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위명사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dex Extraction Using Syntactic Morpheme (구문형태소를 이용한 색인어 추출)

  • Hwang, Y.G.;Lee, K.Y.;Kim, N.S.;Lee, Y.S.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26-30
    • /
    • 2000
  • 문서를 대표하는 단어를 추출하는 색인어 추출은 정보검색 시스템의 질을 좌우한다. 대부분의 색인어 추출 시스템은 명사를 추출하고 있으며, 가능한 모든 명사를 추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불필요한 단어가 그 문장을 대표하는 색인어로 추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정보 검색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품사 태깅이나 구문 해석 단계 등을 통해 불필요한 후보를 제거할 수 있지만, 태거를 구축하거나 구문 해석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 형태소 단위의 형태소 해석에 기반한 색인어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구문 형태소는 통사적/의미적으로 강한 공기 관계를 가지면서 문장에서 하나의 통사적 단위나 자질의 단위로 표현되기 때문에 구문 형태소내에 포함된 단어열들은 대부분 색인어가 될 수 없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태소 해석 결과를 이용한 색인어 추출에서 발생하는 색인 오류를 제거함으로써 색인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한국어 합성 동사성 명사의 어휘구조와 다중 동사성명사 구문

  • 류병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1-144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Multiple Verbal Noun Construe-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 이론인 최근의 핵 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 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일본어의 유사한 현상을 분석한 Grimshaw & Mester (1988)의 격실현 양상에 관한 일반화를 기반으로 한국어 동사성명사구문의 논항실현 양상을 ‘논항전이’ (argument transfer)라는 이론적 장치를 이용해 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동사성 합성명사의 논항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항합성’(argument composition)이라는 이론적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서 다중 동사성 명사구문의 논항실현 과정에서 보이는 겹격표지 현상을 ‘격 복사’(case copying)를 제안해 동사성 명사의 격표지가 합성 명사에서 분리되어 문장단위에서 실현될 때 동일한 격을 복사해 실현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동과 능동 등 문법기능의 변화현상에서 하위범주화된 요소들의 격변화가 자의적이 아님을 실례를 들어 보여 주고자 한다. 일본어의 경동사 (light verbs)에 관한 분석 인 Grimshaw Meste, (1988) 이래 한국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문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Ryu (1993b), 채희락 (1996), Chae (1997) 등 참조). 한국어에서 ‘하다’와 동사성명사(verbal nouns)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사성명사구문’ (Verbal Noun Constructions)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하나의 동사성 명사가 ‘하다’나 ‘되다등 소위 문법기능을 바꾸는 ‘경동사’들과 결합하여 복합술어가 되는 문법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와 비교해서 동사성 명사의 어근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동사성명사들끼리 합성명사(compound nouns)를 이루고 그 동사성 합성명사가 문법기능의 변화를 바꾸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술어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이 지적은 핵심어주도 구절구조문법틀 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

  • PDF

A Compound Noun Processing in the Two-level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Two-level 한국어 형태소 해석에서의 복합명사 처리)

  • 이근용;박기선;이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05-507
    • /
    • 2002
  • Two-level 형태소 해석 모델은 단어들이 결합할 때 발생하는 철자변화를 처리하는 언어 독립적인 형태소 해석 모델이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 활용과 첨용이 자유로운 교착어에 속하며 음절단위 표현법 때문에 two-level 모델을 이용한 형태소 해석 방법보다는 언어 종속적인 형태소 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한국어 용언과 다양한 변형을 처리하기 위한 two-level 규칙이 표현되었지만, 형태소 해석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복합명사 치리와 미지어 처리에 대한 적절한 방법이 아직 계시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어절 생성 규칙을 이용한 사전 구성을 이용하여 two-level 모델에서의 한국어 복합명사의 처리에 대해서 다루고, two-level 모델에서 한국어 복합명사 처리가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 PDF

Chunking of Auxiliary Verbs including Dependant Nouns (의존명사를 포함하는 보조용언의 구묶음)

  • Kim, Tae-Woong;Cho, Hee-Young;Seo, Hyung-Won;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279-284
    • /
    • 2006
  • 한국어 부분 구문분석의 단위인 말덩이(chunk)는 하나의 의미적 중심어를 가지며, 그 구문구조가 선형인 구를 말하며, 말덩이를 분석하는 과정을 구묶음(chunking)이라고 한다. 한국어 말덩이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보조용언도 말덩이의 한 종류이다. 이 논문은 (한국해양대학교, 2005)의 연구를 바탕으로 오류를 자주 발생시킨 의존명사를 포함하는 보조용언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구축된 말뭉치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모든 의존명사를 포함하는 보조용언을 다루기에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므로 "것", "바", "때문", "데" 등의 의존명사를 포함하는 보조용언을 구성하는 말덩이를 중심으로 명확한 기준을 언어학적인 방법으로 제시하고 말뭉치 구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 PDF

A Design of Efficient Automatic Indexing based on Dictionary Information (사전 정보에 기반한 효율적인 자동색인기 설계)

  • Jin, Joung-Hwan;Kim, Ta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47-550
    • /
    • 2001
  • 웹상에 공유되어진 문서의 내용을 대표하는 색인어 추출은 정보 검색 시스템의 질을 좌우한다. 한국어의 자유로운 복합명사나 띄어쓰기 규약, 사전 미등록 어휘 등으로 색인어 추출시 질의어와 색인어 사이의 형태상의 불일치(Syntactic Term Mismatch)가 발생하여 검색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전을 통한 형태소 해석을 통해 단위명사(Unit Noun)로 색인어를 추출하고 사전 미등륵어는 N-gram 기반 색인 방법을 이용하여 질의어와 색인어 사이의 부분 일치된 문서도 추출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색인어와 질의어 사이의 유사도 계산을 통해 문서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색인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by applying error indication function in word processor (워드프로세서의 영어문장 어법오류 인식개선을 통한 영어구문작성 향상방안에 대한 연구)

  • Yi, Jae-I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285-290
    • /
    • 2020
  • This study focus on improving the text language proficiency regarding users' written text. In order to tone up accuracy improvement in writing,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CALL) can be primarily used as one of the most efficient tools. This study proposes a English Grammar Checking Application that can improve the accuracy over the current applications. The proposed system is capable of defining the difference between a Noun and a Noun Phrase which is critical in improving grammar accuracy for those who use Englilsh as a foreign language in English writing.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and Part-Of-Speech Tagger Based on CYK Algorithm Using Syllable Information (음절단위 CYK 알고리즘에 기반한 형태소 분석기 및 품사태거)

  • Kwon, Oh-Woog;Chung, Yu-Jin;Kim, Mi-Young;Ryu, Dong-Won;Lee, Moon-Ki;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d
    • /
    • pp.76-8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포항공과대학교 지식 및 언어공학연구실에서 개발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및 품사 태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음운 축약 현상이 많은 한국어에 적합한 음절단위 CYK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복합명사 및 복합동사에 대한 처리와 실제 문서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띄어쓰기 오류 처리에 대한 방법론을 설명하고 미등록어에 대한 처리 방안을 제시한다. 품사 태거에서 사용된 방법론과 태그 집합간 매핑, 그리고 명사 추출기에 대해 기술한 후 마지막으로 MATEC'99를 위한 준비과정에서 발생한 표준안과 우리 시스템 사이의 차이점을 나열 및 분석하고 간단히 MATEC'99를 통해 얻은 실험 결과와 평가를 하고자 한다.

  • PDF

Extracting Implicit Customer Viewpoints from Product Review Text (상품 평가 텍스트에 암시된 사용자 관점 추출)

  • Jang, Kyoungrok;Lee, Kangwook;Myaeng, Sung-Hy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3.10a
    • /
    • pp.53-58
    • /
    • 2013
  • 온라인 소비자들은 amazon.com과 같은 온라인 상점 플랫폼에 상품 평가(리뷰: review) 글을 남김으로써 대상 상품에 대한 의견을 표현한다. 이러한 상품 리뷰는 다른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정보원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이 남긴 의견 정보(opinion)를 자동으로 추출하거나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인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분야에서 과거에 진행된 대다수의 연구들은 크게는 문서 단위에서 작게는 상품의 요소(aspect) 단위로 사용자들이 남긴 의견이 긍정적 혹은 부정적 감정을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소비자들이 남긴 의견이 대상 상품 혹은 상품의 요소를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판단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유용한 경우도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어떤 관점'에서 대상 상품 혹은 상품의 요소를 평가했는지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형용사의 대표적인 성질 중 하나가 자신이 수식하는 명사의 속성에 값을 부여하는 것임에 주목하여, 수식된 명사의 속성을 추출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WordNet을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명의 평가자를 활용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본 연구 방향이 감성분석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열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A Statistical Model for Korean Text Segmentation Using Syllable-Level Bigrams (음절단위 bigram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단어인식모델)

  • Shin, Joong-Ho;Park, Hyuk-R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255-260
    • /
    • 1997
  • 일반적으로 한국어는 띄어쓰기 단위인 어절이 형태소 분석의 입력 단위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실제 영역(real domain)에서 사용되는 텍스트에서는 띄어쓰기 오류와 같은 비문법적인 형태도 빈번히 쓰이고 있다. 따라서 형태소 분석 과정에 선행하여 적합한 형태소 분석의 단위를 인식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음절 특성을 이용한 형태소분석을 위한 어절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전에 기반하지 않고 원형코퍼스(raw corpus)로부터의 필요한 음절 정보 및 어휘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취하므로 오류가 포함된 문장에 대하여 견고한 분석이 가능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사전구축 및 관리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어 어절 인식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세가지 확률 모텔과 동적 프로그래밍에 기반한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들을 띄어쓰기 오류문제와 한국어 복합명사 분석 문제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82-85%정도의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 PDF

Automatic Construction of a Transliteration Dictionary from Bilingual Corpus (이중언어 코퍼스로부터 외래어 표기 사전의 자동구축)

  • Lee, Jae-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142-149
    • /
    • 1999
  • 외국문명의 영향으로 많은 외래어가 한국어 문서 내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어는 주로 전문용어, 고유명사, 신조어 등으로 사전에 등록되지 않는 것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언어 코퍼스로부터 자동으로 외래어 사전을 추출해 내는 확률적 정렬 방법과 실험결과를 소개한다. 확률적 정렬 방법은 통계적 음차 표기 모델에서 사용된 방법을 변형하여 적용한 것이며, 문서단위로 정렬된 두 종류의 영-한 이중언어 코퍼스에 대해 실험하여 재현률과 정확률을 측정하였다 성능은 전처리단계인 한국어 미등록어 추정에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미등록어 추정을 대략하였을 경우, 재현률은 평균 58%였고, 정확률은 평균74%이었으며, 수동으로 미등록어 명사를 분리했을 경우, 재현률 평균86%, 정확률 평균91%로 외래어와 대응되는 원어를 추출해 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