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일목적 최적화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Optimizing dispatching strategy based on multicriteria heuristics for AGVs i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복수 규칙 기반 AGV 배차 전략 최적화)

  • Kim, Jeong-Min;Choe, Ri;Park, Tae-Jin;Ryu, Kwa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18-219
    • /
    • 2011
  • This paper focuses on dispatching strategy for AGVs(Automated Guided Vehicle). The goal of AGV dispatching problem is allocating jobs to AGVs to minimizing QC delay and AGV total travel distance. Due to the highly dynamic nature of container terminal environment, the effect of dispatching is hard to predict thus it leads to frequent modification of dispatching results. Given this situation, single rule-based approach is widely used due to its simplicity and small computational cost. However, single rule-based approach has a limitation that cannot guarantee a satisfactory performance for the various performance measures. In this paper, dispatching strategy based on multicriteria heuristics is proposed. Proposed strategy consists of multiple decision criteria. A muti-objective evolutionary algorithm is applied to optimize weights of those criteria. The result of simulation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approach outperforms single rule-based dispatching approaches.

  • PDF

A Study on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Multi-cell SC-FDMA Systems (다중셀 SC-FDMA를 위한 무선자원 관리기법에 관한연구)

  • Chung, Yong-Jo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5 no.4
    • /
    • pp.7-15
    • /
    • 2010
  • This study proposes a rad o resource management scheme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LTE(Long Term Evolution) uplink, using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Rather than the single-cell SC-FDMA system the existing studies are mainly concerning, this study focuses on multi-cell system which needs considering the interaction among cells. Radio resource management is divided into two phases, planning and operation phases. The former is for the master eNB(e-NodeB) to allocate RBs(radio bearer) to eNB, the latter for eNB to assign RBs to the mobiles in the cell. For each phase, an optimization model and greedy algorithm are proposed. Optimization models aim to maximize the system performance while satisfying the constraints for both QoS and RB continuity. The greedy algorithms, like generic ones, move from a solution to a neighboring one having the best objective value among neighboring ones. From the numerous numerical experiments, the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lgorithms are analyz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volunteering role in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the multi-cell SC-FDMA system.

A Study of Design of Sidewalls for Cascade Model with Single Blade Within a 160% Pitch Passage (160% 피치의 유로에서 단일익형에 의한 캐스케이드 실험을 위한 벽면의 설계에 관한 연구)

  • Cho, Chong-Hyun;Kim, Young-Cheol;Ahn, Kook-Young;Cho, Soo-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7 no.6
    • /
    • pp.527-536
    • /
    • 2009
  • A cascade apparatus was designed with only one blade. Its passage is a 160% width of the cascade pitch. This kind of apparatus can give more accurate experimental result than those applying multi-blades even though the apparatus is small. However, this causes difficulties to make the periodic condition along the pitchwise direction. In this study, sidewalls were designed to satisfy the periodic condition based on the flow structure using a gradient based optimization and a genetic algorism. The objective function was adopted the surface Mach number obtained on the cascade and fourteen design variables were selected for controlling sidewall shapes. The designed sidewalls using the genetic algorism shows better result.

Workflow Task Clustering Method Considering Available Resources in Cloud Environments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용 자원 활용도를 고려한 워크플로우 작업 클러스터링 기법)

  • Myung, Rohyoung;Jung, Daeyong;Chung, KwangSik;Yu, He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160-163
    • /
    • 2015
  • 워크플로우 매니지먼트시스템은 오늘날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처리를 위한 효율적인 워크플로우 설계와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전체물리학, 생물학, 지질학과 같이 과학탐구에 목적을 둔 어플리케이션들의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를 연산해야 하기 때문에 단일 컴퓨팅 자원으로는 단 시간내에 작업을 완료하기 어렵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워크플로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분산 병렬처리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마스터노드에서는 클러스터의 원격노드들에게 어플리케이션 수행을 위해 설계된 워크플로우에 맞게 작업들을 분배하게 되는데 이때 마스터노드와 원격노드의 큐에서의 대기시간과 원격노드에서 할당된 작업들을 위한 스케줄링 시간은 성능을 좋지 않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원격노드에서 작업수행이전까지의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한 최적화 방법으로 컴퓨팅 자원 활용도를 고려한 작업들의 병합 기법을 적용해서 워크플로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킨다.

Improvement of a 4-Channel Spiral-Loop RF Coil Array for TMJ MR Imaging at 7T (7T 악관절 MRI를 위한 4 채널 스파이럴 RF 코일의 성능개선)

  • Kim, Kyoung-Nam;Kim, Young-Bo;Cho, Zang-Hee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16 no.2
    • /
    • pp.103-114
    • /
    • 2012
  • Purpose : In an attempt to further improve the radiofrequency (RF) magnetic ($B_1$) field strength in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maging, a 4-channel spiral-loop coil array with RF circuitry was designed and compared with a 4-channel single-loop coil array in terms of $B_1$ field, RF transmit (${B_1}^+$), signal-to-noise ratio (SNR), and applicability to TMJ imaging in 7T MRI. Materials and Methods: The single- and 4-channel spiral-loop coil array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EM) simula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B_1$ field. To evaluate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the $B_1$ field and ${B_1}^+$ maps were measured in 7T. Results: In the EM simulation result and MRI study at 7T, the 4-channel spiral-loop coil array found a superior $B_1$ performance and a higher ${B_1}^+$ profile inside the human head as well as a slightly better SNR than the 4-channel single-loop coil array. Conclusion: Although $B_1$ fields are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subject rather than the coil configuration alone at 7T, each RF coil exhibited not only special but also 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could make it suited for specific application such as TMJ imaging.

A Signal Optimization Model Integrating Traffic Movements and Pedestrian Crossings (차량과 보행자 동시신호최적화모형 개발 연구)

  • Shin, Eon-Kyo;Kim, Ju-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7 s.78
    • /
    • pp.131-137
    • /
    • 2004
  • Conventional traffic signal optimization models assume that green intervals for pedestrian crossings are given as exogenous inputs such as minimum green intervals for straight-ahead movements. As the result, in reality, the green intervals of traffic movements may not distribute adequately by the volume/saturation-flow of them. In this paper, we proposed signal optimization models formulated in BMILP to integrate pedestrian crossings into traffic movements under under-saturated traffic flow. The model simultaneously optimizes traffic and pedestrian movements to minimize weighted queues of primary queues during red interval and secondary queues during queue clearance time. A set of linear objective function and constraints set up to ensure the conditions with respect to pedestrian and traffic maneuvers. Numerical examples are given by pedestrian green intervals and the number of pedestrian crossings located at an arm. Optimization results illustrated that pedestrian green intervals using proposed models are greater than those using TRANSYT-7F, but opposite in the ratios of pedestrian green intervals to the cycle length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models are superior to TRANSYT-7F in reducing delay, where the longer the pedestrian green interval the greater the effect.

Multi parameter optimization framework of an event-based rainfall-runoff model with the use of multiple rainfall events based on DDS algorithm (다중 강우사상을 반영한 DDS 알고리즘 기반 단일사상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 최적화 기법)

  • Yu, Jae-Ung;Oh, Se-Cheong;Lee, Baeg;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1
    • /
    • pp.887-901
    • /
    • 2022
  • Estimation of the parameters for individual rainfall-rainfall events can lead to a different set of parameters for each event which result in lack of parameter identifiability. Moreover, it becomes even more ambiguous to determine a representative set of parameters for the watershed due to enhanced variability exceeding the range of model parameters. To reduce the variability of estimated parameters, this study proposed a parameter optimization framework with the simultaneous use of multiple rainfall-runoff events based on NSE as an objective func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optimization framework could effectively estimate the representative set of parameters pertained to their physical range over the entire watershed.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NSE value of optimization when it performed individual and multiple rainfall events, is 0.08. Furthermore, In terms of estimating the observed floods, the representative parameters showed a more improved (or simila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ingle-event optimization process on an NSE basis.

Hierarchical Routing Protocol for Traffic-Balanced DiffServ Network Architecture (DiffServ망 구조에서 트래픽 분산을 위한 계층적 라우팅 프로토콜)

  • In, Chi Hyeong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0 no.5
    • /
    • pp.95-95
    • /
    • 2003
  • 현재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처리량을 최대화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 시 QoS를 보장해주는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최단경로 라우팅 프로토콜은 단일경로 라우팅으로 인해 병목현상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즉, 원천과 목적지간 최단경로는 낮은 활용도를 나타내는 경로들이 많이 존재하지만 단일경로를 선택하므로서 폭주(congestion)의 발생확률이 높다. 최근에 들어 사용자의 QoS 요구 시, 다양한 QoS를 패킷 네트워크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IETF에서 DiffServ, RSVP, MPLS 등과 같은 패킷 QoS 기법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이며, 그 중에서 Diffserv 네트워크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DiffServ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하게 유입되는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응용에 적절히 대응하여 트래픽을 처리하는 라우팅 기법 및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기존의 최선형 (Best effort)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트래픽 분산 라우팅 프로토콜 (Traffic-Balanced Rout-ing Protocol''TBRP)을 제안하였으며, 최적의 중간 노드를 선택하여 높은 순위의 상호형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계층적 라우팅 프로토콜(또ierarchicalTra(fic-Scheduling Routing Protocol : HTSRP)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토콜은 유, 무선망의 통합에 따른 다양한 엑세스망과 백본망에 유연한 트래픽 처리기법으로서 계층적 라우팅 알고리즘으로 적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사용자의 QoS요청 시 제공되는 상호형 또는 스트리 밍 데이터를 위한 HTSRP_Q(Hierarchical Traffic-Scheduling Routing Pro-tocol for QoS)에 대해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으며, 각 엑세스 단에서 요청하는 QoS 파라미터에 따라 자원을 최적화하여 QoS를 보장하고, 특히 지연에 민감한 트래픽을 처리하였으며, 제안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 트래픽 종류에 따라 대화형 클래스, 스트리밍 클래스, 높은 순위의 상호형 클래스, 낮은 순위의 상호형 클래스, 그리고 background 클래스등 5개의 서비스 클래스로 분리하여 트래픽 특성에 맞게 처리할 수 있었다. QoS 관련 실험에서는 QoS 요청데이터를 균등하게 1에서 10Mbps 사이에 분포하였고 연결된 호에 대한 지속시간은 5분으로 하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프로토콜을 MaRS에 의해 실험을 하였고 기존의 거리-벡터 라우팅과 링크-상태 라우팅 프로토콜과 비교해서 처리량, 메시지 손실, 블럭킹율 등에서 비교적 우위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차별화된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라우팅 기법을 적용하므로서 망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꾀할 수가 있었다. 연결 수 대 처리량에서는 HTSRP 프로토콜이 연결이 적을 때 DVR, LSR보다 우월하였으며 특히, 선형을 유지하였다. 연결 수 대 패킷 손실에서 HTSRP프로토콜에서 메시지 손실은 연결의 수가 낮거나 높을 때 다른 DVR과 LSR 라우팅 프로토콜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Hotspo에서 TBRP, HTSRP프로토콜은 hotspot 연결의 수가 9일 때까지 DVR, LSR 보다 좋은 처리량를 나타냈고 HTSRP는 연결의 수가 6 이상일 때 가장 높은 처리량을 나타내었다. 일반 트래픽과 QoS 트래픽이 흔재할 경우는 트래픽이 증가할수록 HTSRP_Q가 가장 월등하였으며 , 로드가 증가할수록 낮은 블록킹률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점대점 전송을 기반으로 하였다. 앞으로 다양한 응용 S/W는 멀티캐스트 기반이 예상되므로 멀티캐스트 라우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의 프로토콜은 원천과 목적지간의 최단경로가 폭주상태가 아닌 해당 중간 노드를 이용한다. 최단경로의 모든 링크상의 트래픽 부하가 낮을 때 중간노드의 사용은 지연을 증가시킨다. 향후 최적의 성능을 위해 보완이 필요하다. 아울러, 2계위에서는 일반 트래픽과 QoS 트래픽이 혼재할 때 자동으로 네트워크의 효율적을 고려한 방법 선택이 필요하다.

Hierarchical Routing Protocol for Traffic-Balanced DiffServ Network Architecture (DiffServ망 구조에서 트래픽 분산을 위한 계층적 라우팅 프로토콜)

  • 인치형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0 no.5
    • /
    • pp.551-551
    • /
    • 2003
  • 현재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처리량을 최대화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 시 QoS를 보장해주는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최단경로 라우팅 프로토콜은 단일경로 라우팅으로 인해 병목현상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즉, 원천과 목적지간 최단경로는 낮은 활용도를 나타내는 경로들이 많이 존재하지만 단일경로를 선택하므로서 폭주(congestion)의 발생확률이 높다. 최근에 들어 사용자의 QoS 요구 시, 다양한 QoS를 패킷 네트워크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IETF에서 DiffServ, RSVP, MPLS 등과 같은 패킷 QoS 기법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이며, 그 중에서 Diffserv 네트워크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DiffServ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하게 유입되는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응용에 적절히 대응하여 트래픽을 처리하는 라우팅 기법 및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기존의 최선형 (Best effort)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트래픽 분산 라우팅 프로토콜 (Traffic-Balanced Rout-ing Protocol'TBRP)을 제안하였으며, 최적의 중간 노드를 선택하여 높은 순위의 상호형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계층적 라우팅 프로토콜(또ierarchicalTra(fic-Scheduling Routing Protocol : HTSRP)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토콜은 유, 무선망의 통합에 따른 다양한 엑세스망과 백본망에 유연한 트래픽 처리기법으로서 계층적 라우팅 알고리즘으로 적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사용자의 QoS요청 시 제공되는 상호형 또는 스트리 밍 데이터를 위한 HTSRP_Q(Hierarchical Traffic-Scheduling Routing Pro-tocol for QoS)에 대해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으며, 각 엑세스 단에서 요청하는 QoS 파라미터에 따라 자원을 최적화하여 QoS를 보장하고, 특히 지연에 민감한 트래픽을 처리하였으며, 제안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 트래픽 종류에 따라 대화형 클래스, 스트리밍 클래스, 높은 순위의 상호형 클래스, 낮은 순위의 상호형 클래스, 그리고 background 클래스등 5개의 서비스 클래스로 분리하여 트래픽 특성에 맞게 처리할 수 있었다. QoS 관련 실험에서는 QoS 요청데이터를 균등하게 1에서 10Mbps 사이에 분포하였고 연결된 호에 대한 지속시간은 5분으로 하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프로토콜을 MaRS에 의해 실험을 하였고 기존의 거리-벡터 라우팅과 링크-상태 라우팅 프로토콜과 비교해서 처리량, 메시지 손실, 블럭킹율 등에서 비교적 우위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차별화된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라우팅 기법을 적용하므로서 망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꾀할 수가 있었다. 연결 수 대 처리량에서는 HTSRP 프로토콜이 연결이 적을 때 DVR, LSR보다 우월하였으며 특히, 선형을 유지하였다. 연결 수 대 패킷 손실에서 HTSRP프로토콜에서 메시지 손실은 연결의 수가 낮거나 높을 때 다른 DVR과 LSR 라우팅 프로토콜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Hotspo에서 TBRP, HTSRP프로토콜은 hotspot 연결의 수가 9일 때까지 DVR, LSR 보다 좋은 처리량를 나타냈고 HTSRP는 연결의 수가 6 이상일 때 가장 높은 처리량을 나타내었다. 일반 트래픽과 QoS 트래픽이 흔재할 경우는 트래픽이 증가할수록 HTSRP_Q가 가장 월등하였으며 , 로드가 증가할수록 낮은 블록킹률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점대점 전송을 기반으로 하였다. 앞으로 다양한 응용 S/W는 멀티캐스트 기반이 예상되므로 멀티캐스트 라우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의 프로토콜은 원천과 목적지간의 최단경로가 폭주상태가 아닌 해당 중간 노드를 이용한다. 최단경로의 모든 링크상의 트래픽 부하가 낮을 때 중간노드의 사용은 지연을 증가시킨다. 향후 최적의 성능을 위해 보완이 필요하다. 아울러, 2계위에서는 일반 트래픽과 QoS 트래픽이 혼재할 때 자동으로 네트워크의 효율적을 고려한 방법 선택이 필요하다.

  • PDF

Optimization of Parallel-Hole Collimator for Small Gamma Camera Based on Pixellated Crystal Array (배열형 섬광결정을 이용한 소형 감마카메라의 평행구멍형 조준기 최적화 연구)

  • Chung, Yong-Hyun;Beak, Cheol-Ha;Lee, Seung-Jae;Park, Jin-Hyung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19 no.4
    • /
    • pp.291-29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timize a parallel-hole collimator for small gamma camera having the pixellated crystal array and evaluate the effect of crystal-collimator misalignment on the image quality using a simulation tool GATE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 The spatial resolution and sensitivity were measured for the various size of hexagonal-hole and matched square-hole collimators with a Tc-99m point source and the uniformity of flood image was estimated as a function of the angle between crystal array and collimator by misalign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atial resolution and sensitivity were greatly improved by using the matched collimator and the uniformity was reduced by crystal-collimator misalig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