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말탐색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Neighbor Discovery Scheme based on Spatial Correlation of Wireless Channel (무선채널의 공간적 연관성을 이용한 주변단말 탐색방안)

  • Lee, Woongsup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10
    • /
    • pp.2256-2262
    • /
    • 2015
  • Recently,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key technology for future cellular system, because it can solve the problem of excessive data traffic increment and can also provide new communication services. Herein, we propose new neighbor discovery for D2D communication and examine its performance. Our proposed scheme is proximity beacon based discovery in which wireless resource for pilot transmission is assigned based on the spatial correlation of wireless channel and sensing period is adjusted according to target accuracy such tha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 scheme is analyzed mathematically and verifi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Grouping of Wireless Terminals for High-Rate Transmission in Wireless LANs (무선랜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단말들의 그룹화 알고리즘)

  • 우성제;이태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3A
    • /
    • pp.293-302
    • /
    • 2004
  • Wireless LAN is a rather matur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onnects mobile terminals. A typical wireless LAN system is composed of one AP and more than one terminals, which is called a BSS. Terminals near to an AP can receive high rate data but terminals far from an AP may not receive data with guaranteed high speed rate becaus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weakened.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allow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by grouping terminals and using part of wireless terminals as repeaters. We compare and analyze proposed grouping algorithms based on Depth First Search and Breadth First Search via simulations. A grouping algorithm based on Breadth First Search is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term of efficiency and coverage.

Grouping Algorithms for Efficient Use of Wireless Channel and High-Rate Transmission in Wireless LANs (무선랜 환경에서 자원효율적인 무선채널의 사용과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그룹화 알고리즘)

  • Woo, Sung-Je;Lee, T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1269-1272
    • /
    • 2003
  • 무선랜은 무선으로 근거리 단말들을 연결하는 통신 기술로,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랜은 보통 하나의 AP와 하나 이상의 단탈 기기가 BSS를 구성하는데 AP에서 거리가 멀리 떨어진 단말은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고속 데이터 전송률의 보장을 반을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단말중 일부를 리피터로 이용함으로써 그룹화를 통해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무선 단말의 그룹화를 위한 깊이우선탐색 알고리즘과 넓이우선탐색 알고리즘을 비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넓이우선탐색 알고리즘이 무선 단말을 위한 그룹화에 보다 효과적인 알고리즘임을 보였다.

  • PDF

Optimal Path Finding Considering Smart Card Terminal ID Chain OD -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Railway Network - (교통카드 단말기ID Chain OD를 반영한 최적경로탐색 - 수도권 철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 Lee, Mee 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7 no.6
    • /
    • pp.40-53
    • /
    • 2018
  • In smart card data, movement of railway passengers appears in order of smart card terminal ID. The initial terminal ID holds information on the entering station's tag-in railway line, the final terminal ID the exit station tag-out railway line, and the middle terminal ID the transfer station tag subway line. During the past, when the metropolitan city rail consisted of three public corporations (Seoul Metro, Incheon Transit Corporation, and Korail), OD data was expressed in two metrics of initial and final smart card terminal ID. Recently, with the entrance of private corporations like Shinbundang Railroad Corporation, and UI Corporation, inclusion of entering transfer line terminal ID and exiting transfer line terminal ID as part of Chain OD has become standard. Exact route construction using Chain OD has thus become integral as basic data for revenue allocation amongst metropolitan railway transport corporations. Accordingly, path detection in railway networks has evolved to an optimal path detection problem using Chain OD, hence calling for a renewed solution method. This research proposes an optimal path detection method between the initial terminal ID and final terminal ID of Chain OD terminal IDs within the railway network. Here, private line transfer TagIn/Out must be reflected in optimal path detection using Chain OD. To achieve this, three types of link-based optimum path detection methods are applied in order of 1. node-link, 2. link-link, 3. link-node. The method proposed based on additional path costs is shown to satisfy the optimal conditions.

Femtocell Searching Technique Using Synchronization Signals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신호를 이용한 펨토셀 탐색 기법)

  • Kim, Yeong Jun;Cho, Yong 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A no.1
    • /
    • pp.44-57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mtocell searching technique which can prevent a macrocell UE(user equipment) from losing synchronism to its serving macrocell near closed access femtocells in co-channel deployment due to the leakage of femtocell signals by using a CS(Common Signal). The CS, commonly transmitted by femtocells in a macrocell at the same time, enables the macrocell UEs to be kept synchronized with their serving macrocells since the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of base stations in macrocell can be kept high even near closed access femtocells. Also, the CS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a macrocell UE can recognize the existence of femtocell by using the metric CSCINR(Common Signal Carrier to Interference and Ratio) measured with CS. In addition, the proposed femtocell searching technique can reduce the frequency of femtocell searching trial by using the metric on mobility of a macrocell UE defined in this paper, and the reduction of the frequency of handover trial can be also expected as a byproduct.

Development of IPTV Service Discovery and Content Guide Standard Reference Implementation (IPTV 서비스 탐색 및 콘텐츠 가이드 표준 참조구현 개발)

  • Choi, Miae;Lee, EunH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191-194
    • /
    • 2012
  • IPTV는 2008년 처음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IPTV 콘텐츠 호환성 확보와 단말 이동성 확보를 통한 IPTV 서비스 활성화 및 전체적인 비용 절감을 위해 많은 표준화 이슈들이 있었고 짧은 시간동안 많은 부분 표준화가 완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XML 기반의 서비스 정보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제품이 없고 표준 검증을 위한 기준 단말 및 서버가 개발자에게 제공되지 않아 표준의 빠른 상용화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방통융합 기반기술 테스트 환경 구축 과제를 통해 IPTV 서비스 탐색과 콘텐츠 가이드 표준 참조구현 소스를 오픈소스 방식으로 무료 배포하기 위하여, IPTV 서비스 환경에 적합한 XML 기반의 서비스 정보와 콘텐츠 가이드 정보를 H/E단(서버)에서 송출하고 단말을 통해 이들 정보를 확인하는 기술 표준인 "IPTV 서비스 탐색 및 전송방식"과 "IPTV 콘텐츠 가이드 정보 및 전송방식" 표준을 적용한 서버와 단말 기능을 개발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Fast Handoff Scheme based on Fast Channel Scanning (빠른 채널 탐색을 고려한 Fast Handoff 방식의 성능분석)

  • Shin, Jae-Heung;Yoon, Hong;Lee, Sa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b
    • /
    • pp.199-203
    • /
    • 2006
  • 무선통신 환경에서 단말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끊김 현상을 제거하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빠른 핸드오프(Handoff) 방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채널을 탐색한 후, 가장 상태가 좋은 채널을 선택하는 기존 방식을 개선한다. 각 AP(Access Point)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채널정보와 ACR(Access Control Router)가 제공하는 인접 AP들 정 보의 주기적인 NEB-ADV에 포함하여 이동단말에 제공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를 습득한 단말이 인접한 AP들의 사용 채널만 탐색하는 새로운 Fast Channel Detection(FCD)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채널탐색 시간이 감소되므로 총 지연시간을 감소시킨다. 제안된 방식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서 링크 효율성과 블록킹 확률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제안방식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 PDF

A Study for Fast Handoff Improvement Performance on Using MAC layer Information at Wireless LAN (무선 랜에서 MAC 계층의 정보를 이용한 고속 핸드오프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Kim Dong-Ok;Gang Dong-Jin;Im Jeong-Hui;Song Yeong-A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7-3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무선 랜 환경에서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으로 인한 서비스영역의 변화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방식은 이동하는 단말이 사용 가능한 채널탐색과정 중 MAC주소를 참조하여 단말의 이동을 알려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기존방식과 제안방식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단말의 이동을 채널탐색과정에서 인식함으로 단말에게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버퍼링 한 후 재결합과정이 발생하면 즉시,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핸드오프 기간 동안에 Throughput 감소가 적게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

Neighbor Discovery for Mobile Systems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주변 무선단말 파악방안)

  • Lee, Woongsup;Ban, Tae-Won;Kim, Seong Hwan;Ryu, Jongy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3
    • /
    • pp.527-533
    • /
    • 2018
  • Recently, the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has been conceived as the key technology for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he neighbor discovery in which the nearby users are found, is essential for the proper operation of the D2D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neighbor discovery scheme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which has gained a lot of attention recently. In the proposed scheme, the neighboring users can be found using the uplink pilot transmission of users only, unlike conventional neighbor discovery schemes in which direct pilot communication among users is required, such that the signaling overhead can be greatly reduced in our proposed scheme. Moreover, the neighbors with different proximity can also be classified accordingly which enables more accurate neighbor discover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chemes.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scheme is verified through the tensorflow-based computer simulations.

Dynamic Distributed Hierarchical Routing Plan Method for UTIS and DSRC systems (UTIS, DSRC 통합 동적 분산 계층 경로탐색 기법)

  • Baek, Yeong-Tae;Lee, Se-Hoon;Kim, Sa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7-50
    • /
    • 2010
  • 본 논문은 현재 경찰청 및 각 지자체의 주도하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새롭게 보급되고 있는 도시 교통 정보 시스템 (UTIS)과 국토해양부 및 한국 도로 공사 등을 중심으로 한 DSRC 기반의 교통 정보 시스템을 모두 활용하는 시스템 및 효율적인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도시 교통 정보 시스템은 무선랜과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기존 단방향 방식인 TPEG의 주요 도로 위주의 제한된 교통 정보 단점을 극복하고 많은 지선를 포함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단지 도심 내에서만 운전하는 것이 아니고 고속도로 등을 통해서 장거리 운전도 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상의 DSRC 기반의 서비스도 동일 단말에서 지원해야 하나의 단말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두 개의 다른 통신 모듈의 통합된 단말 시스템을 제안하고 기존에 제안된 UTIS 기반의 분산 경로 탐색 방식을 DSRC 기반의 고속도로 교통 정보를 활용해서 새로운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향후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연구와 현재 다른 주체들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제도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