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층 주방식 채광법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다층 주방식 채광 광산에서 낙반이 천반과 광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ock Fall on the Roofs and Rib Pillars at Multi-layered Room and Pillar Mine)

  • 김종관;양형식
    • 화약ㆍ발파
    • /
    • 제34권4호
    • /
    • pp.35-39
    • /
    • 2016
  • 다층 주방식 광체의 개발에서 상부 채광장 천반의 붕락이 하부 편 광주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AUTODYN으로 수치해석 하였다. 그 결과 하부 채광장 천반에서의 최대 응력은 각각 0.001 mm 및 36 Mpa 정도였고, 광주에서의 최대 변위와 응력은 각각 0.0003 mm및 3 Mpa 정도였다. 상부 채광장의 천반암석의 절반이 붕락하는 상황을 가정했을 때 하부 채광장 광주의 손상도는 0.03 정도로 나타났다.

우발적 갱도폭발에 따른 다층 주방식 채광광산 구조요인별 피해 기여도 분석 (Damage Contribution Rate Analysis by Accidental Tunnel Explosion at a Multi-layered Room and Pillar Mine)

  • 고영훈;양형식;김승준
    • 화약ㆍ발파
    • /
    • 제35권3호
    • /
    • pp.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층 주방식 채광 광산에서 우발적 폭발이 일어났을 때 구조변수가 파괴(낙석 등)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여도를 평가 분석하였다. 다층 주방식 광산에서 대형 폭발에 따른 최대진동속도 영향을 산출하기 위해 AUTODYN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각 인자들의 기여도 분석을 위해 강건설계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설계인자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직교배열은 $L_9(3^4)$ 이었고 변수는 각각 3수준의 값을 갖는 광주의 높이, 광주의 폭, 갱도 폭, 바닥필라 두께 등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폭발원 갱도로 부터 하부레벨 갱도 천반에서 최대진동속도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광주의 높이이며, 이어서 바닥필라, 갱도 폭, 광주의 폭 순으로 나타났다. 수평인접 갱도 측면중앙의 경우는 광주의 폭, 갱도 폭, 광주의 높이, 바닥필라의 두께 순으로 기여율이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