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위업무

Search Result 41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Plan of Analysis of Factory for Systematical Construction of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 (체계적인 CIMS 구축을 위한 공장진단의 소개 및 활용방안)

  • 정귀훈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4
    • /
    • pp.337-346
    • /
    • 1995
  •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여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윤 추구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단순한 노동생산성 향상, 국부적인 개선/합리화, 일부분의 전산화, 단위 공정의 자동화 등을 통한 부문별(기능별) 자동화로는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보다 체계적이고 종 합적으로 관련 업무를 추진하려면 진단 업무를 통하여 대상부문의 문제점들을 도출하여 그 문 제점들을 종합적으로 해결하는 차원에서 일관성 있게 추진하여야 될 것이다. 이러한 진단 활동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관련된 모든 부문의 현상 파악 및 문 제점 도출에 직접적으로 지원을 할 수 있는 핵심 요원으로 구성된 전담 추진 팀을 구성함은 물 론이고 전문 기관 또는 학계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현대중공업 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엔진사업본부의 POPICS와 플랜트 사업본부의 PINES가 학계와 공동연구로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일련의 TFT 활동을 통해 좋은 결실을 얻기 위해서는 참여하는 핵심 요원은 물론이고 해당되는 부문의 모든 임직원의 Mind 형성 및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이와 같은 사업본부 단위의 대형 과제를 추진하려면 시스템화 지향이 우선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분적인 최적화 노력보다는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지구단위계획수립의 실습(2)

  • Mun, Hong-Gil
    • Korean Architects
    • /
    • no.4 s.408
    • /
    • pp.78-83
    • /
    • 2003
  • 건축사협회에서 마련했던'지구단위계획제도의 이해와 실습' 강좌에서 마지막 실습부문을 진행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강좌를 진행하면서 느꼈던 점은 건축사들이 도시계획과 도시설계를 자기업무로 보지 않는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이다. 우리가 속해서 경쟁하고 있는 국제건축가연맹(UIA)의 이념과 목적을 보면 건축가의 사명을 '건축과 도시 계획을 발전시켜 공동체의 개선을 꾀할 것'이라고 천명하고 있다. 본고가 이러한 사명감에 따른 매뉴얼을 지닌 외국건축사들과 경쟁 또는 협력해야 할 우리 건축사들의 관념적 지평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회에 나누어 실게 될 본고 중 지난호에는 지구단위계획과 건축설계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현재 우리의 구분기술 환경속에서 이 주제를 압축한다면 계획가와 설계기간의 연계 '바톤'이 곧 지구단위계획이 될 것이다. 그 속에는 건물이 넘어가서는 안되는 윤곽선과 용도 등이 들어있는 것이다. 이번 호에는 지구단위계획의 입안관점과 사례들을 소개한다.

  • PDF

지구단위계획수립의 실습(1)

  • Mun, Hong-Gil
    • Korean Architects
    • /
    • no.3 s.407
    • /
    • pp.72-77
    • /
    • 2003
  • 건축사협회에서 마련했던'지구단위계획제도의 이해와 실습' 강좌에서 마지막 실습부문을 진행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강좌를 진행하면서 느꼈던 점은 건축사들이 도시계획과 도시설계를 자기업무로 보지 않는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이다. 우리가 속해서 경쟁하고 있는 국제건축가연맹(UIA)의 이념과 목적을 보면 건축가의 사명을 '건축과 도시 계획을 발전시켜 공동체의 개선을 꾀할 것'이라고 천명하고 있다. 본고가 이러한 사명감에 따른 매뉴얼을 지닌 외국건축사들과 경쟁 또는 협력해야 할 우리 건축사들의 관념적 지평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회에 나누어 실게 될 본고 중 이번호에는 지구단위계획과 건축설계와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현재 우리의 구분기술 환경속에서 이 주제를 압축한다면 계획가와 설계기간의 연계 '바톤'이 곧 지구단위계획이 될 것이다. 그 속에는 건물이 넘어가서는 안되는 윤곽선과 용도 등이 들어있는 것이다. 다음 호에는 지구단위계획의 입안관점과 사례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Security Attribute Design in Security Plan of The Design Phase (설계단계의 보안 방안에서 보안 속성 설계에 대한 연구)

  • Shin, Seong-Y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5
    • /
    • pp.1125-1130
    • /
    • 2015
  • In this paper, a method to identify components per unit task system is expressed with node, module, and interface. We define security subject per unit task system and explain node, module, and interface per component. According to the defined security standard in design phase, we also perform to design and elaborate security attributes for node and module as identified security subjects in their defined tables. And then we describe the composition standard for security attribute design with some examples, after classifying it into security subject, access subject, access control area,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area, and encryp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oject Work Unit-based Scheduling Application (프로젝트 작업 단위 기반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

  • Bomin Kim;Minyoung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1173-1178
    • /
    • 2023
  •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tendency to emphasize efficiency and lead to detailed planning of team projects and individual tasks within organizations. In a 24-hour routine, the ability to use time effectively is considered an indicator of conscientiousness, and people try to imitate planned and organized people and utilize various systems to manage their daily lives. The reason why you want to perform a given task efficiently is because it affect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ject by completing the task within a set period of time. Neglecting the project schedule is considered a major risk that threatens a successful outcome. This applies not only to large-scale organizational projects but also to individual life, and utilizes a variety of schedule management tools that emphasize time-based efficient management. In project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understand the detailed work progress rather than simply based on Toda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droid application that can manage schedules by accessing the user's project in units of tasks rather than dates, and introduce its implementation. The application we implemented in this paper can manage the project's goals and schedule by registering the project to which the user belongs. In addition, it provides the ability to approach work efficiently by visualizing the progress of the entire project or individual goals. As a result, users can use the application we propose in this paper to focus on their projects and manage schedules by task,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project.

기업 경영의 변혁 워크그룹 네트워킹

  • Lee, Sang-Hun
    • 정보화사회
    • /
    • s.79
    • /
    • pp.54-58
    • /
    • 1994
  • 워크그룹 네트워킹은 부서단위의 업무를 신속히 처리하고, 처리되는 모든 정보를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기업 리엔지니어링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는 워크그룹 네트워킹과 어플리케이션인 그룹웨어에 대해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for College of Education: Focused on J College of Education (교육대학교의 표준 기록관리기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J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

  • Bae, Sung Jung;Kim, Tae Young;Oh, Hyo-Jung;Kim,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0 no.2
    • /
    • pp.119-14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mapping transaction and records folder based on identifying the problem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For these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ll college of education. And then, drew out the business transaction items for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based on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of the local governments. Consequently, based on analysis, this study developed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suggested efficient management plan to apply Business Reference Model(BRM) to the college of education in 2017.

Construction present state managerial system specifica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the WBIS (WBIS를 이용한 건설공사현황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남곤;강의석;서명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397-399
    • /
    • 2003
  • 각 관공서나 공공기관에서 발생되는 각종 공사현황정보와 기술정보를 시설물 전체 수명주기동안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설공사관리 업무를 전자처리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며, 사업계획에서 준공까지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서들의 보관이 비체계적이므로 이를 잘 보관하고 재 사용하기 위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건설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을 대상으로 사업단위별로 업무를 7가지로 세분화하고. 그 중에서도 핵심부분인 공공건설사업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공사현황 정보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Research on Development of Support Tools for Local Government Business Transaction Operation Using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 지원도구 개발 연구)

  • Kim, Dabeen;Lee, Eunjung;Ryu, Hanjo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70
    • /
    • pp.85-11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unit tasks, unit task operation, and record management problems used by local governments,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using text-based big data technology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process. Local governments are in a serious state of record management operation due to errors in preservation period due to misclassification of unit tasks, inability to identify types of overcommon and institutional affairs, errors in unit tasks, errors in name, referenceable standards, and tools. However, the number of unit tasks is about 720,000, which cannot be effectively controlled due to excessive quantities, and thus strict and controllable tools and standards are need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developed a system that applies text-based analysis tools such as corpus and tokenization technology during big data analysis, and applied them to the names and construction terms constituting the record management standard. These unit task operation support tools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cord management tasks as they can support standard operability such as uniform preservation period, identification of delegated office records, control of duplicate and similar unit task creation, and common tasks. Therefore, i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can be linked to BRM and RM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the record management standard work will incr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