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달팽이관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Modeling of cochlear biomechanics using Hspice (Hspice를 사용한 달팽이관 생역학의 모델링)

  • Jarng SoonSuck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71-174
    • /
    • 2004
  • 본 논문은 Hspice 를 사용한 달팽이관 생역학의 능동적이며 선형적인 1 차 그리고 2 차원 모델링을 보여준다. Hspice 모델링의 장점은 달팽이관 생역학을 아날로그 IC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Biochip 으로 설계하는데 활용된다. 본 논문은 달팽이관 생역학을 어떻게 전기회로 모델화한 뒤, 다시 어떻게 Hspice 코드로 표현하는 가를 보여준다. 달팽이관 회로가 Hspice 코드 실행을 위해 변형되어야만 하는 과정을 상세히 보여준다. 1 차원의 결과와 2 차원의 결과를 비교하고 있다.

  • PDF

Evaluation of the Cochlear Electrode Behavior in the 3D Human Cochlea Model by FEM Analysis (3차원 달팽이관 모델에서의 인공와우 전극의 거동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 임윤섭;박세익;김용협;오승하;김성준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5 no.3
    • /
    • pp.207-215
    • /
    • 2004
  • A finite element analysis is used in this study to model 6 kinds of electrode by a genetic program in order to evaluate the mechanical effect on the 3D human cochlea model and the behavior of electrode. Human cochlea is modeled by the spiral-approximation method and the shape of scala tympani is extracted from the mid section of the human cochlea. Contact pressure at the tip and the insertion force are found to be highest when the wires stack horizontally. Axial rotation of electrode is minimal comparing with the stimulating current sprea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lectrode stiffness is important to minimize the trauma.

Comparison between Nl -N2 Audiograms of Guinea Pigs pre and post loudtone exposure (격음 노출 전후의 기니픽 N1-N2 오디오그램의 비교)

  • 장순석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6 no.4
    • /
    • pp.471-480
    • /
    • 1995
  • The modification of Nl -N2 Audiograms before and after loudtone exposure onto the tympanic membrane of guinea pigs was examined. The exposure was a loud continuous tone of 106 dB SPL intensity at 10 KHz for 10 minutes. The comparison between Wl-H2 Audiograms pre and post loudtone exposure indicates that the exposed cochlea permanently lost its normal hearing function. The largest threshold shifts wore found between 12-13.2KHz. The functional change of the cochlea after the loudtone exposure depends on the state of the cochlea before the trauma. More sensitive cochlea is more critically damaged in its function after the trauma than less sensitive cochlea.

  • PDF

Development of 3D cochlear model to evaluate ECAP (ECAP 평가를 위한 3차원 달팽이관 모델 개발)

  • Kang, Soojin;Woo, Jihw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6
    • /
    • pp.287-293
    • /
    • 2013
  • Cochlear implant (CI) is an auditory prosthesis that delivers electrical stimulation via inserted electrodes into a cochlea. To evaluate CI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auditory nerves are responded to electrical stimulations. In clinic, electrically evoked compound action potential (ECAP) is measur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3D finite element (FE) cochlear model to simulate ECAP in response to electrical stimulation. The model prododuced ECAP similar to that measured in animal experiments and clinics. This 3D FE cochlear model could be used in electrical stimulus method study to improve CI by analyzing neural responses to electrical stimulations.

Design of Multiple Filter-Banks for Analog Cochlear Chip (아날로그 달팽이관 칩을 위한 다중필터의 설계)

  • Lee, K.;Woo, Y.J.;Kim, J.H.;Cho, G.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d
    • /
    • pp.3142-3144
    • /
    • 2000
  • 청각시스템의 저전력 및 가격의 저렴화를 위해 달팽이관의 BM(Basilar Membrain)모델을 아날로그 VLSI 마이크로 파워 공정으로 구현하고 있다. Lyon and Mead는 실리론 공정으로 달팽이관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였다. 이는 단순 직렬 연결된 구조로 각 채널의 지연시간의 차이로 인해 인식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리의 주파수 정보 추출기능을 하는 직렬 연결된 트리구조(TSBF:Tree-structured Cascaded Bandpass Filter)의 16채널의 아날로그 중간대역통과 필터회로를 CMOS VLSI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직렬 연결된 저대역통과필터와 고대역통과필터로 각 채널의 중간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각 채널의 지연시간이 동일하므로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고대역통과필터를 1-poly 디지털 공정으로 구현 가능하고 기생 캐패시터의 영향을 적게 받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 PDF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Male Genital Organs of a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동양달팽이의 웅성 생식기관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 이훈섭;정계헌;박종안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8 no.1
    • /
    • pp.61-71
    • /
    • 1992
  •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는 동양달팽이속(Nesiohelix)에 속하는 종으로 한국에서 동양?팽이속으로는 유일하게 발견되는 종이다. 본 실험에서는 동양달팽이의 웅성생식기관의 각 부분 즉, 난정소(ovotestis), 양성관(hermaphrodite duct), 수정실(fertilization chamber), 전립선(prostate), 수정관(vas deferens), 상음경(epiphallus), 음경(penis)등의 배열 상태를 관찰하고 이들에 대한 광학현미경적 관찰을 위해 Hematoxylin- Eosin염색과 Mallory 염색을 실시하였다. 난정소(ovotestis)는 많은 수의 선포(acini)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선포는 배상피세포층(germinal epithelial cell layer)과 영양세포(nurse cell), 생식세포(gamete cell)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선포(acini)는 원주상피로 덮여있었다. 양성관(hermaphrodite duct)은 가늘고 긴 관으로 내벽은 섬모입방상피세포와 얇은 결합조직층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내강은 농축된 정자로 가득 차 있었다 . 수정관(fertilization chamber)은 3개의 도관이 결합조직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 도관의 상피세포는 뚜렷한 위중층섬모원주세포로 되어 있었다. 전립선(prostaoe)은 분비기능을 가진 것으로 사료되는 세포들과 실제 분비가 일어나는 실(chamber)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다른 염색법 또는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 다른 구조들의 존재유무를 확인 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chamber)은 분비포로 보이는 세포들과 접해 있었다. 수정관(vas deferens)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근육질의 두꺼운 벽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강은 돌출부위에 의해 4부분으로 갈라져 있었다. 내강에 연한 상피는 원주세포로 되어 있었다. 상음경(epiphallus)의 벽은 근섬유 다발은 벽의 외곽으로 갈수록 밀도가 높아졌다. 상부에 내강과 연결되는 함입구조(groove)를 가지며, 내강에 연한 상피는 섬모가 없는 원주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음경(penis)은 근섬유가 산재된 두꺼운 벽을 가졌으며 상음경보다 굵은 원통형이었다. 내강은 많은 돌출부에 의해 복잡하게 나뉘어 있으며 상피세포는 원주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섬모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강 내의 분비물과 세포의 형태로 보아 내강상피세포는 분비기능을 가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inite Element Modeling of The Basilar Membrane in Cochlea (달팽이관내 기저막의 유한요소 모델링)

  • 강희용;김봉철;양성모;임재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Conference
    • /
    • 2001.04a
    • /
    • pp.22-27
    • /
    • 2001
  • Cochlea is well known to have the ability to analyze a wide frequency and this ability seems to be caused to the Basilar Membrane(BM) configura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chlea frequency-position map is not clear. In this paper, the three-dimensional BM Model was mad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n,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BM configuration on the Cochlea frequency-position map. Theoretical consideration reveals that the wide frequency-position of Cochlea is achieved by not only the BM configuration change along the length of the Cochlea but also the change of the Young's module of the BM along the length of the Cochlea.

  • PDF

Finite Element Modeling of the Basilar Membrane in Cochlea (달팽이관내 기저막의 유한요소 모델링)

  • 강희용;양성모;김봉철;임재중;용부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 /
    • v.11 no.1
    • /
    • pp.114-119
    • /
    • 2002
  • Cochlea is well known to have the ability to analyze a wide frequency and this ability seems to be caused to the Basilar Membrane(BM) configura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chlea frequency-position map is not clear. In this paper, the three-dimensional BM Model was mad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n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BM configuration on the Cochlea frequency-position map. Theoretical consideration reveals that the wide frequency-position of Cochlea is achieved by not only the BM configuration change along the length of the Coohlea but also the change of the Young's module of the BM along the length of the Cochlea.

두 종의 달팽이류(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사이의 타액관의 미세구조에 관한 비교연구

  • 장남섭;한종민;김상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513-515
    • /
    • 2000
  • 타액선을 구성하는 선세포의 종류는 달팽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던 바, Walker(1970)는 병안목(Agriolimax reticiulatus)의 타액선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2개의 성점액세포와 7개의 중성 및 장액성세포 그리고 1개의 순수한 장액세포 등 모두 10개의 세포를 관찰한 바 있고, Mclean(1970)은 Haliotis rufescens를 재료로 한 실험에서 타액선을 성하는 선세포는 오직 점액세포(mucous Cell) 한 종류뿐이 란 보고도 있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