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면 항력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valuation of Wind Force Coefficients of a Box-Type Girder Bridge with Noise Barriers (방음벽의 유무에 따른 박스형 거더교의 풍력계수 평가)

  • Jeong, Seung Hwan;Lee, Youngk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5
    • /
    • pp.627-634
    • /
    • 2018
  • In the stud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wind force coefficients for a box-type concrete girder bridge under the influence of wind. The drag, lift and pitching moment coefficients were obtained for the bridge section without noise barrier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bridge section with noise barriers of various heights. The shear stress transport $k-{\omega}$ turbulence model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wind force coefficients, and the contribution of the friction drag force to the total drag force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from the study that the drag force coefficients increased as the height of noise barrier increased when a wind blew horizontally, and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friction drag force was highest for the bridge section without noise barrier. It is concluded that the impact of the height of noise barrie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bridges, and the friction forc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valuating wind forces on bridges.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Drag Coefficient of Porous Road Signs (유공형 도로표지의 항력계수에 대한 실험적 연구)

  • Sung, Hongki;Chong, Kyu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71-76
    • /
    • 2018
  • Recently,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road facilities to reduce the load, some of which use technologies employing perforated plates for wind load reduction. Currently, there are no regulations concerning the drag coefficient of perforated plates for domestic road facilities. In the United States,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drag coefficient of perforated plates in the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were revised based on the studies of Letchford (2001) and Giannoulis (2012). In this study, a wind tunnel 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regulations involving the perforated plates' drag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wind tunnel test and the drag coefficient used in the regul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reduction effect of the cross area of road signs calculated by applying the drag coefficient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wind tunnel test and the value of the drag coefficient used in the regulation in the US were found to be very similar.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formula involving the drag coefficient of the perforated plate to the regulation and that the cross area of the perforated plate used for the post of the road sign is reduced by about 9.45% and that of the horizontal post by about 6.45%.

Development of Two Dimensional Blade Section with High Efficiency for Marine Propeller (선박 프로펠러용 고효율 2차원 날개단면 개발)

  • Na, Yun-Cheol;Song, In-Haeng;Ahn, Jong-W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4 no.1
    • /
    • pp.11-23
    • /
    • 1997
  • This paper contains a new approach to blade section design method for marine propellers.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2-D section are highly influenced by its geometrical parameters i.e., thickness and camber distributions and leading edge radius etc. To consider fully turbulent flow field near 2-D section. the finite volume method with k-${\varepsilon}$ turbulent model which solve Reynolds time averaged Navier-Stokes(RANS) equation is applied. In this study, O-type grid system that can provide many calculation points on blade surface is us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periment of NACA0012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developed cod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a blade section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drag. To achieve this, we carried out the tests of lift, drag and cavitation characteristics in cavitation tunnel. The results of experiment were compared with numerical results in order to validate the proposed blades design method. By comparing the numerical results with the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new blade section, KH28 allows superior performance in efficiency and cavitation avoidance characteristics. We further investigated the blade section design method and an application study of this section, KH28 to apply to the marine propeller.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numerical results on prediction of lift and drag, we conclude here that the 2-layer boundary model must be used.

  • PDF

Dynamic Instability Analysis of Bridge Sections using Numerical Computation of Aerodynamic Coefficients (교량 단면의 공기 역학계수 산정에 대한 동적 불안정성 평가)

  • Won, Chang-Hui;Lee, Ju-Yong;Lee, Seung-S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631-636
    • /
    • 2014
  • 본 연구는 전산 유체 해석 프로그램인 EDISON_CFD 해석 결과 산출 된 정적공기력계수(양력계수, 항력계수)를 이용하여 교량 단면의 갤로핑(Galloping)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해상 교량은 장대 교량인데다 높은 풍속까지 견뎌 내야 하므로 내풍 안정성 검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전산 해석에 사용된 교량은 이순신 대교와 거가 대교의 표준 단면을 사용하였으며, 받음각과 풍속의 변화를 주어 높은 레이놀즈수 영역에서 공기력계수의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A Propeller Design Method with New Blade Sections (새로운 단면을 이용한 고효율 프로펠러 설계법)

  • J.T.,Lee;C.S.,Lee;M.C.,Kim;J.Y.,Ahn;H.C.,Kim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26 no.3
    • /
    • pp.29-40
    • /
    • 1989
  • A new blade section of propeller is developed to obtain higher propeller efficiency and better cavitation performance. Eleven foil sections are carefully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compare the lift-drag characteristics and cavitation performances.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section behaves better in the vicinity of the ship's wake, where the angle of attack variation is large, because of its wider width in lift-drag and cavitation-free bucket diagrams. A propeller design method using the selected foil section is presented. Three chordwise loading shapes a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lift-drag ratios on the propeller efficiencies and cavitation performances. Three propellers are designed, which correspond to the selected chordwise loading shapes. Two more propellers which use existing foil sections are designed to compare the section performance.

  • PDF

Design Wind Loads for Catwalk Structures (캣워크 구조물 설계 공기력 산정)

  • Lee, Han Kyu;Kim, Jong Hwa;Lee, Seung-Ho;Kwon, Soon-Duc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71-71
    • /
    • 2011
  • 캣워크는 현수교의 주케이블을 가설을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공중작업발판으로 주케이블 가설장비와 작업원 등의 하중을 지지한다. 캣워크는 유연한 구조물로서 풍하중에 상당한 변형이 발생한다. 하지만, 국내외를 막론하고 캣워크의 내풍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거기에 더하여 캣워크에 작용하는 정적 공기력에 대한 정보도 부족하며, 현재 캣워크 단면에 대한 적절한 풍하중을 산정하지 못하고 경험적인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캣워크의 효율적인 내풍설계를 위하여 풍동실험을 통한 충실률과 공기력계수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축척 1/4인 모형을 사용한 풍동실험을 통하여 메쉬망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충실률에 따른 공기력계수를 측정하고 설계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캣워크는 로프와 아울러 가는 철망으로 아래와 양 옆이 막혀 있다. 즉 바람을 직접 받는 부분인 철망은 가는 원형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형 단면의 경우에 레이놀즈 수에 따라 항력계수가 크게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가는 원형 단면으로 둘러싸인 캣워크의 항력계수에 레이놀즈 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캣워크의 공기력계수에 미치는 레이놀즈 수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고자 1/4모형과 1/14모형을 제작하여 최대풍속 30m/s까지 변화시켜가면서 공기력계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레이놀즈 수는 최대 20배까지 차이가 나므로 만약 공기력계수가 레이놀즈 수의 영향을 받는다면 확실히 그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풍동실험을 통해 충실률과 공기력계수와의 관계과 레이놀즈 수의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정적공기력 계수의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축척 1/14 및 1/4 모형을 사용하여 다양한 풍속에서 공기력계수를 측정한 결과, 캣워크에 작용하는 정적 공기력계수는 레이놀즈 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새로운 형식의 캣워크에 대한 풍동실험을 수행할 경우에 축척에 상관없이 풍동실험 결과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풍동실험 결과, 캣워크에 작용하는 정적 공기력계수 중 항력계수와 피칭모멘트계수는 측면 충실률에 따라 달라지고, 영각에 대한 양력계수의 기울기는 하부 충실률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케이블이 캣워크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캣워크의 정적 공기력계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를 정리하여 캣워크 충실률에 따른 정적 공기력계수의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 PDF

Variation of the Drag Force Acting on Vegetation Model Elements (식생 모형 요소를 이용한 항력 변화 검토)

  • Rhee, Dong-Sop;Lee, Du-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65-665
    • /
    • 2012
  • 식생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조도의 관점에서 식생이 흐름에 미치는 영향도 많이 달라지게 된다. 일반적인 식생 조도 실험은 초본류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초본류 식생은 매우 유연하기 때문에 단일 개채가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따라서 단일 개체에 의한 조도 특성 보다는 식생군에 의한 조도계수 변화 특성을 알아내는 것이 보통 중요해진다. 하지만 조도의 관점에서 초본류와 달리 목본류는 삭생의 강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식생군의 군집으로서 특징보다는 개별 식생의 형상이 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목본류는 수심에 따라 흐름에 영향을 주는 생체량(biosmass)이 수심에 따라 변화하지만, 줄기(trunk)의 경우 수심에 따라 생체량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줄기의 강성 및 단면 모양이 큰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목본류는 실험 수로에 고밀도의 수목군을 형성하여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개별 식생이나 소규모 군체에 대하여 항력을 측정하여 조도를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본류의 줄기 부분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원기둥이나 사각기둥과 같은 식생 모형 요소를 이용하여 식생 줄기를 구현하였고, 식생 형상 및 식생 직경 등을 달리하여 침수 조건 변화에 따른 항력 변화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

Immersed Boundary Method for numerical Analysis of Bridge Section (가상경계법을 이용한 교량 내풍단면 유동장 수치해석)

  • Kim, Hak Sun;Lee, Sungsu;Nho, Jae Ge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69-6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 상태의 비압축성 유동장을 해석하기 위하여 물체맞춤격자방법이 아닌 가상경계법을 사용하였다. 가상경계법은 구조격자를 사용하여 구조물 경계면에서 Momentum Forceing을 사용하여 가상의 경계를 만들어 유동장을 해석하는 방법이다. Navier-Stoke 방정식의 수치 이산화 방법으로 Kim et al(1985)이 사용한 Fractional Step Method(FSM)을 사용하였다. 시간에 대하여 semi-implicit FSM를 사용하였고, 확산항에 대해서는 2차 정확도의 Crank-Nicolson Method를 대류항은 3차 정확도의 Runge-Kutta Method를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경계법을 이용한 유동장 해석이 교량 단면에 대하여 수치해석이 가능한지 검토하였다. 가상경계법은 현재 많은 연구가 유선형의 구조물에 대하여 수행되어 오고 있다. 교량 단면과 같은 각 진 구조물에 대한 검토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가상경계법에서 다루고 있는 구조물 경계면에서의 Momentum Forcing 방법이 유선형의 구조물에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먼저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하여 원형 실린더에 대하여 가상경계법을 적용한 결과 Re 수 200에서 Strouhal Number, 양력계수, 항력계수를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Williamson(1988)과 Zhang(1995)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교량의 단면과 같은 각진 구조물(Bluff Body)에 대하여 가상경계법 적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에서 평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2차원 교량 단면에 대하여 유동장 해석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정량적인 유체력과 유동장에 대한 비교 및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압력장과 유선의 형태가 이론적인 값을 벗어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Re 수 2700에서 전산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교량 단면 주위의 압력계수와 박리현상 그리고 후류에서의 Vortex shedding 현상이 모두 적절한 분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상경계법을 이용하여 각진 구조물에 대한 주위 유동장해석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풍동실험과의 결과비교를 통하여 가상경계법을 이용하여 교량 단면 주위의 유동장 해석 결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Air Flow Analysis due to the Shape of Automotive Body (자동차 차체의 형상에 따른 공기 유동해석에 관한 연구)

  • Lee, Hyun-Chang;Cho, Jae-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5 no.2
    • /
    • pp.19-23
    • /
    • 2014
  • In this study, the air resistance is studied by using flow analysis near automotive body due to the its shape. Flow velocities of airs entering into inlet plane are two kinds of 70 km/h and 100 km/h. Air resistance in case of high speed driving(100 km/h) becomes higher than regular speed driving(70 km/h) and the resistance in case of the car with wider cross section at front side becomes higher than narrower cross section. By using this analysis result, the shape of automotive body can be effectively designed in order to reduce the air resistance.

Form Drag Factor of Contracted Flow (축소단면흐름 형상항력계수)

  • 권순국;유동훈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7 no.3_4
    • /
    • pp.82-89
    • /
    • 1995
  • The efforts of formula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results of existing laboratory experiments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scribe the contracted flow which occurs at the final closure of sea dike constructi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ontracted flow is analyzed by checking the drawdown curve, and Chezy's mean velocity equation is employed to estimate the discharge rate at the closure. Weir-type discharge equations are reviewed, which are derived from Bernoulli equation, and the problems of the equations are discussed. Chezy's mean velocity equation is considered to be widely and generally applicable, and the empirical factor introduced in Chezy's equation is named 'form drag factor' since it is primarily dependent on the form drag caused by the contraction of discharge area.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main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form drag factor against various parameters, and an empirical equation is developed for the estimation of form drag fac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