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어 목록 중심 어휘 지도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2020년 EBS 연계교재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듣기 및 읽기 어휘 분석 (Vocabulary Analysis of Listening and Reading Texts in 2020 EBS-linked Textbooks and CSAT)

  • 강동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679-6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BNC 어휘목록과 2015 교육부 기본 어휘를 중심으로 EBS 연계교재와 대학 수능시험의 어휘를 분석하고자 한다. 어휘점유율과 빈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AntWordProfiler 어휘 분석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결과를 보면, 2020 EBS 수능 영어 듣기와 읽기 연계 교재는 각각 BNC 3,000 단어와 4,000 단어를 가지고 약 95%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EBS 듣기와 읽기 교재의 98%의 단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각 4,000과 8,000 단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2020 수능영어시험 듣기와 읽기의 95%를 이해하기위해서는 각각 2,000과 4,000 단어가 요구되며, 98%의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4,000과 7,000의 단어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EBS 연계교재가 대입수능영어시험보다 더 많은 어휘의 양을 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휘 지도 방법이 어휘 학습전략 사용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 학생 설문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vocabulary instructional method on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affective domain: Focus on an analysis of students' survey responses)

  • 김낙복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3호
    • /
    • pp.89-112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llocation-based vocabulary instru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G2). It wa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wordlist-based vocabulary instruction for the control group (G1). This results reflect the development of low level high school EFL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positive change in the affective domain. I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ponses, G1 and G2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on the first questionnaire. They did, however, differ significantly on the second questionnaire. G2 used more strategies to discover and to consolidate the meaning of the words by means of combining words. In terms of the affective domain, G2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learning activities,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ocabulary growth, memory, self-confidence, motiv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G2 was more inquisitive, interested, challenged, participatory, cooperative, and attentive than G1 in performing the vocabulary task activities. Moreover,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G2 performed more interactive and dynamic activities in solving the given tas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