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순매립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자가발열 고온호기성 소화(ATAD)방식을 이용한 하수잉여슬러지 저감기술 개발

  • 한국정수공업㈜ 기술연구소, 수원대학교 환경공학과, 한국정수공업주식회사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84
    • /
    • pp.64-69
    • /
    • 2001
  • 1998년 기준으로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약 144만톤/년으로 발생량 대부분을 단순매립과 해양투기로 처리하고 있어서, 각종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처리방안에 대한 대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단순매립 시에는 슬러지 대부분이 유기물로 부패되어 매립지 내에서 악취, 침출수, 해충 등의 2차 환경오염을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개발의 목표는 자가발열 고온호기성 소화(Autothermal Thermophilic Aerobic Digest

  • PDF

A Study on Landfill Gases in Old Open Dumping Landfill Site (단순 매립지내의 매립가스에 관한 연구)

  • Yeon, Ik-Jun;Ju, So-Young;Yoon, Chol;Yi, Myoung-Sun;Kim, Kwang-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 no.1
    • /
    • pp.13-18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e analysis of landfill gases(LFGs) in old open dumping landfill site near middle city and offer the useful data for reusing the landfill site as the residental, commercial and other purposes. The concentration of $CO_2$ and $CH_4$ were lower as 8.28 vol% and 1,247 ppm but the concentrations of $NH_3$ and $H_2S$ were 7 times and 12 times higher than TLV-TWA standard. The concentration of $CH_4$ and other gases were lower than the ACGIH criterion. As the result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n the open dumping landfill, if appears that this landfill is maturation phase and the formation of LFGs is reduced. If the treatment facility of $NH_3$ and $H_2S$ gases is prepared, it can be safely used as this landfill site.

  • PDF

The Characteristics of Landfill Waste and Leachate on Open Dumping Landfill Site of Small Scale (소규모 단순매립지의 매립폐기물 및 침출수의 특성)

  • Ju, So-Young;Yeon, Ik-Jun;Jeon, Tae-Wan;Wi, Mi-Kyung;Kim, Kwang-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 no.1
    • /
    • pp.79-85
    • /
    • 2000
  •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n the open dumping landfill of small scale which was situated in local small city was carried out to reuse the landfill site as the residental, commercial and other purpo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eachate of landfill, extracted solution from landfill waste. The waste was landfilled at 5.5~8m depth and the covered layer so poor as 20~50cm thickness. The biodegradable organic matters were almost degraded and the result of the leachate of landfill showed that the BOD/COD ratio were measured as 0.079, pH 7.2~7.6, SS 47736mg/L, COD 6193.8mg/L, T-N 596mg/L, and T-P 123.9mg/L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higher than those of extracted solution of landfill waste as the COD and BOD were measured as low values and T-N 7.77mg/L and T-P as 0.20mg/L lower concentrations the landfill appears the maturation phase. As the result of the assessment on the open dumping landfill of small scale, if appears that this landfill is maturation phase and the formation leachate is reduced. If the treatment facility of leachate from landfill and the layer which protects the inflow/infiltration is prepared, it can be safely used as this landfill site.

  • PDF

The Assessment for Environmental Stabilization in Open Dumping Landfill Site from Physical Composition and Gas Analysis - A Case Study of Noeun Landfill - (비위생 매립지의 물리적 조성 및 가스 분석을 통한 안정화 평가 - 노은 매립지 사례 연구 -)

  • Lee, Min-Hee;Jang, Byoung-In;Yun, Cheol;Yeon, Ik-Jun;Kim, Kwang-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4
    • /
    • pp.27-35
    • /
    • 2005
  • A case study of the assessment for environmental stabilization in open dumping landfill site was carried out physical composition, total solid, moisture, and landfill gas(LFG) analysis in landfill site. The result of physical ratio were represented combustibles 23.64% and incombustibles 76.36%, TS 77.69%, VS 74.24%, FS 25.75%. The biodegradable organic matters were almost degraded and the result of the landfill gas showed that the $CH_4$ gas were measured as 4.5%. As the result of the assessment on the open dumping landfill it appears that this landfill is stabled for the maturation phase and formation $CO_2$ concentration lower than 15%.

  • PDF

Study on Removal of Trace Components from Landfill Gas Hydrate (매립가스 하이드레이트에서 미량성분 제거에 관한 연구)

  • Shin, Hyungjoon;Moon, Donghyun;Han, Kyuwon;Lee, Jaejung;Yoon, Jiho;Lee, Gangw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52.1-152.1
    • /
    • 2010
  • 매립지에서 유기물의 분해로 발생되는 매립가스는 악취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온난화지수가 21인 메탄이 약 50vol% 이상 포함되어 있어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매립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 대기오염저감, 지구온난화 감소, 대체에너지원 확보뿐만 아니라 CDM사업 등과 연계하여 부가수익창출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는 약 242개의 폐기물매립지가 있는데, 이중 매립가스를 활용하는 곳은 단지 14개소로 개별 경제성이 있는 대형매립지에서만 자원화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그 외 매립지에서는 매립가스를 소각 또는 단순 대기 방출하여 대기오염유발과 동시에 대체에너지원 미활용으로 국가차원에서 큰 손실이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매립가스 에너지화 기술로는 매립가스 열량에 따라 가스엔진, 가스터진, 증기터빈을 이용하는데 국내에서는 수분제거와 같은 간단한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정제 없이 사용한다. 그런데 매립가스 구성 성분 중 일부 미량가스($H_2S$ 등)는 부식성이 높아 실제 공정에서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전처리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중심적환장으로 이송하여 경제성을 가지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이드레이트 기술을 활용함에 있어 전처리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매립가스 구성성분 중 대표적 악취물질인 메르캅탄과 부식성 물질인 황화수소의 전처리 기술로서 활성탄 흡착방법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하고 흡착탑을 2단으로 구성하여 활성탄 흡착탑을 제작하였다. 대상가스는 일반적으로 매립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흡착탑 전 후 가스의 성분분석은 LMSxi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활성탄의 상태, 접촉시간, 흡착탑의 구성에 따라 50~80%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이는 활성탄 흡착탑을 매립가스 에너지화의 전처리 시설로 사용될 경우 각각의 변수들에 대해 정확한 공정설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Study on Hydrate Kinetic of $CH_4+CO_2$ and $CH_4+CO_2+N_2$ System ($CH_4+CO_2$ System과 $CH_4+CO_2+N_2$ System의 Hydrate Kinetic 비교 연구)

  • Shin, Hyungjoon;Moon, Donghyun;Han, Kyuwon;Lee, Jaejung;Lee, Juho;Yoon, Jiho;Lee, Gangw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19.1-219.1
    • /
    • 2010
  • 매립지에서 유기물의 분해로 발생되는 매립가스는 악취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온난화지수가 21인 메탄이 약 50vol% 포함되어 있어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매립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 대기오염저감, 지구온난화 감소, 대체에너지원 확보뿐만 아니라 CDM사업 등과 연계하여 부가수익창출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는 약 242개의 폐기물매립지가 있는데, 이중 매립가스를 활용하는 곳은 단지 14개소로 개별 경제성이 있는 대형매립지에서만 자원화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그 외 매립지에서는 매립가스를 소각 또는 단순 대기 방출하여 대기오염유발과 동시에 대체에너지원 미활용으로 국가차원에서 큰 손실이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중심적환장으로 이송하여 경제성을 가지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이드레이트 기술을 접목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매립지에서 매립가스가 생성되는 과정에 표층부의 균열 및 차수막의 손상과 포집하는 공정에서 블로워 등의 사용으로 질소가 다량 포함되며 질소의 경우 상당히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므로, 매립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시 질소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CH_4+CO_2$ System과 $CH_4+O_2+N$ System에 대하여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Kinetic을 측정하였으며, 실험전후의 가스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매립가스에 공기가 유입될 경우, 질소의 영향으로 하이드레이트 생성조건이 가압되었고 하이드레이트 내 메탄의 함량비율이 줄어들었다.

  • PDF

The Numerical Modeling Study for the Simultaneous Flow of Leachate and LFG in Kimpo Landfill (수도권 매립지에서 침출수-가스의 동시 유동 해석을 위한 전산 모델링 연구)

  • 성원모;박용찬;이광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2
    • /
    • pp.101-106
    • /
    • 1999
  • Open dump of refuse causes groundwater and soil contamination by leachate and air pollution by LFG(Landfill Gas). In this paper, in order to perform a study about reduction of high leachate and LFG collection & control, using a 3-D, 2-phase, transient FDM model, the analysis of simultaneous flow of leachate and LFG has been carried out. In present numerical analysis it is assumed that 58 percents of LFG will evaporate to the ambient air and the recharge rate of a landfill be 12 percent of the average precipitation per year. All other data were excerpted at the point of 1995 when three refuse layers had been buried. From numerical analysis we concluded that maximum head value is approximately 26 mH2O<-에이치투오 (2.52 atm) in the center of the system and that installing venting tren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landfill stabilization. Evan with the assumption of three layers constructed and low recharge rate applied, it is found that cumulative leachate and LFG productions will be 15.1 million 세제곱미터, 5.58 billion 세제곱미터, respectively after 40 years.

  • PD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lordorous S and Major Gaseous Components as LFG (매립장 배출공의 악취성 황화합물과 주요 배출성분의 조성에 대한 연구)

  • 김기현;최여진;오상인;전의찬;사재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27-329
    • /
    • 2003
  • 인구의 증가와 그에 따른 문명화/도심화는 필연적으로 쓰레기의 배출량을 증가시켰고, 이에 대한 처리는 중요한 환경문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까지 매립 또는 소각과 같은 방법은 이들 폐기물을 처리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방법과 관련된 기술은 지속적으로 기술적인 향상을 거듭해 왔다. 특히 매립의 경우, 폐기물을 매립하는데 치중하든 과거 시점의 단순한 접근과 달리, 주변 환경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친환경적 구조에 대한 배려 및 이들 시설로부터 배출되는 가연성 연료의 회수 및 활용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관심사로 다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Laboratory Experiments for sediment deposit around sandy revetment (호안주변에 유입되는 유사 거동 분석을 위한 실험연구)

  • Kim, Dong Hyun;Kim, Kyu Sun;Cho, Jae Nam;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76-376
    • /
    • 2015
  • 거주지나 공장부지와 같은 이용 가능한 토지를 만들기 위하여 해안 지역을 매립하는 토목공사가 전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매립공사에서 매립토량의 결정은 경제성 부분에서 매우 중요하나 국내는 어항 항만 설계기준(2014)에 의하여 단순히 입경별로 유실율과 유보율을 산정하여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형의 매립호안 주변의 유사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리실험은 길이 13.0 m, 폭 5.0 m, 수위 0.10 m의 직사각형 단면의 개수로에서 수행되었으며, 실험에 사용된 유사는 주문진사($d_{50}=1.0mm$)와 안트사이트($d_{50}=0.44mm$)를 사용하였다. 원형 호안은 방수처리가 되어있는 목재로 제작하였고 두 가지 유사 모두 매립지역에서 형성되는 모래의 형상은 차이를 보였고 일정량의 유사가 호안 하류측에 쌓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와 달리 호안에서 형성되는 모래의 이송된 형상을 관측하였다. 향후 모래 유입 위치를 달리하여 퇴적된 모래의 형성을 정량적으로 관측이 가능하다면 매립공사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