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위주거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6초

서울지역 집합주거단지의 변모에 따른 평면형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ransition of plan-type by Transfiguration of Housing Complexes in Seoul Area)

  • 전병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6-57
    • /
    • 2007
  • 본 연구는 현대 집합주택의 개발의 실험적 토대가 되었던 1960년대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의 서울지역 아파트단지들을 중심으로 단지의 측면과 단위평면의 측면에서 시대적 변천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집합주거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인식하고, 국내 집합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추후 연구의 한 준거를 제시토록 한다. 이를 위하여 집합주거의 생성과 현황에 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진행하여, 국내 주거양식이 점차로 고층, 고밀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주거양식의 집합화가 점차로 정책적인 차원에서 더욱 고려되어지고 있음을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틀 속에서 고찰해 본다. 이와 함께 집합화되는 주거양식이 단위평면속에서는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규모와 제실구성, 설비 및 구조방식, 내부공간 구성방식등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경사지를 활용한 집합주택 단위주거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t Plan and Section Types of Hillside Housing)

  • 신상용;김형우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44
    • /
    • 2009
  • The Hill housing in korea usually have a low-rise clustered housing style, and they were mostly built during the 1980s. Low-rise terraced houses that can be found in Europe, American or japan cannot be found in Korea due to spatial limitations, so semi-detached houses or duplexes with low-story unit plan have been built in Korea.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s will be analyzed, and domestic and foreign cases will be com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and comparisons, new unit plans and section types applicable to Korea will be suggested.

  • PDF

노인시설의 단위주거에 대한 요구 분석 (Needs for the Design of Residential Unit in the Elderly Housing)

  • 박희진;양세화;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6호
    • /
    • pp.44-5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guidelines of residential unit for the elderly by investigating their needs and pre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to develop the alternative elderly housing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Korean culture.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the existing data collected in 2000 for the study of silver industry In Ulsan were used. The subjects were 292 elderly aged 65 and over living in Ulsan. Statistics employed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age, and Chi-squared test with cross-tabulations. About 70% of the elderly respondents preferred more than 49.5$m^2$(15-pyung) for the size of residential unit and about 50% of them wanted to have bedroom, bathroom, kitchen, and living room In the unit. Most elderly (72%) did not prefer to select interior finishes for their units by themselves. Surprisingly, the elderly did not want to bring their own furniture when relocating to the elderly housing, which was somewhat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stud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ferred unit size and level of education, income, and living with or without spouse. Also, income and health statu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hich made differences in preferred space composition.

아파트 단위주거 내부생활소음의 특성과 실태 (Actual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Indoor Noise Including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Units)

  • 최윤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3-90
    • /
    • 2009
  •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improving the dwelling quality of apartment house as a kind of multi-family hous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state on characteristics of indoor noise including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units. The method was field survey consisted of field measurements on equivalent noise level, observation on noise type, and interview on residents' responses. Field survey were carried out in 20 occupied apartment units from January to March 2007.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verages of indoor noise levels including residents' living noise were measured as $43.9{\sim}62.2\;dB(A)_{Leq5min}$, the average of each house except one was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45 dB(A). 2) The noise types observed were mostly residents' living noise and classified into 'water hammer', 'living equipment noise', 'noise by family', 'hood noise', 'kitchen noise' in own unit, 'walking and talking noise in stairs and corridors', 'noise by neighborhood house', 'noise by the upper story' in building, and outdoor noise. 3) The residents showed slightly non-positive responses at 'noise by the upper story', 'noise by neighborhood house', 'water hammer', and 'noise by famil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lan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dwelling quality by residents' living noise in own unit as well as by neighborhood houses.

아파트 단위주거의 리모델링 요소와 현황 - 인테리어디자인업체 실무자와 거주자 심층면접을 통하여 - (Elements and Actual Condition of Apartment Unit Remodeling - By In-depth Interviews on Residents and Specialists of Interior Design Companies -)

  • 최윤정;심현숙;정연홍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7-6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major elements and actual condition of apartment unit remodeling by in-depth interviews on residents and specialists. The interviews had been conducted to interior designers who have a wide experience of apartment remodeling and residents who live in recently remodeled apartment unit. In-depth interview is a kind of qualitative method in which attention to reply of responses with open-access between interviewer and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remodeling elements were generally changing of lighting fixtures and finishing materials in the all spaces, integration of balcony into children's room, installation of furniture in kitchen and entrance, changing storage furnitures and equipments in bathroom. Artificial lighting method were selected generally whole lighting. Finishing materials were used ordinary (non environmentally-friendly) wallpaper and adhesion and tempered floor. There were unsatisfied factors after remodeling, these were dissatisfaction of design, construction defects, and stink of reflecting 'sick house'. Also they responded that they should be considering to use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 at next remodeling.

지구단위계획의 운용과 과제

  • 김영하
    • 건축사
    • /
    • 7호통권387호
    • /
    • pp.89-93
    • /
    • 2001
  • 지구차원의 특성을 반영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창출하고자 하는 제도의 취지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해관계로 인해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운용과 과제, 우리나라의 지구단위계획과 일본의 지구계획, 공동주택에서의 지구단위계획을 심층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다.

  • PDF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건축물별 주거인구밀도의 재현 (Representation of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Residential Building Types by using the Dasymetric Mapping in Seoul)

  • 이석준;이상욱;홍보영;엄홍민;신휴석;김경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89-99
    • /
    • 2014
  • 도시 내 거주하는 인구의 분포는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데이터는 정보기밀성 등을 이유로 일정한 공간단위로 집계되어 제공된다. 때문에 제공되는 것과 다른 공간단위나, 더 세밀한 공간분석을 요하는 연구와 활용이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분포 데이터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여,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한 인구데이터 제공단위보다 세밀한 인구분포를 현실적으로 재현하고자 대시매트릭 매핑 기법을 활용하였다. 대시메트릭 매핑은 주 데이터와 연관된 공간적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를 세밀하게 나타내는 지도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집계구별 인구센서스 자료를 주 데이터로, 건축물 대장을 보조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모든 인구가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한다고 가정하여 주거용 건축물 단위에서 인구분포를 재현하였다. 주거용 건축물을 공간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바이너리기법이 활용되었으며. 이후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건물 용도와 층수를 고려한 가중치를 부여해 입체적인 거주인구밀도를 재현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 토지 및 용도구역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방법론보다 현실적용오차를 줄였다. 또한 주거가능 건축물의 주택유형과 층수가 반영된 3차원적 공간자료를 활용하여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하는 인구를 추정하는 모델을 도출하여, 정확도가 높고 세밀화 된 인구분포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별 건물 단위의 인구 데이터는 일정한 공간단위로 집계를 재가공한 것으로 정보기밀성의 문제가 없는 세밀한 단위의 인구분포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후 도시 내 재난재해 발생에 따른 영향 인구 파악과 같은, 지역인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써 의미를 지닌다.

미국의 주거소비규범에 관한 연구 (The existence of and deviations from housing consumption norms in the United States)

  • 김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1-298
    • /
    • 1995
  • 본 연구는 주거소비규범에서의 이탈과 관계된 변수들을 조사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1. 미국의 각기 다른 가구유형별(가족생활주기 측면에서 구성된) 주거소비규범이 존재하는가\ulcorner 2. 규범보다 높은수준의 주거소비와 관계된 변수는 무엇인가\ulcorner 규범보다 낮은 수준의 주거소비와 관계된 변수는 무엇인가\ulcorner 자료는 미국엣 실시된 1990년도 소비자지출 조사의 인터뷰대상에서 추출된 4,923개의 소비자단위로 연구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ordinary least squares(OLS) 중회귀분석방법이 사용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주거소비규범은 다음과 같은 4가지 주거특성, 즉 방수, 주거유형, 침실당 사람수 및 주거소유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 가구유형 및 크기가 규범이 존재한다고 믿어지는 4가지 주거특성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었으며, 이는 이러한 특성에 대해 규범이 존재한다는 결론을 지지했다. 한편, 다른 많은 가구들이 그들의 가구유형규범과 크기규범에 일치하지 않는 주거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이탈은 소득, 가장의 연령 및 성별과 같이 자원제약을 나타내는 변수와 관계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왜 인구통계적 변수가 주거 및 다른 소비와 관계 되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주거소비만족과 주거조정행동의 근거를 이해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dot}$중 현대 집합주거 단위평면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urrent Housing Unit Plans of Korea and China)

  • 정병문;김현지;이상홍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65-7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preeminent data from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family housing unit plans between Korea and China nowadays. Even though Korea and China belong to common cultured band in Asia, there are many different Housing aspects and unit plans. Through this study we wan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ation's apartment unit plans and to contribute for advance into the China apartment market. Analysis target is constructing and lotting out apartment at South Korea and China in 2004, and the space syntax model is used as an analysis tool. First, analyze kind, number and special quality of each room by use area, and second, analyze area and scale of the rooms. Through the integration analysis we know the grade of rank and centrality of each rooms, and search difference of South Korean and Chinese apar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