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한증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7초

보상성 다한증에서 20% Aluminum Chloride Hexahydrate의 효과 (Effects of 20% Aluminum Chloride Hexahydrate in Compensatory Hyperhidrosis)

  • 이석열;이승진;이만복;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80-84
    • /
    • 2001
  • 배경: 보상성 다한증은 다한증에서 흉강경하 교감신경수술후에 가장 많이 발생되는 합병증으로 환자의 만족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환자에게 또다른 부담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상성 다한증에 대하여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법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한증 수술후 심한 보상성 다한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20% Aluminum Chloride hexahydrate를 이용하여 발한감소효과를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년 5월부터 7월말까지 보상성 다한증으로 심한 불편을 호소하는 8명을 대상으로 약제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보상성 다한증에 대하여는 1=없다(absent), 2=약간있다(mild), 3=눈에 보일정도의 발한이 있으나 생활에 불편은 없다(moderate). 4=일상생활에서 지장을 줄 정도롤 발한이 심하다(severe). 5=발한이 너무 심하여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다(disabling)로 구분하였다. 또한 보상성 다한증으로 인한 생활의 만족도는 1=Absolutely no satisfaction, 2=$\leq$25%, 3=<25-$\leq$50%, 4=<50-$\leq$75%, 5=<75-$\leq$100%로 구분하였다. 20% Aluminum Chloride Hexahydrate를 바르기전과후의 수치변화를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보상성다한증으로 인한 발한의 정도는 치료전에 4.25$\pm$0.46에서 치료후에 2.88$\pm$0.64로 감소하였으며(p=0.009), 만족도는 치료전이 1.25$\pm$0.46였고 치료후의 만족도는 4.00$\pm$1.07로 만족도의 상승을 볼수있었다(p=0.011). 결론: 20% Aluminum Chloride Hexahydrate를 사용하여 증상완화와 생활의 만족도상승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연구가 좀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다한증의 교감신경 차단술후 보상성 다한증의 경향 (The Tendency of Compensatory Hyperhidrosis after Sympathicotomy in Essential Hyperhidrosis)

  • 이재훈;박기성;박창권;유영선;이광숙;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23-226
    • /
    • 2002
  • 배경: 다한증환자에서 교감신경 절단술은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수술직후에는 만족도가 높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만족도가 떨어지는데, 그 원인은 보상성 다한증이 주원인이라 할 수 있다. 보상성 다한증은 일상생활에 아주 불편한 질환으로 그나 유발인자에 대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있었으나, 그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는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에서 1999년 5월부터 2001년 6월까지 141례의 교감신경 절단술을 시행하였으며, 25례의 안면부 다한증은 두 번째 늑골에서, 116례의 수장부 다한증은 세 번째 늑골에서 교감신경을 절단하였다. 모든 례에서 추적이 가능하였고 보상성다한증의 유무에 따라 두군으로 나눈 후 성별, 나이, 체표면적, 교감신경 절단의 위치, 직업의 유무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의 경향을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141례 중 보상성 다한증은 91례로 64.5%를 보였다. 보상성 다한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에서 체표면적, 교감신경 절단의 위치, 직업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연령은 보상성 다한증이 있는 군은 26.4세, 없는 군은 23.2세로 나타났다(p=0.09). 남녀 비에서 보상성 다한증이 있는 군은 남자 46명, 여자 45명(50.5%, 49.5%)이었으며, 없는 군에서는 남자 19명, 여자 31명(38.0%, 62.0%, p=0.16)으로 나타났다. 결론: 여러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없었으나, 남녀 비와 평균연령에 있어서는 보상성 다한증의 경향에 근접한다고 볼 수 있었다. 향후 좀 더 많은 환자분석과 가족력, 그리고 정신적인 병력유무 등의 여러 인자들을 고려한다면, 보상성 다한증 발생의 예측인자조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다한증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0권8호통권333호
    • /
    • pp.24-25
    • /
    • 2006
  • 다한증이란 우리 몸이 체온 조절에 필요한 땀의 양보다 많은 양의 땀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상태를 말한다. 일부에서는 당뇨병, 갑상선 기능항진증, 두부 손상 등의 원인에 의한 이차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 뚜렷한 원인이 없는 건강한 상태에서 나타나는데 이러한 경우를 '본태성 다한증'이라고 한다. 본태성 다한증은 주로 손바닥과 발바닥에서 과다하게 땀이 나는 것으로, 심한 경우 겨드랑이 및 얼굴에도 땀이 많이 날 수 있다.

  • PDF

다한증환자에서 수술 방법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의 비교 (According to Extent of Sympathectomy, Compensatory Hyperhidrosis in Essential Hyperhidrosis)

  • 이두연;윤용한;김해균;강정신;이교준;신화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75-180
    • /
    • 1999
  • 배경: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 1992년 다한증환자에서 흉곽내시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제술을 시행한이래로 교감신경절제술은 원발성 다한증환자에서 간편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수술직후의 만족도는 94∼98%로 보고되는 반면 6개월이 지난 장기 추적조사에서의 만족도는 약 66%로 보고되고 있고 만족도가 떨어지는 원인으로 보상성다한증에 의한 일상생활의 불편이 가장큰 요인이다. 대상 및 방법: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 흉부외과에서 1992년부터 1998년 까지 783례의 다한증 수술환자중 T2 교감신경절단술 환자 89명(1군), T2 교감신경절제술 88명(2군), T2-4 교감신경절제술 138명(3군)을 대상으로 각각의 수술방법에 따라 보상상다한증의 발생 빈도와 정도을 비교하였다. 보상성다한증의 정도를 1, 없다(Absence); 2, 약간있다(Mild); 3, 눈으로 보일정도이나 생활에 지장이 없다(Embarrassing); 4, 생활에 불편할정도로 많으며 하루에 2-3번내의를 갈아입는다(Disabling)로 구분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증상이 소실되었으며 전체적인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율은 1군이 64%, 2군이 73.8%, 3군이 87.8%였으며 Embarrassing 과 Disabling 의 경우 1군 15.7%, 2군 32.2%, 3군 58.0% 로 수술방법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과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과 정도는 교감신경절제의 범위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보상성 다한증을 줄이고 장기 추적조사에서의 만족도를 증가 시키기 위해서는 T2 교감신경절제술 보다는 T2 교감신경절단술이 종 더 유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PDF

다한증수술후 발한분포 및 상하지의 온도변화와 혈류량변화 (The Changes of Sweating Area, Temperature and Blood Flow i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y after Hyperhidrosis Operations)

  • 김용환;장윤희;문석환;조건현;왕영필;김세화;곽문섭;김학희;장혜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56-460
    • /
    • 1999
  • 배경: 다한증에 대한 흉부교감신경절제술은 흉강경기구 및 수술술기 발달로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보상성 다한증으로 그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수술결과 및 보상성 다한증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수술전후 손과 발의 온도 차이 그리고 상지와 하지의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강남성모병원에서 총 47명의 다한증환자를 흉강경하에 교감신경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전후로 손가락 및 발가락에서 온도변화를 측정하였고, 혈류량 측정은 도플러 초음파검사로 손가락동맥, 요골동맥, 그리고 족배동맥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기흉 7건, 재발 3건, 안검하수 1건등의 합병증이 있었다. 보상성 다한증은 수술한 환자의 95%에서 있었으며 이중 5명이 수술을 후회하였다. 족부 다한증은 흉부교감신경절제술후 46%에서 향상되었고, 수술전후 온도변화는 우측 손에서 1$^{\circ}C$, 좌측 손에서 1.9$^{\circ}C$였고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족부 다한증에서는 의미있는 온도차이가 없었다. 혈류량은 손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 발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다한증의 흉부 교감신경절제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이지만 그 만족도는 보상성 다한증에 의해 감소하고 있으므로 수술전에 보상성 다한증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족부 다한증은 생리적 변화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정신적 안정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 PDF

다한증의 제한적 교감신경절단술 (Limited Sympathetic Nerve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 Block for Essential Hyperhidrosis)

  • 박만실;서충헌;심재천;최봉춘;이영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813-817
    • /
    • 1999
  • 배경: 국소적 다한증의 흉강경을 이용한 통상적인 흉부교감신경절제술이나 교감신경절차단술은 효과적인 치료법이기는 하나 수술 후 심한 보상성 다한증이 많이 발생 하고 수장부 다한증의 경우 수술 후 얼굴에서 땀이 나지 않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저자들은 기존의 수술법을 개량해 제한적 흉부교감신경절단술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제한적 교감신경절단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5월부터 8월 까지 17명의 환자들에게 제한적 흉부교감신경절단술을 시행하였다. 9명의 안면부 다한증인 환자들에게 두 번째 교감신경절 위 아래의 교감신경을 절단하던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첫번째 와 두 번째 흉부교감신경절 사이의 신경절간신경만을 절단하였다. 8명의 수장부 다한증 환자에 대해서는 두 번째와 세 번째 흉부 교감신경절간신경을 절단하였다. 결과: 17명의 환자들 중 16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원하던 부위의 땀이 나지 않았으나 1명의 환자는 수술 1달 후 얼굴의 땀이 재발하였다. 안면부 다한증으로 수술을 받았던 9명의 환자들 보상성 다한증으로 4명이 심하게, 4명이 중등도로, 1명은 경미하게 불편을 호소 하였다. 그러나 수장부 다한증으로 수술을 받았던 8명의 환자들 중에서는 보상성 다한증을 3명에서 중등도로, 1명이 경미하게 호소하였으며 4명은 보상성 다한증이 없었다. 결론: 제한적 흉부교감신경절단술은 최소 침투 수술법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특히 수장부 다한증에서는 수술 후 체간에서 발생하는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을 줄이고 얼굴의 무한증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안명부다한증에 대한 흉강경수술 -3례 보고- (Thoracoscopic Sympathec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Three Cases Report-)

  • 정진용;연성모;박건;곽문섭;윤석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336-338
    • /
    • 1998
  • 다한증은 감염이나 일부 종양 등에서 볼 수 있으나, 원인질환이 없이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원발성 다한증의 경우 땀이 많이 나는 부위는 주로 손바닥이며 안면부에서 땀이 과다하게 나는 경우도 있다. 최근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교감신경절제술이 다한증의 외과적 치료로 이용되고 있는데, 안면부다한증의 경우에는 성상신경절의 일부를 절제하기 때문에 호너증후군 등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다. 저자들은 최근 안면부다한증 3례의 환자에서 흉강경을 이용하여 성상신경절의 일부를 포함한 흉부교감신경절제술를 시행하였다. 수술후 모두에서 증상호전이 있었으며 호너증후군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 PDF

액와부 다한증에 대한 R4,5 교감신경 절단술의 효과 - 5예 보고 - (Effect of Fourth and Fifth Chain Sympathicotomy in Axillary Hyperhidrosis -Five case report-)

  • 전순호;이재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297-299
    • /
    • 2003
  • 흉강내시경을 이용한 교감신경 절단술은 수장부 다한증뿐만 아니라 액와부 다한증에 대해서도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전에 R2, 3, 4교감신경 절단술의 여러 가지 조합 방법들과 다르게 R4, 5절단 방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액와부 액취증 없이 과다한 땀이 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2002년 2월부터 8월까지 2mm 흉강내시경 이용하여 5예의 흉강경 교감신경절단술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들 수술 결과에 만족하였고 과다한 땀은 더 이상 없었다. 총 5예 중, 3예에서(60%) 보상성 다한증을 경험하였는데, 그중 1예만(20%) 의미 있게(불편한 정도는 아니지만) 보상성 다한증을 허리 및 허벅지에 보였다. 액와부 다한증에 대한 치료로 R4, 5 교감신경절단술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한다.

다한증 환자에서의 T2 Sympathicotomy의 효과 (Hyperhidrosis Treated by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 윤용한;이두연;김해균;이교준;신화균;강정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71-174
    • /
    • 1999
  • 배경: 다한증은 젊은 나이에 0.6%에서 1%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흉강 내시경 기구의 발전으로 2 mm 내시경에 의한 다한증 치료가 가능하게 되어 수술 후 통증이나 상처에 대한 걱정 없이 수술을 시행할 수 있게되었고 또한 보상성 다한증등의 합병증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수술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훙부외과에서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2월까지 89례의 다한증 환자에서 2 mm 흉강경을 이용한 89례의 흉부교감 신경절 절단술(sympathicotomy)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추적 가능하였으며 평균수술시간은 30분이었으며 평균입원기간은 1일이었다. 결과: 수술후 보상성 다한증은 57례(64.0%)에서 나타났으며 생활에 불편한 정도의 보상성 다한증은 14례(15.7%) 였다.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율은 일반적인 수술방법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다한증의 정도는 훨씬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의 만족도는 96.6%에서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3.4%에서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2 mm 흉강경을 이용한 T2 흉부교감 신경절 절단술(sympathicotomy)은 다한증의 치료를 위한 치료방법으로 매우 간편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되어지며 신경의 재 성장에 의한 재발등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장기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결론: 본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 병원에서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2월까지 2 mm흉강경을 이용하여 T2 sympathicotomy를 시행하여 다한증치료를 하였기에 임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수술의 효과 (Thoracoscopic T-3 Sympathicotomy for Palmar Hyperhidrosis)

  • 김광택;김일현;이송암;백만종;선경;김형묵;이인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39-744
    • /
    • 1999
  • 배경: 본 임상연구는 수부 다한증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효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에서 동년 12월까지 수부 다한증을 호소한 50명(여자: 24, 남자: 26)의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 경 차단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중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가 37명이었으며, 액와부 다한증이 동반된 경우가 13명이었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20세였다. 수술방법은 전기 소작용 가위를 이용하여 양측의 흉부 교 감신경을 차단하였으며,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는 3번 늑골(흉부 2번, 3번 교감신경절 사이)에서 차단 하였으며 액와부 다한증을 동반한 환자는 3번, 4번 늑골에서 교감신경을 차단하였다. 수술 후 다한증의 호전 정도 및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와 만족도의 측정은 Linear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수부, 안면부, 체간, 족부 의 땀 분비정도는 무한증을 0로 과다 발한을 10으로 하였으며 만족도는 후회하는 경우 0로 매우 만족해하는 경우를 10으로하여 조사 후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수부 다한증은 호전되었다.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수부의 땀 발생 정도의 평균 측정치는 $1.5\pm$0.8로 조사되었으며, 보상성 다한증은 39명 (78%)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평균측정치는 3.4$\pm$1.6이었다. 2명(4%)의 환자에서 미각성 다한증이 발생하였 으며, 수술 후 만족도는 8.5$\pm$1.2였다. 결론: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술 시행 후 증상이 호 전되었으며, 안면부 교감신경 기능의 보존과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 및 미각성 다한증의 발생빈도가 낮아, 수부 다한증의 일차적 치료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술의 적용이 합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