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질 동정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31초

천잠(Antheraea yamamai) Vitellin의 분리와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II. Vitellin의 생화학적 특성 (Studies on the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Vitellin in the Antheraea yamamai Guerin-Meneville II. Biochemical Properties of Vitellin)

  • 김철명;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2-90
    • /
    • 1989
  • 분리.정제한 전잠 vitellin의 분자량추정, 당 및 지질성분의 존재유무, 전기현미경적인 형태 및 크기, 아미노산 조성, 내열성 및 여러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1. 분리.정제된 천잠의 vitellin은 전기영동상의 이동도가 다른 large 및 small subunit로 되어 있다. 2. 천잠 vitellin의 분자량은 약 450,000d로 추정되었고, large subunit와 small subunit는 각각 174,000d와 44,000d로 추정되었다. 3. Coomassie brilliant blue, sudan black B 및 PAS 염색에 의해서 천잠의 vitellin은 glycolipoprotein으로 동정되었으며, 2개의 subunit도 당과 지질성분을 가지고 있었다. 4. 천잠 vitellin의 지질성분 중에는 가잠이나 Eri-참에 비하여 매우 다양한 종류들이 검출되며 특히 포화지방이라고 추정되는 물질도 있었다. 5. 천잠 vitellin의 단백질과 당성분은 7$0^{\circ}C$에 60분까지는 안전성을 보였으나, 같은 조건에서 지질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6. 천잠 vitellin의 아미노산 성분 중 다른 곤충에서는 함량이 적은 glycine이 현격히 많았고 기타 성분의 함량은 가잠이나 Eri-잠과 같은 경향이었다. 7. 천잠의 vitellin은 직경이 14$\pm$0.8nm의 균일한 구형이었다.

  • PDF

김치에서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Lactobacillus sakei B16의 분리 및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sakei B16 from Kimchi)

  • 안지은;김진경;이형로;엄현주;한남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21-726
    • /
    • 2012
  • 본 연구는 김치 내에서 균들의 생육을 조절하고 김치의 저장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김치로부터 항균활성이 우수한 박테리오신 생산 유산균을 동정 및 박테리오신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항균활성이 뛰어난 $Lb.$ $sakei$ B16을 선발하였고 이 균주에서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은 pH와 열에 안정하고 일반적으로 박테리오신이 그람 양성균을 저해하는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 분리한 박테리오신은 그람 음성 유해균을 저해하여 넓은 저해 범위를 갖는 장점이 있다. 반면, trypsin, proteinase K, ${\alpha}$-chymotrypsin을 처리하였을 때 항균 활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박테리오신은 다양한 환경 변화에서 안정하고 체내에 섭취되었을 때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sakacin P cluster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Lb.$ $sakei$ B16에서 박테리오신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이용하여 김치 제조 산업에서 스타터로 개발하여 김치 내에서 미생물의 생육을 조절하고 김치의 저장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암 치료 표적으로서 p53의 구조적 및 기능적 역할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Role of p53 as a Cancer Therapeutic Target)

  • 한창우;박소영;정미숙;장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8-495
    • /
    • 2018
  • p53 유전자는 스트레스, DNA 손상, 저산소증 및 종양 발생에 대한 세포 반응의 전사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에 발견된 다양한 종류의 p53의 생리 활성을 생각한다면 p53이 암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인간 암의 약 50%에는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또는 p53을 활성화시키는 기전의 결함을 통해 p53 단백질 기능의 불활성화가 나타난다. p53 기능의 이러한 장애는 p53 의존 반응으로부터 회피를 허용함으로써 종양의 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p53의 돌연변이를 대폭 감소시키거나 p53의 종양 억제 기능을 복원하기 위하여 선택적인 저분자 화합물을 동정함으로써 p53의 돌연변이를 직접 표적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들 저분자는 좋은 약물과 유사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이 중, p53의 음성조절인자 핵심인 MDM2의 발견은 p53과 MDM2 간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새로운 저분자 억제제의 설계를 제공하였다. 저분자 화합물 중 일부는 개념 증명 연구에서 임상 시험으로 옮겨졌으며 향후 맞춤형 항암제가 추가될 전망이다. 본 리뷰에서는 야생형 p53과 돌연변이 p53의 구조적 및 기능적 중요성과 p53을 직접 표적하는 치료제 개발, p53과 MDM2 간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화합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면역증강물질 강화 청국장 발효 (The Bacterial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Enriched Chungkookjang Fermentation)

  • 홍성욱;김주영;이봉기;정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48-553
    • /
    • 2006
  • 전통된장에서 B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면역증강 물질을 생산하는 B. licheniformis E1을 분리한 바 있다(22). 이를 이용하여 면역증강 청국장을 제조하였으나 관능적인 측면에서 기호도가 좋지 않았고 아미노태 질소함량이 식품공전의 규격(280 mg%)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판 청국장으로부터 발효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과 청국장 발효제조시 기호도에서도 가장 우수한 청국장 발효미생물이 선발되었고 동정한 결과 B. subtilis S2로 명명하였다. 청국장 발효에 있어서 최적 발효온도와 최적 발효시간을 조사한 결과 $40^{\circ}C$에서 48시간 동안 발효하였을 때의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단일균주 B. licheniformis E1, B. subtilis S2 및 B. licheniformis E1과 B. subtilis S2의 혼합균주를 각각 접종하여 발효제조한 청국장과 시판 청국장을 대조구로 사용하여 청국장의 기호도, 이화학적 특성조사와 면역증강 활성 비교를 조사하였는데, B. licheniformis E1과 B. subtilis S2의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에서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아미노태 질소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359 mg%와 45.6%로 식품공전의 규격에 적합하였다. 청국장으로부터 면역증강 물질을 분리하여 마우스 비장 림프구의 증식 및 억제 현상을 측정한 결과, 20,480 unit으로 림프구의 증식에 있어서도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單)클론성 항체(抗體)를 이용한 소전염성비기관염(傳染性鼻氣管炎)바이러스 진단법(診斷法) 개발 I. 소전염성비기관염(傳染性鼻氣管炎)바이러스에 대한 단(單)클론성 항체(抗體) 생산(生産) (Application of Monoclonal Antibody to Develop Diagnostic Techniques for Infectious Bovine Rhinotracheitis Virus I.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Infectious Bovine Rhinotracheitis Virus)

  • 전무형;김덕환;이헌준;안수환;권창희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401-408
    • /
    • 1987
  • 세포융합기술(細胞融合技術)을 이용하여 소전염성비기관염(傳染性鼻氣管炎)바이러스(IBRV) 항원(抗原)에 대응(對應)하는 9주(株) 단(單)클론성항체(性抗體)를 생산하였으며, 이들 항체(抗體)의 특성(特性)을 형광항체법(螢光抗體法), 혈청중화시험(血淸中和試驗) 및 전기영동분석법(電氣泳動分析法)으로 시험(試驗)하였다. 생산된 2종(種)의 단(單)클론성 항체(抗體)중 8종(種)은 IBRV이외의 Pseudorabies virus, Infectious laryngotracheitis virus, Marek's disease virus, Japanese B encephalitis virus, Porcine parvovirus,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Hogcholera virus와 교차반응(交叉反應)이 없는 특이항체(特異抗體)였으나 1종(種)은 Pseudorabies virus와 교차(交叉)하는 항체(抗體)였다. 이들 단(單)클론성 항체중 중화능력(中和能力)이 있는 2주(株)는 IBRV 항원단백(抗原蛋白)중 분자량 72K 또는 125K 달톤의 항원(抗原)에 대응하는 항체(抗體)였으며, 94K 달톤의 항원(抗原)에 대응하는 단(單)클론성 항체(抗體)는 중화력(中和力)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1종의 교차반응성(交叉反應性) 항체(抗體)는 분자량 100K 달톤의 IBRV 항원(抗原)과 40K의 Pseudorabies virus 항원(抗原)에 대응하는 항체(抗體)로 밝혀졌다. 생산된 항체(抗體)중 중화력(中和力)이 있고 IBRV 항원(抗原)의 72K 달톤 단백질(蛋白質)에 대응하는 7-C-2 항체(抗體)를 이용하여 야외분리주(野外分離株) IBRV의 항원(抗原) 동정(同定)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등수국 잎 추출물 유래 항염 및 항균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e Ingredients Derived from the Extract of the Leaves of Hydrangea Petiolaris)

  • 조성미;김정은;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07-2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등수국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항염 활성 실험 결과, n-hexane (Hex) 및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이 세포 독성 없이 nitric oxide (NO)의 생성 및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인 항염 기전 연구 결과, n-Hex 및 EtOAc 분획물이 전염증성 cytokine (TNF-α, IL-1β, IL-6)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피포도상구균과 여드름균을 이용한 활성 실험 결과, 추출물 및 n-Hex, EtOAc, n-butanol (BuOH) 분획물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n-Hex 및 EtOAc 분획물의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phytol (1), corosolic acid (2), asiatic acid (3) 및 1-O-p-coumaroyl-β-D-glucopyranoside (4). 이들 화합물은 모두 등수국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물질이다. 또한 HPLC 분석을 통해 등수국 잎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phytol (1) 이 27.8 mg/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등수국 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클로렐라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Chlorella powder)

  • 정창호;조현제;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65-471
    • /
    • 2006
  • 클로렐라를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분말의 화학성분 분석 및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클로렐라의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이 61.45%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조섬유, 가용성 무질소물 및 회분순으로 나타났다.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된 무기성분은 P, K Ca 및 Na로 나타났으며, 그 중 P이 1,478.94 mg%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났다.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클로렐라에는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maltose 등 총 4종류의 유리당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maltose가 0.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은 37,425.11 mg%로 나타났고, 그 중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methionine 및 histidine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나타났으며, glutamic acid가 4,009.20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불포화지방산이 전체지방산의 68.87%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linoleic acid가 3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클로렐라를 첨가하여 제조한 반죽을 발효시간 경과에 따른 부피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죽의 부피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구와 비교하여 클로렐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crust와 crumb의 색도는 클로렐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밝기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crust와 crumb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의 경우 crust는 감소하였고, crumb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조직감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클로렐라 분말을 0.2% 첨가한 시료에서 가장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소아장염을 유발하는 한국형 아데노바이러스들의 지놈형별 (Genome Type Analysis of Human Adenoviruses Associated with Pediatric Gastroenteritis in Korea)

  • 김희진;양재명;김경희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30
    • /
    • 1996
  • 대략 36,000 base pairs (bp)의 두 가닥짜리 DNA를 지놈으로 가진 사람 아데노바이러스 (Ad)는 DNA 상동성(相同性) 및 생물학적/생화학적 성격이 특이한 49개의 혈청형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대부분의 Ad가 영유아군 및 면역능이 저하된 성인에서 치사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Ad의 세포향성(向性)(tropism)은 매우 다양하여 종류에 따라 상기도 감염, 각결막염, 영유아 장염등을 유발하는데 최근 Ad의 다양한 병원성에 대한 원인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규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에 따라 주되게 출현하는 Ad형 규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Ad 동정/확인은 표면을 이루고 있는 group 공통항원인 hexon 단백질을 탐지하는 효소면역 측정법 (EIA)에 의하며, Ad형별은 Ad fiber의 세포독성 중화시험에의 한다. 그러나, 세포독성 중화시험이 엄청난 노동력 및 시간을 요구하면서도 민감도/특이도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검체 또는 세포배양에서 Ad DNA를 추출하여 제한효소 절단형태를 비교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세포배양에 잘 자라지 않는 바이러스주의 형별뿐만 아니라 지역 분리주들의 지놈 변형주를 관찰하는 분자생물학적/분자역학적 연구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국내에는 Ad와 관련된 소아장염의 빈도가 rotavirus에 의한 것 다음으로 빈번한데도 Ad40/41외에 주되게 출현하는 장내 Ad형들이 전혀 규명된 바 없고, 한국형 Ad들의 지놈형태가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또한 세계적으로 Ad형별 조사지역이 늘어감에 따라 유아장염과 연관된 Ad 역시 Ad40, 41이 외의 형들이 Ad40, 41을 능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지역도 있으나 국내에서는 Ad40, 41이외의 형들은 그 역학적 중요도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이로서 본 연구의 목적은 Ad주들에 특이 중화항체를 이용한 세포독성 중화시험과 Ad DNA 절단법을 적용하여 한국형 장내 Ad주들의 형별을 처음으로 시도함과 동시에 1989-1991사이 출현한 Ad들의 유전적 변형을 관찰하려는 것이었다. 두 방법 모두 사용하였을 때 주되게 출현하는 장내 Ad형들은 Ad4l, Ad2, Ad7, Ad5, 및 Ad40이었다. Ad40/41-양성 검체를 제외한 Ad hexon-EIA양성들의 77.5%를 형별 할 수 있었던 Ad DNA의 제한효소 절단방법은 형들간의 교차중화로 특이성이 낮았던 중화방법 (47.5%)보다 매우 효율적이어서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적응하였을 때는 40주중의 81.5%인 35주를 형별 할 수 있었다. 또한Ad DNA 제한 효소 절단방법은 Ad7 변이주 (Ad7b)도 탐지 할 수 있었다.

  • PDF

식물근부균 Fusarium solani에 대한 Pseudomonas stutzeri YPL-1의 생물학적 방제기작 (Antifungal Mechanism of Pseudomonas stutzeri YPL-l for Biocontrol of Fusarium solani causing Plant Root Rot)

  • 임호성;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88
    • /
    • 1990
  • 근채류식물의 근부원인이 되는 토양유래의 식물병원 성진균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를 위하여 저병해인삼경작 지토양으로부터 식물근부균 Fusarium solani의 생육을 강력히 길항하는 억제세균 YPL-1을 분리, 선발하였으며 이들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tutzeri이거나 그 근연종으로 확인하였다. 선발된 P.stutzeri YPL-1에 의해 생산된 근부균생육억제물질은 열에 민감하고 고분자의 단백질물질로서 chitinase 및 laminarinase 등 F.solani의 외막가수분해효소인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chitinase 생산능과 근부균생육억제능은 정관계로 비례한다는 것도 알았다. 이는 NTG를 이용하여 얻은 chitinase 및 laminarinase 생산불능변이주 P.stutzeri YPL-M122(chi-, lam-), P.stutzeri YPL-M153(chi-)에 의해서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P.stutzeri YPL-1은 siderophore를 전혀 생산하지는 못하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보아 선발된 억제균 P.stutzeri YPL-1 균주에 의한 식물근부균 F.solani의 생육억제기작은 저분자물질인 항생물질이나 siderophore가 아닌 chitinase를 주로 하는 외막가수분해효소에 의한 근부균 F.solani의 세포벽분해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백운산(白雲山) 서식(棲息) 지의류(地衣類)를 이용(利用)한 오존 민감성(敏感性) 지표종(地表種) 선발(選拔) (Investigation of Lichen Species as a Biomonitor of Atmospheric Ozone in 'Backwoon' Mountain, Korea)

  • 허재선;김판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65-76
    • /
    • 2000
  • 대기오염 지표생물로 이용 가능한 국내 분포 지의류(地衣類)를 선발하기 위하여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에 분포하는 엽상체(foliose) 및 수지상(fructicose) 지의류(地衣類)의 종(種)과 피도(被度)를 조사하고, 오존에 대한 생체반응을 조사하였다. 백운산에 서식하고 있는 지의류(地衣類)는 총 9과 20종 34속의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로 대기오염에 내성인 종(Lecanora sp.)부터 예민한 종(Ramalina sp.)까지 매우 다양한 지의류(地衣類)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주요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는 Leptogium sp., Parmelia sp., Parmotrema sp., Phaeophyscia sp., Cladonia sp. 등이었다. 백운산 분포 지의류(地衣類) 중에서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면서 동정이 용이한 엽상체 지의류(地衣類) 3종(種)(P. tinctorum, P. austrosinense, Certrelia braunsiana)과 수지상 지의류(地衣類) 1종(種)(Ramaliana yasudae)을 0.2ppm에서 1일(日) 8시간씩 2주간 오존에 노출시킨 결과 오존에 노출된 지의류(地衣類)는 MDA와 HPCD가 증가하고 엽록소가 감소되었으나,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MDA, HPCD, 엽록소 파괴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오존에 대한 민감 정도는 P. austrosinense > P. ticctorum > C. braunsiana > R. yasudae 순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