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동 비닐하우스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emperature Controlling Effect of Side Vent Controller using Difference of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in Single Span Greenhouse (단동형 비닐하우스의 내외부 온도차를 이용한 측창개폐 제어장치의 내부온도 조절효과)

  • Lee, Si-Young;Kim, Hyung-Jun;Jeon, Hee;Kim, Hyun-Hwan;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04a
    • /
    • pp.110-114
    • /
    • 2002
  • 단동형 비닐하우스는 연동형 비닐하우스에 비해 생력화 및 자동화가 미흡한 재배시설이다. 그러나 전국 시설면적 52,189 ha 중 90%이상이 단동형 비닐하우스로서 대부분 초기투자 부담이 적고 파이프를 이용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단동형 비닐하우스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동형 비닐하우스는 각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고유형 시설로 발전하여 왔기 때문에 폭이 5-6m, 높이가 2-3.5m 정도인 대형 터널형태와 폭이 l0m 이상인 광폭형태 등 규격이 다양하게 설치되어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set-up and removal system of pipe frame for a single-span plastic film greenhouse (이동식 단동 비닐하우스 설치 및 철거 시스템 개발)

  • 이기명;박규식;최성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173-179
    • /
    • 2002
  • 본 연구는 시설재배지의 장기재배를 위하여 연작장해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벼재배를 위하여 일손이 부족한 농번기에 생력적인 단동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의 설치 및 철거장치 개발을 위한 연구로 수행하였다. 농업용 로더용의 차체와 차륜을 사용하는 전용기로서 단동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를 적재하고 1본씩 이송 가능한 4스크류방식의 피딩장치와 타설위치에서 매설깊이를 일정하게 관입할 수 있는 롤러 방식의 그리퍼 및 타설장치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동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를 기계적으로 설치 철거하는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1동 분량의 골조파이프를 적재하여 1본 이송, 피딩, 관입 등이 자동으로 가능하며, 주행하면서 철거가 가능한 장치로 구성하였다. 2. 수작업의 골조파이프 타설작업 시간대비 10배 정도의 노동력 절감효과가 있으며, 농번기와 중노동의 회피, 연작장해 스트레스 경감 등 시설재배농가의 현장애로 해결에 많은 도움이 예상된다. 3. 단동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의 설치 및 철거장치를 활용함으로서 연작장해 회피를 위한 수도작의 재배 등 시설재배농가의 안정적인 장기 재배가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과 고품질 농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eak External Pressure Coefficient Working on Roof Surface according to the Shape and Layout of Green Houses (비닐하우스의 형태와 배치에 따른 지붕면 피크외압계수 특성분석)

  • You, Ki-Pyo;Paek, Sun-Young;Kim, Young-Moom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0 no.1
    • /
    • pp.59-66
    • /
    • 2010
  • Among the protected horticulture facilities in Korea, 99.2% are pipe-framed green houses and most of them are structurally vulnerable single-span type green houses. This study examined peak external pressure coefficient for the roof surface of a green house group composed of single-span and a multiple-span green hou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distribution of peak external pressure coefficient was around 30% higher in the single-span greenhouse than in the multi-span ones. The external pressure coefficient for the roof surface of the vinyl house group was, in all of the three vinyl houses, was around 20%-30% higher than that for single-span greenhouses.

  • PDF

Analy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Small Scale Vinyl House by Region (지역별 소형비닐하우스의 구조특성 분석)

  • 이종원;이석건;이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11a
    • /
    • pp.306-315
    • /
    • 2002
  • 본 연구는 지역별로 단동비닐하우스의 설치현황, 단면형상, 폭, 지붕높이, 측고, 측벽기울기, 골조재의 규격, 서까래간격, 가로대의 설치위치 및 개수, 내용년수 등을 현장조사를 통하여 비닐하우스의 구조실태를 파악하였다. 설치지역별에 따른 단동비닐하우스의 구조특성을 조사ㆍ분석한 본 연구결과는 관행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소형비닐하우스의 구조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매년 반복되고 있는 강풍과 폭설로 인한 소형비닐하우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안전모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Width, Edge and Side Height of Single-span Vinyl-house on Structural Safety (단동온실의 폭, 동고 및 측고가 구조안전에 미치는 영향)

  • 이석건;이종원;이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51
    • /
    • 2003
  • 아연도금 파이프 단동비닐하우스의 면적은 국내 원예시설면적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나, 시공의 용이성과 시공비의 저렴함으로 인하여 구조물로서의 공학적 설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온실형태는 지역농협이나 작목반 등에서 보유하고 있는 성형활대에 따라 결정이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단동비닐하우스는 매년 태풍 및 폭설 등의 기상재해로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2001년말 농촌진흥청에서는 농가지도형 비닐하우스 모델을 10가지를 제안하였다. (중략)

  • PDF

Improvement of ventilation method in single-span type vinyl-house (단동형 비닐하우스의 환기방법 개선 연구)

  • Kim, Hyun-Hwan;Jeon, Hee;Lee, Si-Young;Kwon, You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05a
    • /
    • pp.174-177
    • /
    • 1998
  • 단동형 비닐하우스의 규격은 대부분 폭 5-6m, 하우스높이 2.4m정도로 아연도금파이프 ø22mm, ø25mm를 이용하여 아치형이나, 돌출형(복숭아형) 형태로 서까래간격 60cm에서 120cm까지 시공되어 있으며 남부지역에서는 서까래 간격이 넓게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하우스 환기를 위해 측면 권취 뿐만 아니라 하우스의 천장에 상품화된 연통형(굴뚝형) 환기구를 단동형 비닐하우스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시설내환경을 조절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Resistible Model to Natural Disaster in Single Span Plastics House (내재해의 단동형 플라스틱하우스 모델 개발)

  • Kim, H.H.;Kim, J.Y.;Chun, H.;Lee, S.Y.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315-318
    • /
    • 2002
  • 우리나라 원예시설면적은 '00년 말 현재 52,189ha이며, 이중 단동형 비닐하우스 면적은 채소가 34,173ha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단동형 비닐하우스에 사용하는 골재는 주로 ø25mm를 95%이상 사용하고 있으며, 서까래 간격은 지역별로 다르나 대부분 80cm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골재와 서까래간격은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여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자연재해시 사전ㆍ사후대책이 필수적이며, 근본적으로는 비닐하우스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어져야 한다. (중략)

  • PDF

폭설 시 비닐하우스의 변형 분석 및 보강재 최적화

  • Lee, Ye-Ho;Gong, Du-Hyeon;Sin, Sang-Ju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7.03a
    • /
    • pp.251-258
    • /
    • 2017
  • 비닐하우스는 원예시설 중 가장 중요한 구조물로서 전국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경제적이기 때문에 농업 재배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폭설 시 눈에 의한 하중으로 비닐하우스의 속이 빈 파이프의 변형이 유도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닐하우스의 80%를 차지하는 단동식 구조를 모델로 삼아 비닐하우스 지붕 위치에 따른 눈의 하중을 계산한 후 EDISON 해석 프로그램과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에 최대 변위와 응력을 분석하여 농업진흥청에서 제안한 보강재를 해석했다. 추가로 보강재의 접하는 위치를 이동하여 최대 변위와 파이프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석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Compensation Extent of Single Span Greenhouse for Recovering against Natural Disaster (자연재해 복구지원을 위한 단동형 파이프하우스의 규격 범위 설정)

  • Lee, Si-Young;Kim, Jin-Young;Kim, Hyun-Hwan;Jeon,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0.10b
    • /
    • pp.67-70
    • /
    • 2000
  • 우리나라 전체 비닐하우스 면적 50,746 ha 중 단동형 파이프하우스가 차지하는 면적이 90% 이상으로 매우 높은 원예생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단동형 파이프하우스는 지리적, 기후적인 차이로 인해 고유한 지역적 특성을 갖고 다양한 형태의 시설로 자리잡고 있지만 철골파이프를 이용한 간이 구조를 갖고 있어 작년 8월 상륙한 태풍 올가에 의해 경남, 전남북, 충남 일대의 많은 면적이 피해를 입었다. (중략)

  • PDF

Effects of Slope of Side Wall on Structural safety of Small Scale Vinyl House (측벽 기울기가 소형비닐하우스의 구조안전에 미치는 영향)

  • 이석건;이종원;이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11a
    • /
    • pp.316-319
    • /
    • 2002
  • 국내 원예시설면적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파이프 단동비닐하우스는 대부분이 농가에서 자가인력을 이용하여 설치를 하고 있는 실정이며 골조용 파이프의 성형은 지역농협이나 작목반 등에서 보유하고 있는 활대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활대의 형상에 따라 하우스의 단면형태가 결정이 되어지며 하우스의 시공시 활대와 시공자의 취향에 따라 측벽의 기울기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