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미

검색결과 994건 처리시간 0.024초

단미 한약과 합성 혈압약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antihypertensive drugs)

  • 오유나;이홍범;김형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18
    • /
    • 2018
  • Objective : Many patients take antihypertensive drugs as well as herbal medicine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treat other symptoms or to keep their well-being. In this study, interactions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antihypertensive drugs were analyzed. Methods :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antihypertensive drugs, three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OASIS, Mediline and Sciencedirect were searched.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antihypertensive drugs were independently reviewed and included. Results : Analyzing selected studies, twenty herbs were found to interact with antihypertensive drugs. Herbs found to increase the antihypertensive effect were Panax ginseng, Carthamus tinctorius, Magnolia officinalis, Silybum marianum, Scutellaria baicalensis, Schisandra chinensis, Sophora flavescens, Piper nigrum, Curcuma longa, Ginkgo biloba, Juncus effuses and Hydrastis canadensis. In contrast, Commiphora myrrha, Rhodiola rosea, Hypericum perforatum, Eurycoma longifolia, and Daturae metel were found to inhibit the antihypertensive effect. Stephania tetrandra could increase or decrease the effect depending on the type of antihypertensive drug. Epedria sínica was suspected of pharmacodynamic interaction with antihypertensive drug. Glycyrrhiza uralensis has been reported to have serious side effects in combination with antihypertensive drugs. Conclusion : These results imply that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antihypertensive drugs, proper doses and herbs which are to avoid need to be informed to the patients. Despite concerns about interactions between herbal medicines and synthetic drugs, related research is very limited. More systematic researches are needed to give information on patient safety as well as to guide clinical practice.

Beevenom 처리가 돼지의 체내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atural Honeybee (Apis mellifera ligustica) Venom Treatment on the Humoral Immune Response in Pigs)

  • 조성구;김경수;이석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933-942
    • /
    • 2006
  • 본 실험은 생봉독 처리가 돼지의 체액성 면역반응에 대한 생봉독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혈중 Immunoglobulin(Ig) G, IgA, IgM의 농도에 미치는 생봉독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모돈 3두에서 생산한 자돈 20두(LY ×D)를 생봉독 처리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10두씩 배치하였다. 생봉독 처리군은 출생시와 3일령에 교소혈 (GV-1), 해문혈(ST-25) 및 두구혈(CV-8), 6일령에 거세, 단미 창상부위에 생봉 1마리씩 직침 시술하였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 1ml를 동일한 혈위에 주입하였다. 혈중 Ig 농도 측정을 위하여 출생시와 3일, 7일, 14일 및 21일령에 채혈하여 Immunoturbidimetric method로 IgG, IgM, IgA를 측정하였다. 지표항원으로 사용한 돈 콜레라와 위축성비염 백신에 대한 생봉독의 항체 생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모돈 5두에서 생산된 자돈 40두(LY×D)를 생봉독 처리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0두씩 공시하였다. 생봉독 처리군은 출생시에 교소혈(Jiao-Chao, GV-1), 해문혈(Hai-Men, ST-25) 및 두구혈(Du-Kou, CV-8)에, 3일령에 단미 및 거세시술 시 창상부위에 생봉독을 처리하였고, 21일령 이유시에는 교소혈(GV-1)과 백회혈(Bai- Hui, GV-20)에 생봉독을 처리하였다. 지표항원으로 위축성비염 백신은 24일령과 44일령에 접종하였고 돈콜레라 백신은 44일령과 64일령에 각각 접종하였다. 항체가 분석용 혈액은 24, 34, 44, 54 및 74일령에 채혈하여 위축성비염은 시험관응집반응, 돈콜레라는 ELISA법에 의하여 항체가를 조사하였다. IgG 농도는 처리군에서 출생시 339.52, 3일령에 366.48, 7일령에 296.52, 14일령에 242.06, 21일령에는 219.06mg/dl이었고 대조군은 각각 347.10, 333.14, 243.28, 205.18 및 191.58mg/dl 이었다. 처리전(출생시)에는 처리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처리군의 IgG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3일령 10.3% (P<0.02), 7일령에는 21.9% (P<0.01), 14일령에는 18.0% (P<0.07), 21일령에는 14.3(P<0.07) 더 높게 나타났다. IgA와 IgM의 농도는 전체기간동안 처리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돈콜레라 virus에 대한 항체역가는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24일령 때 57.0%(P<0.03), 34일령 때 74.6% (P<0.006), 44일령에 48.6% (P<0.017), 54일령 때 45.0% (P<0.16), 74일령 때 44.4%(P<0.006)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축성비염 원인균인 Bordetella bronchiceptica에 대한 항체역가는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34일령 때는 39.7%(P<0.002), 44일령 때 31.9% (P<0.02), 54일령 때에 33.4%(P<0.01), 74일령 때에는 57.3%(P<0.007)가 높게 나타나 접종일인 24일령을 제외하고 전체기간에 걸쳐 높은 항체수준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돼지에 대한 생봉독 처리는 면역기능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돼지에 대한 생봉독의 처리는 양돈 생산성면에서 생봉독 처리는 돼지의 생존율을 높이고, 증체량이 높았다는 조 등(2005)의 보고를 뒷받침하고 있어 양돈 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5종 단미제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in vitro 항균력 평가 (A Study on Antibacterial Effects of Five Single Herbs Aqueous Extract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박은영;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40
    • /
    • 2013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s of five single(Pulsatillae Radix, Patrinae Radix, Sanguisorbae Radix, Sophorae Flos, and Sophorae Radix) aqueous herbal extracts, t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various gynecological diseases including mastitis in Korea,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Methods: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of aqueous extracts of Pulsatillae Radix, PatrinaeRadix, Sanguisorbae Radix, Sophorae Flos, and Sophorae Radix were detected using standard agar microdilution methods. In addition, the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curve were also monitored at Minimal Incubation Concentration(MIC) and $MIC{\times}2$ levels. The effects on the intracellular killing and bacterial invasion of individual test materials were also observed using murine macrophage(Raw 264.7) and human mammary gland carcinoma cell(MCF-7). Results: MIC of aqueous extracts of Pulsatillae Radix, Patrinae Radix, Sanguisorbae Radix, Sophorae Flos, and Sophorae Radix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as $0.215{\pm}0.107$ mg/ml, $0.273{\pm}0.107$ mg/ml, $0.469{\pm}0.297$ mg/ml, $11.850{\pm}8.406$ mg/ml, and $0.664{\pm}0.546$ mg/ml, respectively. MIC of Ciprofloxacin was detected as $0.469{\pm}0.297{\mu}g/ml$ at same conditions. In addition, all five single aqueous herbal extracts were also showed marked dosage-dependent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The effects of intracellular killing with Raw 264.7 and inhibition of bacterial invasion with MCF-7 cells were detected, in the order of Sophorae Flos, Pulsatillae Radix, Patrinae Radix, Sanguisorbae Radix and Sophorae Radix aqueous extracts in the present study. Conclusion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all five single aqueous herbal extracts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they also showed dosage-depend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They showed the significant intracellular killing and inhibition of bacterial invasion effects. It means, all five single aqueous herbal extracts may show potent anti-infectious effect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for mastitis.

국산 콩 장려품종의 Minerals, Oxalate 및 Phytate 함량 (Minerals, Oxalate and Phytate Contents of 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 김기찬;황인국;윤건묵;송항림;김홍식;장금일;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70-878
    • /
    • 2009
  • 본 연구는 국산 113종 콩 장려품종의 total oxalate(Ox), phytate($InsP_6$)와 calcium(Ca), magnesium(Mg), sodium (Na), zinc(Zn), potassium(K)을 분석하여 옥살산칼슘 결정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품종의 선발 및 안전한 콩 가공식품 제조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13종의 콩 장려품종에서 Ca과 Mg 함량 분포는 각각 $0.586{\sim}3.177$$0.559{\sim}3.085\;mg/g$이었으며, Ca는 다올콩은 3.177 mg/g으로 가장 높았고, Mg는 선흑콩은 3.085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Ca과 Mg 사이에서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Ox와 InsP6 함량 분포는 각각 1.24(선흑콩)$\sim$3.81(다원콩)과 0.43(만리콩)$\sim$4.72(다기콩) mg/g 범위이었고, 옥살산칼슘 결정의 저해물질인 $InsP_6$의 함량이 Ox의 함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 분포로 존재하였다. 또한 Ca, Mg, Ox 및 $InsP_6$ 함량 사이의 교차상관관계분석을 통해 Ca과 $InsP_6$ 함량이 Ox 함량보다 높은 선흑콩과 단미2가 옥살산칼슘 생성의 잠재적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사료 중 Nivalenol, Deoxynivalenol, T-2 foxin과 Zearalenone의 동시분석과 오염도조사 (Simultaneous Analysis and Survey for Contamination of Nivalenol, Deoxynivalenol, T-2 toxin and Zearalenone in Feed)

  • 김동호;김현정;장한섭;김영민;최흥보;안종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1
    • /
    • 2011
  • 국내 유통사료 239점에 대하여 푸사리움 속 곰팡이독소 4종(NIV, DON, T-2, ZEN)에 대하여 오염도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곰팡이독소 정제에 많이 사용되는 면역친화 컬럼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SPE컬럼을 이용하였으며, HPLC/MS/MS로 동시 분석하였다. 각각의 성분 별로 77.42~111.20%의 회수율과 $0.3{\sim}2.0\;{\mu}g/l$의 양호한 정성한계(LOD)를 보였다. 분석 결과 사료 중에 조사대상 곰팡이독소가 광범위하게 오염되어 있었으며, 특히 DON과 ZEN은 모든 배합에서 확인되었다. 소 사료의 경우 DON과 ZEN은 평균 $812.1\;{\mu}g/kg$$147.2\;{\mu}g/kg$의 오염도를 보여 닭 사료나 돼지 사료보다 약 4배정도 높은 오염도를 보였으며, 그 원료로 사용된 단미 사료를 조사해본 결과 수입 단백피가 주요 오염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위령탕 혼합단미연조엑스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iryeong-tang Mix Soft Extract)

  • 김명진;김세진;남원희;임현희;전영희;손수미;김정옥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9-349
    • /
    • 2020
  • Objectives : Wiryeong-tang (WRT)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used to treat kidney-related diseases. However,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gastritis effect of Wiryeong-tang was not well known. Therefore, we experimented to confirmed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gastritis effects of Wiryeong-tang. Methods : The RAW 264.7 cells were pre treated with Wiryeong-tang mix soft extract (WRT-mse; 50, 100 and 200 ㎍/mL) for 1 hrs, and then incub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500 ng/mL).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the MTT method, and nitric oxide (NO) was measured with griess reagent. In addit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For anti-gastritis effect in vivo, acute gastritis was induced using 150 mM HCl/60% ethanol used ICR mice. WRT-mse (133 mg/kg) was pre treated for 3 days and then treated with 150 mM HCl/60% ethanol 1 hrs later. Then gastritis was observed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gastric tissue was measured. Results : The 8 marker components of the WRT-mse were determined by simultaneous analysis using HPLC. WRT-mse was not toxic and inhibite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β, IL-6 and TNF-α at NO production, protein and mRNA levels. Also, it was confirmed that WRT-mse improved bleeding and edema in gastritis, and suppresses inflammatory cytokines. Conclusion : In summar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of the WRT-mse reduced and improved the 150 mM HCl/60% ethanol induced acute gastritis and the inflammation caused by LPS stimulation in RAW 264.7 cells. Therefore,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drug or clinical evidence for WRT-mse to prevent inflammation.

초경석고와 메타카올린 혼합재료의 물성실험 및 적용 (Physical Properties Testing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Restoration Materials Made with Extra Hard Stone and Metakaolin)

  • 김현숙;이해순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7권
    • /
    • pp.101-116
    • /
    • 2016
  • 기존의 석고복원재로 복원한 문화재는 대기 중의 수분을 반복하여 흡·방출하면서 물성이 약화되어 형태가 변형되고 채색층 박락이 진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석고보다 더 강한 초경석고를 실험대상으로 두었으며 메타카올린(Metakaolin)을 혼합하여 도자기 복원재료로 적합하도록 물성을 개선하였다. 초경석고와 메타카올린 혼합재료의 압축강도(119MPa)는 일반석고(26MPa)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마모율(0.88%)은 일반석고의 마모율 2.53% 보다 낮게, 흡수율(2.9%)은 일반석고(17.2%) 보다 약 5배 낮게 측정되었다. 특히,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 혼합재료의 경화치밀도가 단미의 초경석고보다 높았다. 즉, 메타카올린을 첨가함으로써 초경석고의 강도와 수분저항성을 높이고 표면을 치밀하게 하여 도자기 복원재료로서 적합하게 물성을 개선시켰다. 그리고 이 혼합재료를 실재 문화재인 토제수반(신안18892), 분청사기조화문병(접수2034), 분청사기 국문내인화문대접(접수1730)의 결손부 복원에 적용해봄으로써, 혼합재료가 주입 및 적층성형에 유리하고 경화표면이 균질하여 자연스러운 채색이 가능한 재료임을 확인하였다.

한약 단미제 분획의 Influenza virus type A 활성에 관한연구 (Study on the Influenza Type A Activity of Fractions of Korean Medicinal Herbs)

  • 정재득;박인호;이광희;김호경;고병섭;박갑주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67-83
    • /
    • 1997
  • In order to search for anti-influenza virus type A agents from Korean medicinal herbs, we selected 100 medicinal herbs, based on a review of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books. Four of 100 Korean medicinal herbs, MM-40, MM-55, MM-63, MM-110, exhibited very strong anti-influenza virus activity. The fractions of four medicinal herbs, which had very strong anti-influenza virus activity, were tested for antiviral activity by means of Haemagglutination inhibition test(HTT), 40% MeOH fraction of MM-40, $H_2O$ fraction of MM-55, 20% fraction of MM-63 3nd $H_2O$ fraction of MM-110 had strong anti-influenza virus activity at the range of $78{\mu}g/ml$ to $156{\mu}g/ml$, 1.56mg/ml to 100mg/ml, 6.25mg/ml to 50mg/ml and $48.7{\mu}g/ml$ to $780{\mu}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of HIT indicated that fractions of Korean medicinal herbs might inhibit either attachment of virus to cell surface receptor or penetration of virus into cell during the initial stage of infection. In the cytotoxicity of fractions against red blood cells, 40% MeOH fraction of MM-40, 20% fraction of MM-63 and $H_2O$ fraction of MM-110 showed cytotoxicity at the range of $78{\mu}g/ml$ to 10mg/ml, 50mg/ml to 100mg/ml and $195{\mu}g/ml$ to 100mg/ml, respectively, whereas $H_2O$ fraction of MM-55 did not show cytotoxicity. In order to establish influenza virus adapted animal model, influenza virus type A were passaged 3 and 4 times successively in Balb/c mouse. As a result, we had 4 HA unit titers on the 5 days of 3rd passages and 7 days of 4th passages after infection, respectively.

  • PDF

양돈용 발효사료의 발효조건 설정 연구 (Establishment of Producing Conditions of Fermentation Feed for Swine)

  • 조성백;김동운;양승학;박규현;최동윤;유용희;황옥화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7-144
    • /
    • 2012
  • 본 연구는 유산균과 효모로 구성된 혼합 생균제를 양돈 사료에 첨가하여 양돈용 발효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발효조건 구명 및 발효사료 급여에 의한 돼지 장내 환경변화를 평가하고, 원료사료별 발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양돈 발효사료의 유산균과 효모 수를 측정하였을 때 사료 내 혼합 생균제 첨가수준은 0.25%, 수분 함량은 40~50% 정도가 적정하였다. 2. 비육돈에 발효사료를 급여하였을 때가 발효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보다 소화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분 중 휘발성지방산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양돈용 단미사료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지방산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비트펄프와 타피오카가 우수한 발효기질로 확인되었다.

양계사료의 True Metabolizable Energy측정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시험 V. 기초사료의 에너지수준이 옥수수와 대두박의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및 True Metabolizable Energy가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Determination of Poultry Feedingstuffs V. The Effect of Levels of Metabolizable Energy of Basal Diets on the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nd True Metabolizable Energy Values of Corn and Soybean Meal)

  • 이영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9-114
    • /
    • 1984
  • 본 시험은 기초사료의 에너지수준을 2,400Kcal/kg에서 3,000Kcal/kg까지 달리하고 옥수수와 대두박의 apparent metabolism energy (AME), true metabolism energy (TME)가에 미치는 영창을 검토하고자 실시한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옥수수의 AME 측정치는 2,400Kcal/13%를 계외하곤 각 처리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P>0.05) 대두박은 2,800Kcal/13%와 2,800Kcal/15%, 3,000Kcal/16% 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나, (P<0.05) 2,600 Kcal/14% 처리와는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P>0.05) 2. 기초사료의 에너지수준은 2,400kcal/13%를 제외하곤 옥수수 대두박의 AME가에 영향하지 않아 시험사료에 따라 기초사료의 에너지수준을 달리할 필요가 없다. 3. 옥수수 보다 대두박의 표준오차 값이 큰 것은 대치율이 옥수수보다 낮은데서 기인하였다. 4. 옥수수의 TME치는 AME치와 그 경향이 같았으나 대두박의 TME치는 전처리간 없었다. (P>0.05) 5. 옥수수와 대두박의 AME치와 옥수수의 TME치가 2,400Kcal/13% 처리에서 현저히 감소한 것은 사료내 단미사료간 상호작용에 기인한다고 할 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