 빨라 농기계(農機械) 작업(作業)이 유리(有利)한 조건(條件)이었다. 층위별(層位別) 뿌리분포(分布)를 보면 무경운구(無耕耘區)는 주로 표토(表土)에 분포(分布)하였다. 출수기(出穗期)는 무경운구(無耕耘區)가 경운구(耕耘區)보다 2일(日)정도 빠르고 건답구(乾畓區)가 담수구(湛水區)보다는 3일(日) 빨랐다. 처리별(處理別) 수도생육(水稻生育)은 건답구(乾畓區)보다는 담수구(湛水區)에서 양호(良好)하였고 줄기매몰(埋沒) 깊이는 무경운담수구(無耕耘湛水區)에서 지상부(地上部)로 0.9cm 올라와서 도복(倒伏)의 위험(危險)이 있었다. 무경운시(無耕耘時) 3년(年) 평균(平均) 정조수량(正租收量)은 건답구(乾畓區) 및 담수구(湛水區)가 각각(各各) 5.55M/T/ha, 5.16M/T/ha로써 관행구(慣行區) 6.31M/T/ha 보다 각각(各各) 12.0%, 18.2% 감수(減收)되었으며 대체로 무경운시(無耕耘時)는 건답구(乾畓區), 경운시(耕耘時)에는 담수구(湛水區)에서 수량(收量)이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 PDF

논발생(發生) 담수조류(淡水藻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녹조류(綠藻類)의 동정(同定) 및 번식생태(繁殖生態) (Fresh-water Algae Occurred in Paddy Rice Fields III. Identification and Propagation of Green Algae)

  • 이한규;박재읍;류갑희;이정운;박영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5-351
    • /
    • 1992
  • 논에 발생(發生)하는 조류(藻類)의 생태(生態) 및 방제(防除)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1991년 전국(全國) 논에서 채집(採集)한 녹조류(綠藻類)에 대(對)하여 분류(分類) 동정(同定)하고 주요(主要) 조류(藻類)의 번식생태(繁殖生態)를 구명(究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전국(全國) 논에서 채집(採集)한 녹조류(綠藻類)에는 총(總) 16과(科) 29속(屬) 46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2. 서산(瑞山) 간척지(干拓地) 담수직파(湛水直播) 논에 대량(大量) 발생(發生)하는 조류(藻類)는 사상(絲狀) 녹조류(綠藻類)(Cladophora)이었으며 분지형(分枝形) 사상체(絲狀體)이고 대량(大量) 발생(發生)한 논에서는 구형집단(求刑集團)으로서 수면(水面)에 부유(浮遊)하고 있었다. 3. 벼 이앙후(移秧後) 수면(水面)에 나타나는 연색(緣色) 수화현상(水花現象)은 주로 부유성(浮遊性) 단세포(單細胞) 녹조류(綠藻類) Chlamydomonas, 부유성(浮遊性) 사상(絲狀) 녹조류(綠藻類) Stichococcus 등(等)에 기인(起因)하였다. 4. 그물말(Hydrodictyon)은 모체(母體)의 각(各) 세포(細胞)로부터 어린 망상체(網狀體) 1개(個)씩이 형성(形成)됨으로써 단기간(短期間)에 많은 개체(個體)로 증가(增加)하는 무성번식(無性繁殖) 주(主)로 하고 있었다. 5. 붓뚜껑말(Oedogonium)의 유성번식(有性繁殖)과 무성번식(無性繁殖) 과정(過程) 및 해캄(Spirogyra)의 유성번식(有性繁殖) 과정(過程)이 관찰(觀察)되었다.

  • PDF

벼 담수토중직파재배시 종자분의 재료에 따른 입모향상 효과 (Improvement of Rice Seedling Emergence by Seed Coating Materials in Direct Seeding into Flooded Paddy Soil)

  • 원종건;최충돈;이외현;이상철;김칠용;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6-291
    • /
    • 1997
  • 벼 담수토중직파시 산화제 종자분의에 의한 초기 출아입모 향상 효과를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환원전위차는 무처리가 가장 낮게 경과하였으며, KNO$_3$가 대체로 높으면서 산화 기간이 오래 지속되었던 반면 CaO$_2$는 타처리에 비해 약간 낮게 경과하는 경향이었고, 산화제처리로 출아기간동안 종자주위의 토양환원억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2. 토양 pH변화는 무처리에서 7이상으로 가장 높게 경과하여 논토양의 환원된 상태를 보였으며, 산화제 처리구에서는 초기에 낮았다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무처리보다 낮아 일시적으로 토양을 산성화 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3. 입모수는 CaO$_2$가 파종후 8일경에 60%이상의 출아율을 보였고, 특이산성토 처리는 CaO$_2$ 보다는 낮았지만 무처리에 비해 입모율은 많이 향상되었다. 4. 초기생육에서 초장은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엽령차이는 CaO$_2$ 및 특이산성토에서 7.6매로 무처리의 6.2매에 비하여 1.4매 정도 많아 잎의 전개가 더 빨랐으며 근장 또한 CaO$_2$ 분의종자에서 10.2cm로 가장 길었고, 경수는 CaO$_2$와 특이산성토 피복종자에서 가장 많았다. 5. 본 실험에서 CaO$_2$는 입모가 균일하고 출아 소요 기간도 짧아 담수토중 직파재배에서 벼 종자 분의 재료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특이산성토분의에서도 양호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 PDF

벼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재배환경(栽培環境)에 따른 제초제(除草劑) 반응(反應) (Herbicide Response to Cultural Environment in Flooded Direct-seeded Rice)

  • 허상만;김병호;임일빈;권오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2-291
    • /
    • 1996
  • 벼 담수 표면 산파 재배시 파종시기 및 제초제 처리시기에 따른 잡초 발생 양상과 몇 가지 제초제에 대한 약효 및 약해 반응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해는 두 파종 시기별 모두 파종후 7일>파종후 12일>파종후 17일 처리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bensulfuron methyl+mefenacet+dymron 처리에서 심하였다. 2. 벼의 초기 생육은 파종 시기와 제초제 처리 시기가 빠를수록 억제가 컸다. 3. 잡초 발생 양상은 5월(月) 1일(日) 파종에서는 총 10종으로 화본과 1종, 광엽잡초 6종, 사초과 3종이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화본과였고 특히 피가 우점(優点)하였다. 5월 22일 파종에서는 총 7종이 발생하였고 화본과 1종, 광엽잡초 3종, 사초과 3종이었으며 피가 가장 많았다. 4. 공시 제초제의 파종 60일에 잡초 방제 효과는 5 월 1일 파종 구는 파종후 7일에서 17일까지 제초제 처리 시기가 빠를수록 피, 사마귀풀 등 일년생 잡초와 올챙고랭이 및 너도방동사니에 대해서는 높고, 올방개에 대해서는 공시 제초제를 파종후 7, 12일 처리보다 처리 시기가 늦은 17일 처리에서 높았다. 5. 수량(收量)은 파종후 7일 처리에서 약해가 심한 제초제의 처리 구와 파종후 17일 처리에서 방제 효과가 낮은 처리 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벼 직파재배에 있어서 잡초성벼 및 피 방제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 I. 담수표면산파 재배시 앵미와 피에 대한 oxadiazon, molinate, thiobencarb의 파종전 처리 효과 (Establishment of Control System of Weedy Rice(Oryza sativa) and Barnyardgrass(Echinochloa crus-galli) in Direct-seeded Rice - I. Effect of Oxadiazon, Molinate, Thiobencarb on Control of Red Rice and Barnyardgrass in Water-seeded Rice)

  • 양환승;김진기;경은선;김종석;마상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6-115
    • /
    • 1998
  •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파종 7~10일전에 oxadiazon, molinate, thiobencarb를 처리하여 앵미와 피에 대한 방제 효과 및 재배벼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oxadiazon 처리구 중에 특히 72g ai/10a이상의 고약량구에서는 환경조건에 따라 초기 입모지연 등의 약해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나, 이는 경시적으로 회복되어 그후의 생육에는 지장이 없었다. 따라서 약해에 대한 안전성면에서 60g ai/10a 이하가 적정량으로 생각된다. Molinate와 thiobencarb 처리구는 각각 225~400, 210~420g ai/10a 약량수준으로 처리하였는데 거의 약해가 없었다. 앵미에 대한 효과는 제초제의 종류 및 약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oxadiazon의 경우는 처리량이 60g ai/10a이상에서 비교적 우수한 방제율을 나타냈다. Molinate와 thiobencarb는 약량이 증가되면서 앵미의 방제효과는 증가되었으며, 두 약제 모두 300g ai/10a이상의 약량에서 비교적 양호한 방제율을 나타냈다. 피에 대한 효과는 공시 제초제 모두 90~100% 범위의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실험을 실시한 모든 포장에서 공시한 3가지의 파종전 제초제를 처리하여 약해로 인한 수량감소를 보인 포장은 한군데도 없었다. 폿트실험에서 파종 1일 후 배수한 경우가 착근할 때까지 계속 담수상태를 유지한 경우보다 약해도 적고 입모수도 많았으며 초기생육도 양호하였다.

  • PDF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피복요소 시용에 따른 암모니아 휘산 (Ammonia Volatilization from Coated Urea in Paddy Soil of Direct Seeding Rice Culture)

  • 이동욱;박기도;박창영;전원태;손일수;박성태;이석순;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28-333
    • /
    • 2005
  • 영남지역 식질논에서 벼를 건답직파하여 재배하면서 완효성질소비료인 LCU를 표준시비량의 80%와 100% 수준으로 시용시 관행 요소 대비 암모니아 휘산의 경감효과를 검토하였다. 토양 $NH_4-N$ 농도는 파종 후 45일경에 가장 높았는데 LCU 처리구에서는 $92-100mg\;kg^{-1}$, 요소 시용구에서는 $73mg\;kg^{-1}$였으며, 전 생육기간동안 요소 시용에 비해 LCU 처리구가 높았다. 토양 $NO_3-N$의 농도는 모든 처리에서 파종 후 10일경에 가장 높았는데 LCU 처리구는 $30-33mg\;kg^{-1}$, 요소 시 용구는 $27mg\;kg^{-1}$였고, 건답기간동안 높게 유지되다가 담수 후 낮아져 파종 후 80일경 이후에는 모든 처리에서 $1-2mg\;kg^{-1}$로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표면수의 $NH_4-N$ 농도는 요소시용구에서는 추비 후 $NH_4-N$ 농도가 $8-10mg\;L^{-1}$로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으나, LCU 처리구에서는 생육기간동안 $1mg\;L^{-1}$이하였다. 표면수의 pH는 담수 후 생육기간동안 요소 및 LCU 처리에서 7.5-8.3 였으나 요수구의 pH가 다소 높게 유지되었다. 요소 시용구에서의 암모니아 휘산량은 추비 시용 후 급격히 증가하였고, 시비질소에 대한 총 휘산량은 $8.7-11.8kg\;N\;ha^{-1}$ 이었다. 한편 LCU 시용에 따른 암모니아 휘산량은 LCU의 시비량에 관계없이 $2.4-3.0kg\;N\;ha^{-1}$였으며, 연차간의 변이도 요소에 비해 매우 적었다. 따라서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LCU 시용시 암모니아 휘산량은 요소 시용에 비해 72-76% 경감되었다.

재배양식별(栽培養殖別)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제초제(除草劑)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ifferent Cultural Patterns on the Growth and Herbicidal Responses of Rice and Barnyardgrass)

  • 박태선;박재읍;이인용;임은상;김영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75
    • /
    • 1997
  • 벼 직파(直播) 및 어린모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제초제(除草劑) 약효(藥效) 약해(藥害)에 영향(影響)을 마칠 수 있는 경작지(耕作地)의 토양(土壤) 조건(條件)에 대한 벼와 피의 반응(反應)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乾畓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토양수분함량별(土壤水分含量別) 벼와 피의 생장(生長)은 토양수분(土壤水分)이 40%일 때 가장 컸으며,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벼의 생육억제(生育抑制)는 토양수분(土壤水分) 50% 에서 가장 심하였다. 2. 파종심도별(播種深度別) 벼와 피의 초장(草長) 및 근장(根長)은 3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가장 길었으며,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벼의 생육(生育)은 1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억제(抑制)되었으나 피의 경우에는 전파종심도(全播種深度)에서 심하게 억제(抑制)되었다. 3. 벼의 초엽(coleoptile)장(長) 및 피의 중배축(中胚軸)(mesocotyl)장(長)은 파종(播種)깊이가 깊을수록 길었고, 제초제(除草劑) 처리시(處理時) 1cm 파종(播種)깊이에서 생육억제(生育抑制)가 가장 켰다. 4. 담수(湛水) 표면산파재배(表面散播栽培)에서 제초제처리후(除草劑處理後) 누수(漏水) 시기별(時期別) 벼의 생육억제(生育抑制)는 누수(漏水)가 지연(遲延)될수록 심하였으며, 5. 이앙심도별(移秧深度別) 제초제처리시기(除草劑處理時期)에 따른 벼의 생육(生育)은 이앙심도(移快深度)가 얕고 약제처리시기(藥劑處理時期)가 빠를수록 억제정도(抑制程度)가 컸다.

  • PDF

직파(直播)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에 관한 연구(硏究) - I. 약해(藥害)의 변동(變動) 요인(要因)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 - seeded Rice - I. Variation Factors of Phytotoxicity)

  • 임일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2-300
    • /
    • 1996
  • 벼 담수직파시 제초제에 의한 약해의 원인을 구명하고자 온도, 용액의 pH, 수심, 토성 및 영양(營養)의 유무(有無) 등의 조건하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20/$11^{\circ}C$에서 30/22$^{\circ}C$에서보다 벼 생육 억제 정도가 컸으며, 특히 근부(根部)에서 현저히 컸다. Dimepiperate 및 molinate 처리는 저온 (20/$11^{\circ}C$) 고온(30/$22^{\circ}C$) 에서 생육억제 정도가 컸으며 경엽부(莖葉部)에서 현저하였다. 2.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는 bensulfuron methyl 처리에서, 영양(營養)조건 에서는 pyrazosulfuron-ethyl의 처리에서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3. pH3.5, 5.5, 7.5 및 9.5 용액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 벼 생육은 pH3.5 및 5.5의 낮은 pH에서 저조하였으며, 무처리 대비한 생육 억제정도는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pH5.5 및 7.5에서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pH7.5 및 pH9.5에서 낮았다. 4. 수심 6cm의 심수조건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는 근부(根部)의 생육이, dimepiperate 및 molinate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특히 dimepiperate처리는 90% 정도 억제되었다. 또한 pyrazosulfuron-ethyl+molinate의 처리에서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 처리보다 경엽부(莖葉部)의 억제정도가 컸다. 5.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무비구는 식양토에서, 시비구는 사양토에서 생육저해 정도가 컸으며,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사양토에서 생육이 저조한 경향이었다.

  • PDF

벼 건답직파재배답(乾畓直播栽培畓)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효과적(效果的)인 방제체계(防除體系) (Weed Growth and Effective Control in Direct-seeded Rice Fields)

  • 최충돈;문병철;김순철;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5-182
    • /
    • 1995
  • 벼 건답직파(乾짧直播) 재배답(栽培畓)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을 구명(究明)하고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체계(除草體系) 확립(確立)을 위하여 1994년도에 영남농업시험장(領南農業試驗場)에서 수행(遂行)한 일련(一連)의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단작(單作)의 1모작답(毛作畓)에 비하여 미맥(米麥) 2모작답(毛作畓)에서는 피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雜草) 발생(發生)이 경감(輕減)되었고, 전체적(全體的)으로 약 30%정도(程度)의 잡초발생(雜草發生) 경감효과(輕減效果)가 있었으며, 벼수량(收量)도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성력화(省力化)를 위한 무경운(無耕耘) 재배(栽培)는 앵미와 이형주(異型株)의 발생(發生)을 증가(增加)시킬 뿐만 아니라 피와 독새풀의 발생(發生)도 급증(急增)하였다. 3. 피와 바랭이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종자(種子)가 깊이 묻힐수록 출아(出芽)가 늦었으며,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온도(溫度), 종자매몰심도(種子埋沒深度))에서 피는 바랭이 에비하여 3-5일(日) 출아(出芽)가 빨랐다. 출아율(出芽率)도 온도(溫度)와 매몰심도(埋沒深度)에 영향(影響)을 받았는데, 피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이 큰 반면(反面) 바랭이는 매몰심도(埋沒深度)의 영향(影響)이 컸다. 4. 수량성(收量性) 확보(確保)를 전제로한 바람직한 제초체계(除草體系)는 건답상태(乾畓狀態)(벼 출아기전후(出芽期前後))에서 1회처리(回處理)+담수상태(湛水狀態) l회(回)의 체계처리(體系處理)로서,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에 걸쳐 90%정도(程度)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나타내었으며, 수량성(收量性)도 손제초구(除草區) 대비(對比)90%를 상회(上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