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담도결찰(膽道結紮)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담도 결찰한 백서에 있어서 담즙산 및 UDCA 투여에 따른 혈중 지용성 비타민의 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Serum Fat Soluble Vitamins in Bile Duct Ligated Rats)

  • 심재건;오명호;김기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59-64
    • /
    • 1999
  • 목 적: 저자들은 백서에서 수술적으로 담도 결찰전과 결찰 4주 후에 지용성 비타민(vitamin A와 D)의 혈중 농도 변화 및 담도 결찰 후 담즙산을 투여했을 때 장관내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생후 4주된 Sprague-Dawley rats을 대상으로 하여 수술적으로 담도를 결찰하였다. 담도 결찰 전과 결찰 4주후의 혈중 ALT, total bilirubin, vitamin A, vitamin D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백서들은 담도 결찰 후 4주간 사육하였으며, 사육기간 중 비타민만을 투요한 군, 담즙산을 투여한 군 및 UDCA를 투여한 3군으로 나누었다. 결 과: 1) 수술전 혈중 농도(평균): ALT 74.2 IU, total bilirubin 0.26 mg/dL; vitamin D 13.01 ng/mL vitamin A $0.87\;{\mu}g/mL$, total bile acids $25.16\;{\mu}mol/L$. 2) 수술 4주후 농도(평균): ALT 100.7 IU, total bilirubin 2.58 mg/dL; vitamin D 7.89 ng/mL vitamin A $1.37\;{\mu}g/mL$, total bile acids $278.22\;{\mu}mol/L$. 3) 수술후 각 군간의 혈중 vitamin A와 vitamin D의 농도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담도 결찰 후 vitmain A 혈중 농도는 상승 하였으며, vitamin D 농도는 감소하였다. 경구로 담즙산을 투였을 때 혈중 지용성 vitamin 농도는 투여하지 않은 경우와 차이가 없었다.

  • PDF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의 실험적(實驗的) 간경변(肝硬變)에 대(對)한 효과(效果) (Effects of Mockhyangjokisan and Haewooljoweetang on the Production of Collagen and the Regeneration of Liver Cells Damaged by Bile Duct Ligation and Dimethylnitrosamine)

  • 박용권;김강산;강병기;전병훈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80-498
    • /
    • 1997
  • 간경변(肝硬變)은 간장손상(肝腸損傷)을 주로 나타내는 만성(慢性) 전신성(全身性) 질환(疾患)이다. 이것은 각종 병인(病因)이 지속적(持續的) 또는 반복적(反復的)으로 간조직(肝組織)에 작용하여 간세포(肝細胞)의 변성(變成) 괴사(壞死) 섬유성(纖維性) 조직(組織) 증식(增殖) 등의 병리변화(病理變化)를 일으켜 결국 간조직(肝組織)의 정상구조(正常構造)가 변하여 간(肝)의 형태이상(形態異常)과 경화(硬化)를 유발하는 것이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간경변(肝硬變)의 단계에 따라 표현이 다른데 협통(脇痛), 복창(腹脹), 황달(黃疸), 적취(積聚), 창(脹), 단복창(單腹脹), 수(水), 석수(石水), 간수(肝水)의 범주(範疇)에 해당된다. 울증(鬱症)은 정지부서(情志不舒), 기기울결(氣機鬱結)로 울체(鬱滯)하고 발월(發越)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병증(病症)으로, 기울(氣鬱)은 기체혈어성(氣滯血瘀性) 병변(病變)인 적취(積聚)의 전단계(前段階)로 설명되고, 간경변(肝硬變)의 초기상태(初期狀態)에서 나타나는 증상(症狀)들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본(本) 연구(硏究)에 사용된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은 기울(氣鬱)에 적용되는 처방(處方)으로서 초기(初期) 간경변(肝硬變)의 섬유화(纖維化) 진행억제(進行抑制)에도 유효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담도결찰술(膽道結紮術) 및 Dimethylnitrosamine으로 만성간염(慢性肝炎) 및 간경변증(肝硬變症)을 유발한 후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을 투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담도결찰(膽道結紮)로 인한 혈청(血淸) total bilirubin과 direct bilirubin의 상승은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의 투여로 모두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두 처방(處方)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담도결찰(膽道結紮)로 인한 혈청(血淸) AST의 상승은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을 투여한 두 실험군(實驗群) 모두에서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을 투여한 실험군(實驗群)에서 억제되는 보다 나았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3. 담도결찰(膽道結紮)로 인한 血淸 ALT의 상승은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을 투여한 두 실험군(實驗群) 모두에서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의 억제효과가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보다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익국환과 익국보화환의 실험적(實驗的) 간경변(肝硬變)에 대(對)한 효과(效果) (Effects of Ikgukwhan and Ikgukbowhawhan on the Production of Collagen and the Regeneration of Liver Cells Damaged by Bile Duct Ligation and Dimethylnitrosamine)

  • 배철호;김성환;김강산;강병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9-139
    • /
    • 1998
  • 간경변(肝硬變)은 각종(各種) 만성미만성간염(慢性彌滿性肝炎)이나 광범위(廣範圍)한 간장실질(肝臟實質)의 손상(損傷)이 계속적(繼續的)으로 발전(發展)하여 이루어진 결과(結果)이다. 주(主)된 병리적(病理的) 특징(特徵)은 간세포(肝細胞)의 변성(變成), 괴사(壞死) 후(後)에 나타나는 섬유조직(纖維組織)의 증식(增殖), 간세포(肝細胞)의 결절상(結節狀) 재생(再生), 가소엽(假小葉)의 형성(形成) 등(等)으로서, 이들 세가지의 변화(變化)가 뒤섞여 진행(進行) 되는 가운데, 간내(肝內) 혈관망(血管網)이 감소(減少)하거나 혈관망(血管網)에 이상(異狀) 함몰(陷沒)이 발생(發生)하는 것이다. 주(主)된 임상표현(臨床表現)은 간기능감퇴(肝機能減退)와 문맥압(門脈壓) 상승(上升)으로 인(因)한 비종대(脾腫大), 복수(腹水), 복벽정맥(腹壁靜脈)의 노장(怒張), 식도(食道)와 위저정맥(胃底靜脈)의 노장파열(怒張破裂), 간성혼수(肝性昏睡) 등(等)이 나타난다. 한의학(韓醫學)의 범주(範疇)로는 '적취(積聚), 징가, 황달(黃疸), 고창(鼓脹), 협통(脇痛), 단복창(單腹脹), 비괴' 등(等)에 해당(該當)되는 것으로 습열(濕熱)이 구울(久鬱)함에 따라 간(肝), 비(脾)가 손상(損傷)되고 이것이 더욱 오래되어 기체혈어(氣滯血瘀)로 발전(發展)하게 되는 병리변화(病理變化)를 갖는다. 이에 담도결찰(膽道結紮) 및 dimethylnitrosamine의 복강투여(腹腔投與)로 간경화(肝硬化)를 유발(誘發)하고, 울증(鬱證)에 다용하는 익국환과 익국보화환이 이러한 병증(病症)에 간기능보호작용(肝機能保護作用)이 있는가를 관찰(觀察)하고, 한의학적(韓醫學的) 병증(病症)의 분류(分類)에 따라 간질환(肝疾患)에 대(對)한 치료(治療)의 가능성(可能性)을 알아보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유의성(有意性) 있는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 PDF

간장질환 치료제 G09의 개발 - 물성및 약리연구

  • 김수웅;이승룡;정훈;박만기;박정일;김재백;손동환;정진호;고광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68-168
    • /
    • 1994
  • G009는 단백다당체로서 분자량 0.5-200만 사이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구성당은 glucose를 주로하여 galactose, mannose 등으로 구성되었고, 아미노산은 glycine, leucine, alanine 이외 기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담도결찰 쥐에서 G009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간섬유화 유발물질로 추정되는 혈중 Procolagen type III peptide의 감소시켰고 간조직중 총 collagen의 양도 감소시켰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 결과로도 간섬유화의 억제가 뚜렷하였다. 각종 간손상 유발물질에 대하여도 G009투여군은 대조군에 대하여 정상군과 동일한 수준으로 GOT, GPT, triglyceride수치를 보였으며 간조직도 정상군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 PDF

담도결찰 흰쥐에서 영지배양 균사체 유래 다당체의 항섬유화 효과 검색 및 용량의존성시험 (Dose-dependent Antifibrotic Effect of Polysaccharide from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 on Liver Biliary Cirrhosis in Rats)

  • 박은전;고건일;김재백;손동환
    • 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0-224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ose dependent antifibrotic effects of polysaccharide from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 The experimental hepatic cirrhosis was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scission (BDL/S) in rats. BDL/S rats in each group were dosed 0.5 mg, 2.0 mg, 5.0 mg or 10.O mg/rat/day orally for 4 weeks after the operation. Antifibrotic effects were evaluated by serum biochemical values, hydroxyproline contents, and light microscopical histolog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Hydroxyproline contents in liver of 5.0 and 10.0mg polysaccharide-treated BDL/S ra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2) In serum test, ALT, AST, ALP values in polysaccharide from Ganoderma lucidum-treated group were lower than BDL/S control group 3) The hepatic damage such as hepatocellular necrosis, inflammation, bile duct proliferation and fibrosis was less severe in the livers of 2.0 mg and 5.0 mg polysaccharide-treated r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ysaccharide from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 to be a promising agent for the inhibition of hepatic cirrhosis.

  • PDF

백서의 총담관 결찰에 의한 간 섬유화의 초미세구조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Hepatic Fibrosis after the Lig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n Rats)

  • 문경래;노영일;서우철;박영봉;김만우;서재홍;박상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185-193
    • /
    • 1999
  • 목 적: 답즙 정체를 주 소견으로 하는 만성 간질환의 대부분에서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가 관찰된다. 특히 간외 담도 폐쇄증에서 가장 현저하다. 그러나 섬유화의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총담관 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의 진행과정 및 간섬유화에 대한 Ito 세포의 역할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건강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총담관을 결찰한 후 15일, 21일, 24일, 28일째에 도살하여 담소관의 증식과 간 섬유화의 진행과정을 smooth muscle a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과 전자현미경적 검사를 하였다. 결 과: 1)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간문맥 중심으로 담소관의 증식과 결체조직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에서 활성화된 Ito 세포는 smooth muscle actin에 양성반응을 보였고,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담소관주위와 동모양혈관 주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3)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총담관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Ito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지방적의 수가 감소한 근섬유모 세포를 닮은 Ito 세포와 근섬유모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 결 론: 총담관 결찰후에 볼 수있는 간 섬유화는 활성화된 Ito 세포의 증가와 Ito 세포가 교원질을 분비하는 근섬유 모세포로 변형되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담관 결찰 쥐의 간세포와 담관세포의 anion exchanger와 CFTR 발현 (Expression of Anion Exchanger and CFTR in the Hepatocyte and Cholangiocytes in Bile Duct-Ligated Rat)

  • 이재동;왕준호;기승석;최원혁;박재승;조원규;박정준;김홍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72-1777
    • /
    • 2011
  • 본 연구는 흰쥐의 담관 세포와 간세포에서 CFTR과 $AE1{\cdot}AE2{\cdot}AE3$ 유전자들의 발현 유무를 조사하고 흰쥐에서 담관 결찰 후 AE2 유전자의 발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200-250 g의 Sprague Dawley 계 흰쥐 24마리의 총담관을 결찰한 후 4 주 동안 1 주일에 6마리씩 희생하여 간세포와 담관 세포를 분리하였다. 6마리는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간세포와 담관 세포에서 CFTR 유전자와 $AE1{\cdot}AE2$와 AE3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고 담관 결찰 후 1 2 3 4주 간격으로 AE2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AE1{\cdot}AE2$ 와 AE3는 간세포와 담관 세포에서 발현되었고 CFTR은 담관 세포에서만 발현되었다. 담관 결찰 담관세포군에서 AE2 유전자의 발현은 대조군인 정상 담관세포군에 비해서 낮았다. 결찰 담관세포군에서 AE2 유전자의 발현은 결찰 기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담관 결찰 간세포군에서 AE2 유전자의 발현은 대조군인 정상 간세포군에 비해서 경계적 유의성을 보이며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찰 간세포군에서 AE2 유전자의 발현은 결찰 기간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CFTR{\cdot}AE1{\cdot}AE2$ 그리고AE3 는 간세포와 담관 세포에서 중탄산염이온과 수액을 매개하는 주된 이온 전달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담도 담즙정체 간질환에서CFTR과 AE2 발현의 변화는 병리학적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간섬유화 동물에서 옻나무 목부로부터 분리한 flavonoids의 독성 경감기전 (Protective Mechanism of Flavonoids Isolated from Rhus verniciflua on the Biliary Liver Fibrosis in Rat)

  • 최종원;박희준;이경태;박건영;한갑이;정민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2-339
    • /
    • 2002
  •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로부터 간섬유화에 따른 간독성의 경감기전을 추구할 목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에서 분리한 fustin 및 sulfuretin을 실험동물에 투여하고서 혈액학적 변화 및 간장 중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검토한 결과 담도결찰하여 간섬유화를 유도한 군에서는 AST, ALT, SDH, ${\gamma}$-GT활성 및 total bilirubin의 양이 현저히 증가되던 것이 옻나무의 메탄을 엑스(250 mg/kg), 에틸아세테이트 엑스(250 mg/kg), fustin(10 mg/kg) 및 sulfuretin(10 mg/kg)을 2주간 각각 경구투여 하므로서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Hydroxyproline양 및 MDA 농도에서도 간섬유화를 유도하므로서 현저히 증가되던 것이 옻나무의 분획 및 sulfuretin과 fustin의 투여로서 각각 약 60% 및 47%정도 감소되었다. 간섬유화를 유도한 cytosolic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 및 aldehyde oxidase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한편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은 간섬유화의 유도로 감소되었으나 옻나무의 분획(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성분(fustin, sulfuretin)의 투여로서 조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