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위세대 주거평면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일본 공동주택 시노노메 캐널코트의 단위세대 주거평면 분석 (Analysis on the Unit-Plans of Shinonome Canal Court Multi-dwellings Project in Japan)

  • 서귀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43-54
    • /
    • 2008
  •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unit-plans in multi-dwellings for the future society. Shinonome Canal Court where residents actually live now are the objects in this study, and the residential floor plan of unit-plan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typical types.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unit-plans of 5 blocks of Shinonome Canal Court. Space Syntax Theory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As the first stage of the analysis, justified graphs were made to find out the characters of unit-plan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graphs. Conten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Relationship between classified justified graphs and dimension according to node number. Relationship between classified justified graph patterns and unit-plans. Characters of unit-plans in each blocks. Shinonome Canal Court consists of mainly small scale unit-plans and 30unit-plans are classified. 1LDK, 2LDK, 1LDK+S, 1LDK+f are typical unit-plans which are mainly supplied in the complex. It is noted th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node, justified graph pattern and dimension are the same. It also presents diverse unit-plans which shows a change in nLDK pattern or add f (foyer), AN (annex), S (service room), Fs (free space) to basic nLDK type. In summary, i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residental floor plans in multi-dwellings.

단위세대의 개방형 평면구성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en Floor Plan Design Property on Apartment Price)

  • 배상영;이상엽
    • 부동산연구
    • /
    • 제27권1호
    • /
    • pp.17-32
    • /
    • 2017
  • 주거공간의 개방성은 채광, 조망, 환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특성으로, 단위세대의 개방성 확보를 위해 아파트의 평면유형이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개방형 평면유형과 주택가격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는 개방형 평면 유형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방형 평면유형과 베이수, 발코니비율, 공간 당 외부접면비율 등의 평면개방정도와 형태를 변수화하고,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20개월간 강남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자료를 기반으로 헤도닉 가격모형과 인공신경망 모형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베이수, 공간 당 외부접면 비율이 높을수록 아파트 가격은 상승하며, 개방형 평면 유형은 3면 개방형 평면, 직각 개방형 평면, 양면 개방형 평면, 1면 개방형 평면, 복합 개방형 평면 순으로 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신축 및 재건축시 사업자가 평면설계에 있어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하고 구매자의 경우에도 평면유형에 따른 가치파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카자흐스탄 아파트 단위세대 평면변경 사례를 통해 살펴본 주거요구의 경향 (Understanding the Living Demands of Kazakh Apartments through Plan Alteration Cases)

  • 최재필;이재훈;손동화;김영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81-90
    • /
    • 2014
  • As an emerging market in central Asia, Kazakhstan's housing market is witnessing increasing demands. Though Korean construction industries have attempted to take advantage of this opportunity, in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local living demands have kept the industries from successfully establishing themselves in the foreign contex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architectural planning implications regarding the living demands by investigating changes being made to the housing structure. By analyzing 11 apartment unit plans, it was found that Kazakhs had a living demand for more spacious living rooms and functional spaces. In the effort to improve the livingroom environment and usability such as enlarging the livingroom, removing the living room wall for open space or expanding the inner space facing outside is understood that the living room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space. The fact that spaces such as dress rooms and utility rooms are being added in the housing market, reflects the demand of functional spaces. These demands are considered as the reflection of the traditional life style of nomad culture and the cold local climat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partment unit plans distributed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are quite compatible with the Kazakh housing market since they offer spatious living rooms, while the latter founding implies the changes that ought to be made for a successful establishment in the foreign market.

경남지역 중대형 아파트의 단위세대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e Space Composition of the Medium Large Size Apartments' Unit Plan in Gyeongnam)

  • 한민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10
    • /
    • 2008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apartments and the general principles of apartments unit plans in Gyeongnam.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method were used in his research. The data of 108 unit plans were collected from e-catalogue and model houses of housing construction fi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principle of Gyeongnam apartment unit plans, the tendency of 4LDk+2BATH type, 4bay, central type living room were showed. 2) In the point LDK and couple's bed room, LDK area become large and open type and couple's bed room were showed bed room+dress+powder+bath type as Maser's zone. 3) The entrance has a intermediate space as a balcony or a former space and the privacy of LDK space was protected from the entrance. 4) In the case of support space, generally support kitchen and laundry space were offered and several balconies were utilized. In fact, he differences of apartment plan composition between central cities and Gyeongnam were no showed. Therefore, these tendencies on plan composition of apartment in Gyeongnam were followed the general principles of Korean unit plans.

공간구문론 분석에 의한 아파트 주동형식별 공간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Building Type based on the Space Syntax Analysis)

  • 박몽섭;박찬돈;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85-194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unit floor plan based on the apartment building type. It is generally agreed that various apartment building types were organized by diverse apartment unit floor plan. The reason behind this diversity, apartment unit plan a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nd the diverse spatial composition of the unit floor plan. Apartment building types were classified by the similarity of the justified-graph type. This types classified into two category; One core type which were classified by the shape of the core, and multiple core type which were compounded by more than two core. These categories divided into 5 types, and 2 types. Each types were compared in view of the mean depth, relative asymmetry, integration value. Consequently, these types could be classified in the number of the unit floor plan. It is profitable to 3 unit types which was analyzed in view of an indicator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Therefore, 3 unit types is favorable to the composition of the apartment building types.

유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거복지동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가양 7단지 영구임대주택을 중심으로 (A Design Methodology of the Welfare Building for Providing u-Healthcare Services: Focused on the Gayang 7th Apartment Complex)

  • 이지은;윤영호;양동석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1호
    • /
    • pp.1-10
    • /
    • 2014
  • 주거 공간에 건강관리에 필요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aging in place'의 실현을 가속화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주거공간의 변화는 의료비를 절감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복지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가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헬스케어 서비스(Healthcare service)를 아파트 단지 내에 적용하는 계획방안에 대해 도출하고 주거복지동의 첫 사업 대상지인 가양 7단지 영구임대주택 단지를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고자 한다. 먼저 거주자의 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의향에 대해 조사하고 관심이 높은 응답자를 중심으로 실제 시범사업이 적용된 서비스의 사용모습 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추후 계획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도출하였다. 가양 7단지의 경우 유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고령자보다는 고령자 진입층에서 더 강력하게 나타나지만 공통적으로 주호의 협소함으로 기기 설치 및 측정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관찰조사 결과 주호는 사용자세의 불편함으로 입식구조의 측정공간 계획이 필요하며 장비보관장소도 필요하다.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은 건강측정, 건강관리, 외부 시설과 연계된 시설로 나눠 계획할 수 있으며, 이는 건강측정 공간을 기본형, 즉 최소형으로 하여 점차 확대 적용할 수 있다. 가양 7단지의 경우, 별도의 복지 건물이 신축되므로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성하는 혼합형의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반자립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까지 확대 적용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공동주택의 실간차음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Insulation between Rooms in Apartment Houses)

  • 이상우;정대업;김흥식;김하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0-58
    • /
    • 1992
  • 국내 공동주택에 있어서 실내주거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리시정에 적합한 차음성능 평가방법과 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차음성능 개선방안의 수립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간차음성능의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국내공동주택의 단위 세대내 내부소음원의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간막이벽을 중심으로한 실간차음성능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실태조사결과에 의한 자료를 토대로 평면유형별 차음지수의 차이와 그 원인을 조사${\cdot}$분석하였으며, 현행 간막이벽 구조의 차음성능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차음성능 영향요인 및 결정요인을 분석평가하였다.

  • PDF

원가기반의 공동주택 마감재 정보관리 방안 연구 (A Cost-Based Interior Information Management for an Apartment Housing Project)

  • 이훈구;이윤선;문혁;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76-84
    • /
    • 2009
  • 최근 장기간에 걸친 주택경기 침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 의한 정적재고 증가, 수요자의 주거선호 변화 등으로 인해 차별화의 개념이 주택시장에서 경쟁우위 확보의 주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동일한 단위 평면 안에서 마감재 디자인 요소의 차별화에 의해 수많은 마감재 정보가 발생되고 고급화된 사양 선택으로 인하여 공동주택 단위 세대 내부의 마감 원가가 상향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마감재 설계 단계의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마감재 설계 및 대안 선정 시 발생되는 원가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대규모 공동주택 건설 시 대량으로 발생하는 디자인정보, 원가정보, 작업정보 관리 측면에서 마감재 정보관리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감재 설계 및 대안 선정 시 원가관리와 정보를 관리 할 수 있도록 마감재의 디자인, 원가, 작업 정보를 통합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원가관리 요소별 개선을 통해 원가기반의 마감재 정보 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