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면 항력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omparison of Various Discharge Estimation Methods in Straight Compound Channels (복단면 직선수로의 유량예측방법 비교 연구)

  • Kim, Ji-Sung;Kim, Keuk-Soo;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8-238
    • /
    • 2011
  • 복단면 하도는 홍수소통을 위한 상부 하도와 생태계 서식처 강화와 유사이송능력 개선, 경제적인 유지유량의 확보 등을 도모하는 자연적인 저수로 하도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갈수기와 홍수기의 유량차가 큰 하천에서, 복단면 하도는 하천 공학, 환경 생태 관점에서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복단면 하도에서의 흐름저항, 조도계수, 통수능, 수위-유량관계, 횡방향 유속분포, 그리고 하상전단응력 분포는 단단면 하도와 상이하며, 중요한 차이점은 주수로부와 홍수터부 사이의 유속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활발한 운동량 교환에 의해 추가적인 전단층이 생성되는 점이다. 주수로와 홍수터 사이에서 발생된 경계전단력(Apparent Shear Force, ASF)은 하천의 전반적인 통수능을 감소시켜 홍수의 하도내 저류효과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주수로 및 홍수터가 분담할 수 있는 유량은 경계전단력에 민감하기 때문에, 홍수터에 수목 식재, 구조물 설치 등을 계획할 경우 정량적인 항력저항의 산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복단면에서 발생하는 경계전단응력을 추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며, 각각의 방법으로 부터 경계전단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법이 실험에 근거한 경험적 방법이므로 각 식의 개발에 사용된 자료에만 적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며, 균일한 수로의 기하학적 변수(전단면과 주수로의 하폭비, 홍수터와 주수로의 수심비, 홍수터와 주수로의 조도비, 주수로의 하폭대 수심비 등)에 의한 식으로 구성되어 수치모형에서 직접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단면 경계전단력 산정을 위하여 개발된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비교 검토하고, 기존문헌 또는 웹상에서 가용한 수리실험 자료들을 이용하여 각 방법에서 계산된 유량과 실측 유량을 비교함으로써 각 방법이 지닌 한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5가지 방법은 Knight and Demetriou (1983)(이하 KD), Wormleaton and Merret (1990)(이하 WM), Cristodoulou (1992), Bousmar and Zech(1999) (이하 BZ) 그리고 Moreta and Martin-Vide (2010)(이하 MM)이다. BZ 방법을 제외하고 나머지 방법들은 전체 유량의 비교에서 5% 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나머지 4가지 방법 중 주수로부 유속의 비교에 있어서는 소규모 수로 실험자료만 이용한 KD 방법이 5% 이상의 오차를 나타내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Cristodoulou (1992) 방법이 적용하고자 하는 수로의 규모와 무관하게 복단면 유량예측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모서리 절단 효과로 인한 사각주상체의 공기력 특성변화 전산해석

  • Hwang, Gyu-Gwa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553-558
    • /
    • 2015
  • 교량의 주탑, 초고층빌딩과 같이 세장비가 큰 대형구조물의 경우 풍하중에 취약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바람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발산 진동하는 갤로핑(gallop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구조물의 진동을 억제하려는 방안으로 단면 형상에 변화를 주어 공기역학적 불안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dison_CFD를 이용하여 모서리 절단부의 비율과 받음각에 따른 공기력 특성에 대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자기부상열차의 공력 특성에 관한 수치 연구

  • Won, Seong-Sik;U, Dae-Cheo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11a
    • /
    • pp.55-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초고속 자기부상열차의 단면도를 통하여 2-D형상을 모델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력과 유동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동의 마하수가 0.3 이상임을 고려하여 압축성 모델이 사용되었고, 난류모델은 Menter's k-w SST(Shear Stress Transport)모델을 적용시켰다. 2-D 해석과 자기부상열차의 특성상 열차가 공기중에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공력 특성을 해석하였다.

  • PDF

SUPERSONIC WING-NACELLE CONFIGURATION DESIGN USING AN UNSTRUCTURED ADJOINT METHOD (비구조화 Adjoint법을 이용한 초음속 날개-나셀의 공력설계)

  • Kim Hyoung-Jin;Obayashi Shigeru;Nakahashi Kazuhiro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 /
    • v.5 no.3
    • /
    • pp.32-39
    • /
    • 2000
  • 3차원 Euler 방정식과 adjoint법을 이용한 공력설계코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초음속수송기의 주날개 설계에 적용하였다. 표면형상의 변화를 위해 Hicks-Henne함수를 사용하였으며, 내부격자점의 수정을 위해 타원형방정식법을 이용하였다. 나셀의 수직이동과 관련되지 않은 설계변수에 대해서는 내부격자점의 이동을 무시함으로써 계산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었다. 양력과 날개단면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항력을 최소화하도록 단면형상을 최적화하였으며, 성공적인 결과를 얻음으로써 본 설계시스템의 타당성 및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 PDF

The EDISON-CFD Analysis for propeller blade section of Human Powered Aircraft (인간동력비행기 Propeller의 날개 단면 선정을 위한 EDISON-CFD 분석)

  • U, Hui-Chan;Mun, Sang-Il;Lee, Chung-Ryeol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21-24
    • /
    • 2012
  • 본 논문은 HPA(Human Powered Aircraft) 제작 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해 프로펠러에 사용하는 에어포일을 작년에 접하게 된 EDISON-CFD 분석을 이용하여 기존에 X-foil로 얻어진 날개 익형에 대한 양력계수와 항력계수, 양항비와 비교하였다. 프로펠러 허브로부터 거리에 따른 단면에 해당하는 레이놀즈 수, 마하수, 받음각, 시위길이를 고려하여 에어포일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를 통해 프로펠러 에어포일을 선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EDISON-CFD 분석에 대해 좀 더 공부하는 계기가 되어 우리 팀이 앞으로 졸업논문을 쓰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Numerical Analysis for Suppressing Unsteady Wake Flow on Wind Turbine Tower (풍력발전기 타워의 후류 불안정성 억제를 위한 수치연구)

  • Kim, Su-Yong;Jin, Do-Hyeon;Kim, Jong-A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33-36
    • /
    • 2012
  • 풍력발전기 성능은 유동의 안정성과 풍속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때 유동 불안정성은 풍력발전기의 성능뿐만 아니라 구조적 문제를 함께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기 타워 후류에서의 불안정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타워 단면의 기초 형상설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풍력발전기 타워 형상에 부가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Karman vortex의 생성을 지연시키고 와류 간섭현상을 줄여 풍력발전기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타워 단면 형상에 대하여 양력계수 및 항력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지름의 1/2 길이의 자유류 방향 tip과 splitter plate를 후방에 설치하는 것이 후류 불안정성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and Flutter Derivatives of Bridge Girder Sections (교량단면의 공기력계수 및 플러터계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 Jae-Young;Lee, Hak-Eun;Kim, Young-M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A
    • /
    • pp.887-899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fundamental data on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bridge girder cross-sections, such as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and flutter derivatives, and their aerodynamic behaviour. The section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seven deck configurations were studied, namely; Six 2-edge girders and one box girder. In this stage, changes in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due to geometrical shape of girders, incidence angle of flow, wind directions and turbulence intensities were studied by static section model tests. In the second stage, the dynamic section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vity of static coefficients to dynamic responses. And finally, the two-dimensional (lift-torsion) aerodynamic derivatives of three bridge deck configurations were investigated by dynamic section model tests. The aerodynamic derivatives can be best described as a representation of the aerodynamic damping and the aerodynamic stiffness provided by the wind for a given deck geometry. The method employed here to extract these unsteady aerodynamic properties is known as the initial displacement technique. It involves the measurement of the decay in amplitude with time of an initial displacement of the deck in heave and torsion, for various wind speeds, in smooth flow. It is suggested that the proposed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and flutter derivatives of bridge girder sections will be potentially useful for the aeroelastic analysis and buffeting analysis.

Experimental Study on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Morphing Airfoil Configuration (모핑 에어포일 형상의 공력특성 실험연구)

  • Ko, Seung-Hee;Bae, Jae-Sung;Kim, Hark-Bong;Roh, Jin-Ho;Ahn, Seok-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0 no.10
    • /
    • pp.846-852
    • /
    • 2012
  • The present paper is the preliminary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morphing aircraft wing and investigates experimently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base airfoil and a morphing airfoil. The wind tunnel tests are conducted for a base Clark-Y airfoil, an airfoil with a mechanical flap, and a morphing airfoil. Lifts, drags, and pitching moments are measured by using a three-axis load cell and they are calibrated by considering solid blockage and wake blockage. The wind tunnel tests are conducted for various air speeds, Reynolds' numbers, and angles of attack.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orphing airfoil in lift-drag and lift-pitching moment are better than those of the airfoil with a mechanical flap.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Wing Tip Vortex Behavior of Three-Dimensional Symmetric Wing According to Heights (대칭단면을 갖는 3 차원 날개의 지면고도에 따른 공력특성과 끝단와 거동)

  • Yoo, Younghyun;Lee, Sanghwan;Lee, Ju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12
    • /
    • pp.1161-1169
    • /
    • 2012
  • A nume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a wing-tip vortex around a three-dimensional symmetric wing (NACA0015) in the vicinity of the ground.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the wing-tip vortex change as a wing approaches the ground as a result of two different phenomena: the ground effect and the Venturi effect. The ground effect increases lift and decreases drag whereas the Venturi effect generates negative lift and increases drag suddenly. A symmetric airfoil experiences both phenomena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angle of attack. In the case of a NACA0015 airfoil, the Venturi effect is dominant at small angles of attack but the ground effect is dominant at large angles of attack. Interestingly, both phenomena can be observed at the 4 degree of angle of attack. The vortex core moves inside a wing when the wing experiences the Venturi effect, whereas the vortex core moves outward when the wing experiences the ground effect.

Wind Tunnel Test Study on the Wings of WIG Ship (WIG선의 날개에 대한 풍동실험 고찰)

  • Kim, S.K.;Suh, S.B.;Lee, D.H.;Kim, K.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4 no.1
    • /
    • pp.60-67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3rd wind tunnel test for the wings of WIG R/C test models, 'Hanjin-1' & 'Hanjin-2'. We made 'Hanjin-1' in last May 1995 and had a success in test flight. And in order to grasp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wings in ground effect, the measurements of lift and drag were carried out for the various kinds of wing. It was shown that lift and lift-drag ratio increase with decrease of the clearance, but the feature was considerably depended on the shape of wing section. In this case we select the three kind of wing. section, and then compare their characteristics especially for a stability in longitudinal motion. They are NACA6409 for 'Hanjin-1' and the two kinds of DHMTU for ekranoplans of Russia.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itching moments of DHMTU wing sections are smaller than NACA6409.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