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중 반송파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8초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위한 위상 오차 추적 (Phase Tracking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s)

  • 전태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2호
    • /
    • pp.61-6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고속무선통신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 반송파주파수 옵셋(Offset)에 의한 잔류 위상 오차와 샘플링 주파수 옵셋에 의한 잔류 오차를 추적하고 보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는 서로 직교성을 가지는 부반송파들이 디지털 데이터에 의해 변조되어 동시에 전송된다 반송파 주파수 옵셋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신호 대 잡음비의 감소 그리고 인접 부반송파의 간섭 등이 발생한다. 또한 송신단과 수신단에서의 샘플링 주파수의 차이로 인한 샘플링 시점의 오차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성능저하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반송파 주파수의 오차와 샘플링 주파수의 오차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중요한 성질중의 하나인 직교성 상실을 초래하며 이는 성능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수신단에서는 지속적으로 잔류 오차를 추적하여 보상해 주는 방식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무선 채널 환경에서 파일롯 데이터뿐만 아니라 채널이득 정보 및 페이로드 데이터를 주파수 오차 추정에 반영하여 추정오차를 줄이고 이 추정 값을 주파수 오차 보상에 반영하여 성능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시변 채널 하에서의 MC-DS-CDMA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MC-DS-CDMA Systems over Time Variant Channels)

  • 최승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81-586
    • /
    • 2010
  • MC-DS-CDMA 전송 방식에서는 서로 직교성이 있는 여러 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함으로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우수한 성능의 전송이 가능하다. 시변 페이딩 채널은 전송되는 MC-DS-CDMA 신호에 인접 부 반송파 간섭을 발생시켜 수신단에서 데이터 재생 시 비트오류율이 증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MC-DS-CDMA 시스템에서 선호가 시변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때의 시스템 성능을 분석한다. 이러한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에서는 채널 추정 에러, 송수산간 반송 주파수 편차 등에 의하여 시스템 성능이 열화 된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영향들을 모두 고려하여 송선 신호가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때의 데이터 비트오류율 성능을 분석한다.

다중/집중리더 환경에 적합한 다중 직교 부반송파 변조 기반 고속 UHF RFID 시스템 (Multiple Orthogonal Subcarrier Modulation based High-Speed UHF RFID System for Multiple-/Dense-Interrogator Environments)

  • 박형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9호
    • /
    • pp.67-7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직교 부반송파 변조 기반의 새로운 UHF RFID 통신 시스템을 제안한다. 태그 송신-리더 수신 통신에서는 4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1.6 Mbps까지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회로의 복잡도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태그는 부반송파로서 구형파를 사용하고 각 부반송파는 각각의 부하변조기를 이용한다. 다중 직교 부반송파 기반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제안한 통신 방식은 기존의 UHF 대역 RFID 규격을 만족한다. 리더는 OFDM 복조기를 사용한다. 태그가 리더의 CW 반송파를 역산란하므로 리더 복조기에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보정회로는 필요하지 않다. 실험에서는 개발 시스템은 10.8 dB의 잡음 밀도당 비트에너지 비에서 10-5의 비트오율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다중경로 라이시안 페이딩 채널에서 Multi-Carrier DS-CDMA 시스템의 성능 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Carrier DS-CDMA System in Multipath Rician Fading Channel)

  • 김영철;노재성;오창헌;조성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78-390
    • /
    • 2001
  • 본 논문은 다중경로 라이시안 페이딩과 다중접속간섭이 함께 존재하는 단일 셀 내의 Multi-Carrier DS-CDMA 시스템은 오율 성능을 분석하고, 이를 Single-Carrier Ds-CDMA 시스템의 오율 성능과 비교하였다. 또한, 다중경로 페이딩과 다중접속간섭에 의하여 열화된 Multi-Carrier DS-CDMA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해 부호화율이 1/2, 1/3 그리고 1/4인 콘볼루션 부호화 기법을 채용하여, 이로부터 얻어지는 Multi-Carrier DS-CDMA 시스템의 성능 특성을 알아 보았다. 분석 결과, 다중경로 페이딩과 다중접속간섭이 존재하는 채널에서 Single-Carrier DS-CDMA 시스템의 RAKE 수신기의 가지를 증가시키거나 Multi-Carrier DS-CDMA 시스템의 반송파의 수를 적정하게 선택함으로써 시스템의 사용자의 수를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콘볼루션 부호가 적용된 Multi-Carrier CS-CCMA 시스템은 부호이득과 전력제한의 사이의 trade off를 고려하여 부호화율을 선택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Multi-Carrier DS-CDMA 시스템은 반송파의 수가 증가할수록 처리이득은 감소하나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로 인하여 오율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낮은 칩율을 사용한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플러 환경에 강인한 OFDM 반송파 미세 주파수 동기 (Robust fine carrier offset estimation for OFDM in Doppler conditions)

  • 강은수;한동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5호
    • /
    • pp.109-114
    • /
    • 2009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전송방식은 부 반송파의 직교성을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강인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OFDM 시스템에서 주파수 옵셋이 발생하면 부 반송파간의 직교성이 상실되고 서로 간섭을 일으켜 수신 신호의 오류가 증가하게 된다. 본 논문은 기존의 상관 방법을 개선하여 소수배의 옵셋을 예측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임의의 주파수 옵셋을 양과 음의 방향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임의의 주파수 옵셋이 있는 신호간의 상관값을 비교하여 소수배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게 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전산 모의 실험에서 성능평가를 하였다.

VHF 대역 선박 간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실측 해상채널에 기반한 채널 보상과 채널 부호화 기법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Channel Compensation and Channel Coding Techniques based on Measured Maritime Wireless Channel in VHF-band Ship Ad-hoc Network)

  • 전광현;회빙;장경희;김승근;김시문;임용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5B호
    • /
    • pp.517-52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해상 통신 시스템인 SANET (Ship Ad-hoc NETwork)의 우선 전송 규격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VHF 대역의 실측 해상 채널을 분석하여 SANET 채널 모델링을 수행한다. 또한, 프리앰블, guard time, 파일롯을 포함한 단일 및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며, 제안된 프레임 구조 하에서 채널 보상과 채널 부호화 기법에 의한 SANET 시스템의 BER (Bit Error Rate) 성능을 평가 및 분석한다. 결과로 ${\pi}$/4-DQPSK와 ${\pi}$/8-D8PSK를 적용한 단일 반송파 SANET의 경우, differential 변조방식 채택에 의하여 별도의 채널 보상을 하지 않으며, 부호화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컨볼루션 부호화를 적용하기로 한다. 다중 반송파 SANET의 경우에는 해상환경, 파도에 의한 선박의 움직임 등에 의한 K값의 변화를 고려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화 하도록 채널 보상 기법과 컨볼루션 부호화를 적용한다.

OBS 망에서 버스트 충돌 회피를 위한 SCM 기반의 버스트 생성 기법 (Burst Assembly Scheme based on SCM for Avoidance of Burst Collision in Optical Burst-Switched Networks)

  • 이해정;김영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6B호
    • /
    • pp.538-547
    • /
    • 2004
  • 버스트 제어 정보와 버스트를 offset 시간으로 분리하여 전송하는 광 버스트 스위칭 망에서 버스트 충돌 발생은 서비스 품질 저하를 초래하며 이러한 현상은 버스트 크기가 클수록 더욱더 심각해진다. 그러므로 노드에서 버스트 충돌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예방 대책이 반드시 수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광 버스트 스위칭 망에서 제시되고 있는 버스트 충돌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들은 버스트 충돌 발생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Ingress 에지 노드에서 부 반송파 다중화 기술을 이용하여 버스트 전송 크기를 줄임으로써 코어 망에서 스케줄링 시 발생할 수 있는 버스트 충돌 확률을 미리 예방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부 반송파 다중화 기한의 광 버스트 스위칭 망에서 버스트 생성과 전송을 위한 모듈구조와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기법에 대해 파장 개수와 부 반송파 개수에 따른 버스트 손실률, 처리율 및 총 용량 관점에서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OFDM의 전송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erformance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 김남성;강희조;이권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49-45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속 광대역의 정보신호를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M-ary QAM신호와 OFDM전송방식을 사용할 때 반송파의 주파수 옵셋이 발생하는 동기오차가 수신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한 수신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네트워크 기반의 GPS 반송파 상대측위 정확도 향상 (Accuracy Enhancement using Network Based GPS Carrier Phase Differential Positioning)

  • 이용욱;배경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111-121
    • /
    • 2007
  • GPS의 3차원 위치결정은 코드파와 반송파를 이용한다. 하지만 이동체에 대한 cm 수준의 정확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기지점의 성과를 이용한 GPS 반송파 상대측위, 즉 RTK-GPS 기법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 때 두 대의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기선장에 따른 오차가 증가하여 기준국과 사용자 수신기의 거리를 $10{\sim}20km$ 정도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깊은 내륙, 연안 해역 등과 같은 기준국과 이동체의 이격이 수십 km로 증대되는 지역에서는 기준국 설치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독자적인 기준국을 설치하여야 하는 인력 및 장비의 부담을 가지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GPS 반송파 상대측위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GPS 네트워크 처리 프로그램인 DAUNet을 개발하였다. 기선장에 따른 오차보정량 산출을 위해 선형보간알고리즘 방식에 기반한 함수모델과 통계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오차보정량의 보간은 면보정매개변수 방식을 제안하였다. 기존 단일기준국 방식은 기선장에 따른 오차를 소거하지 못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수신기와 평균 30km 떨어진 3대의 기준국을 이용하여 기선장에 따른 오차보정량을 소거 혹은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네트워크 기반의 GPS 반송파 상대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체에 대한 10cm 이하 수준의 정확도를 획득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