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차원 색인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dexing of Interval Data of RFID Tag Objects (RFID태그 객체의 간격 데이터 색인)

  • 이기형;반재훈;김동현;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82-84
    • /
    • 2004
  •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객체에 태그를 장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응용분야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응용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질의는 객체의 위치를 찾는 find와 특정 위치의 객체를 찾는 look질의가 있다. 두 질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는 시간과 공간을 포함한 다차원 대용량 데이터이며 과거 및 현재 상태의 검색을 지원해야 하므로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해서는 태그 객체를 위한 새로운 데이터 모델과 색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태그 객체를 간격 데이터로 정의하고 과거 및 현재 데이터에서 find와 look질의를 처리할 수 있는 색인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에서 노드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 새로운 단말 노드 분할 정책을 사용하여 분할하며 성능 평가를 통해서 기존 정책보다 우수함을 증명한다.

  • PDF

Spectral matching using Range Queries based on Pyramid-Technique in Hyperspectral Image Library (초분광 영상 라이브러리에서 피라미드 색인 기법의 영역 질의를 이용한 스펙트럴 매칭)

  • Yu, Jae-Hwan;Kim, D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83-84
    • /
    • 2011
  • 초분광 영상은 기존의 다중분광 영상보다 많은 밴드를 통해 넓은 범위의 파장 영역에 대한 반사율을 담고 있는 고차원 데이터이다. 이와 같은 고차원 데이터를 기존의 R-Tree, X-Tree와 같은 다차원 색인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차원의 저주(Course of Dimensionality)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원의 저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라미드 기법을 사용하여 초분광 영상 라이브러리의 색인을 구축하였다. 파라미드 기법은 D차원의 데이터를 2D차원의 피라미드에 사상하고, B+-트리를 이용하여 1차원적으로 색인하는 방법이다. 실험 결과 스펙트럼 매칭을 위한 영역질의 방법이 후보자 추출 시간, 데이터 접근 빈도 측면에서 순차적 접근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 PDF

Vector Approximation Bitmap Indexing Method for High Dimensional Multimedia Database (고차원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을 위한 벡터 근사 비트맵 색인 방법)

  • Hwang, Jee-Ik;Son, Dae-On;Nang,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6-48
    • /
    • 2005
  • 기존의 다차원 색인 기법들이 고차원의 특징 벡터를 갖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 분야에서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이지 못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VA-File, LPC-File 등의 벡터 근사 방법이 개발 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데이터의 접근에 소요되는 시간이 전체 검색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고차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에서 객체간의 거리 계산 시간은 데이터 접근 시간에 비해 무시할 만큼 작지 않으므로 이 방법들을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간의 거리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색인 기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이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우수한 검색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보인다.

  • PDF

k-Nearest Neighbor Query Optimization Scheme Using Data Distributions and Query Processing Costs in Distance Based Indexing (거리 기반 색인에서 데이터 분포 및 질의 처리 비용을 이용한 k-최근접 질의 최적화 기법)

  • Choi, do-jin;Lee, hyeon-byeong;Kim, yeon-dong;Wee, ji-won;Park, song-hee;Lim, jong-tae;Bok, kyoung-soo;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43-444
    • /
    • 2019
  • 효율적인 이미지 검색을 위해 고차원 데이터 색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거리 기반 색인 구조는 다차원 데이터를 색인하는데 자주 활용되는데, k-최근접 질의 처리에서 초기 탐색 범위를 전체 영역의 1%만으로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거리 기반 색인구조에서 k-최근접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분포 기반의 최적화 및 질의 처리 비용 기반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n Efficient Concurrency Control Algorithm for Multi-dimensional Index Structures (다차원 색인구조를 위한 효율적인 동시성 제어기법)

  • 김영호;송석일;유재수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0 no.1
    • /
    • pp.80-94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hanced concurrency control algorithm that minimizes the query delay efficiently. The factors that delay search operations and deteriorate the concurrency of index structures are node splits and MBR updates in multi dimensional index structures. In our algorithm, to reduce the query delay by split operations, we optimize exclusive latching time on a split node. It holds exclusive latches not during whole split time but only during physical node split time that occupies small part of whole split time. Also to avoid the query delay by MBR updates we introduce partial lock coupling(PLC) technique. The PLC technique increases concurrency by using lock coupling only in case of MBR shrinking operations that are less frequent than MBR expansion operations.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implement the proposed algorithm and one of the existing link technique-based algorithms on MIDAS-III that is a storage system of a BADA-III DBMS. We show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at our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the existing algorithm In terms of throughput and response time.

A Tunalbe Class Hierarchy Index for Object -Oriented Databases using a Mulidimensional Index Structure (다차원 색인구조를 이용한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의 조율 가능한 클래스 계층 색인기법)

  • Lee, Jong-Hak;Hwang, Gyu-Ye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3
    • /
    • pp.365-37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의 클래스 계층에 대한 색인기법으로 이차원 색인구조를 이용하여 조율 가능한 이차원 클래스 색인기법인 2D-CHI를 제안한다. 2D-CHI 에서는 색인된 속성의 키값 도메인과 클래스 식별자 도메인으로 구성된 이차원 도메인상의 색인엔트리들에 대한 클러스터링 문제를 다룬다. 클러스터링 특성이 하나의 속성에 의해서 독점되는 B+-Tree 와 같은 일차원 색인구조를 이용하는 기존의 클래스 색인기법들은 특정 형태의 질의에 대해서만 적합한 색인기법들로서 다양한 형태의 질의들로 구성된 질의 패턴에 대해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2D-CHI에서는 질의 피턴에 따라 키값 도메인과 클래스 식별자 도메인 사이에서 색이 엔트리들의 클러스터링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질의처리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2D-CHI 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먼저 데이터의 균일 분포를 가정으로 비용 모델을 정립하여 기존의 색인기법들과 색인의 성능을 비교한다. 그리고, 계층 그리드 파일을 이용하여 구현한 2D-CHI의 실험으로 비용 모델을 검증하며,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데이터의 분포와 주어진 질의 형태에 따라 최적의 이차원 클래스 계층 색인구조를 구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Design of an Efficient Parallel High-Dimensional Index Structure (효율적인 병렬 고차원 색인구조 설계)

  • Park, Chun-Seo;Song, Seok-Il;Sin, Jae-Ryong;Yu, Jae-Su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9 no.1
    • /
    • pp.58-71
    • /
    • 2002
  • Generally, multi-dimensional data such as image and spatial data require large amount of storage space. There is a limit to store and manage those large amount of data in single workstation. If we manage the data on parallel computing environment which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these days, we can get highly improved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rallel high-dimensional index structure that exploits the parallelism of the parallel computing environment. The proposed index structure is nP(processor)-n$\times$mD(disk) architecture which is the hybrid type of nP-nD and lP-nD. Its node structure increases fan-out and reduces the height of a index tree. Also, A range search algorithm that maximizes I/O parallelism is devised, and it is applied to K-nearest neighbor querie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other parallel index structures.

Cell Leveling Spatial Indexing Technique to Support Location Based Query (위치 기반 질의를 지원하기 위한 셀 레벨링 공간 색인 기법)

  • 정연욱;김유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127-129
    • /
    • 2003
  • 최근 GPS기능을 탑재한 휴대폰ㆍPDA등의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LBS : 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효율적 검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색인이 필요하다.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다차원 공간 색인 기법으로는 R-Tre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R-Tree를 이용한 검색은 질의 영역과 관계없는 공간 데이터까지 검색하는 고비용의 연산이 요구되며, 사용자의 질의 위치 단위(Granularity)를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의 빠른 검색 응답시간 및 질의 영역에 대한 정확한 공간 객체 검색에 대해 충족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셀 안에 존재하는 공간 데이터가 자신이 속한 노드의 전체 MBR(Union MBR)영역과 셀 영역에 따라 셀 레벨 값을 구성하는 CLR-Tree(Cell Leveling R-Tree)를 제안한다. CLR-Tree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질의 영역 셀 레벨 값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간 데이터의 셀 레벨 값을 비교한 뒤 겹침 연산 대상이 되는 공간 객체 수를 줄임으로써 검색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Similarity-Based Subsequence Search in Image Sequence Databases (이미지 시퀀스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유사성 기반 서브시퀀스 검색)

  • Kim, In-Bum;Park, Sang-H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3
    • /
    • pp.501-512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n indexing technique for fast retrieval of similar image subsequences using the multi-dimensional time warping distance. The time warping distance is a more suitable similarity measure than Lp distance in many applications where sequences may be of different lengths and/or different sampling rates. Our indexing scheme employs a disk-based suffix tree as an index structure and uses a lower-bound distance function to filter out dissimilar subsequences without false dismissals. It applies the normaliration for an easier control of relative weighting of feature dimensions and the discretization to compress the index tree. Experiments on medical and synthetic image sequences verify that the proposed method significantly outperforms the naive method and scales well in a large volume of image sequence databases.

Bit-Vector-Based Space Partitioning Indexing Scheme for Improving Node Utiliz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노드 이용률과 검색 속도 개선을 위한 비트 벡터 기반 공간 분할 색인 기법)

  • Yeo, Myung-Ho;Seong, Dong-Ook;Yoo, Jae-So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7
    • /
    • pp.799-803
    • /
    • 2010
  • The KDB-tree is a traditional indexing scheme for retrieving multidimensional data. Much research for KDB-tree family frequently addresses the low storage utilization and insufficient retrieval performance as their two bottlenecks. The bottlenecks occur due to a number of unnecessary splits caused by data insertion orders and data skew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index structure, called as $KDB_{CS}^+$-tree, to process skewed data efficiently and improve the retrieval performance. The $KDB_{CS}^+$-tree increases the number of fan-outs by exploiting bit-vectors for representing splitting information and pointer elimination. It also improves the storage utilization by representing entries as a hierarchical structure in each internal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