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중 반송파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4초

다중 반송파 DS-CDMA 시스템의 항 재밍 성능분석 (Anti-jamming Performance Analyses of Multicarrier DS-CDMA System)

  • 김영준;고재덕;유흥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9-36
    • /
    • 1998
  • 본 논문은 확산된 데이터에 반송파를 1개가 아닌 여러 개의 반송파로 변조하는 MC DS-CDMA 시스템을 적용하여 페이딩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 채널, 즉 Gaussian 채널에서 다중 사용자 간섭 및 부분대역 재머, 최악의 부분대역 재머 간섭하에서 성능을 분석하여 단 일 반송파를 사용한 기존의 DS-CDMA 시스템과 비교 분석한다. 또한, Gaussian채널에서 고려된 간섭들에 대해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에서 시스템 성능을 분석하고 Gaussian채널에 서 분석된 시스템 성능과 비교한다.

  • PDF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들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 Carrier Transmission Techniques)

  • 최승국;이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27-933
    • /
    • 2005
  •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에서는 데이터 전송 시, 서로 직교성이 있는 여러 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성능이 우수한 전송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들을 사용했을 때의 전송시스템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시스템들에서 데이터가 다중 경로 Rayleigh 페이딩 환경 하에서 전송될 때의 데이터 비트 에러율을 분석한다.

실시간 다중 기준국 GNSS/GPS 반송파 미지정수 결정 기술 연구

  • 박재익;이은성;허문범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57.1-157.1
    • /
    • 2012
  • 1990년대 제안된 RTK(Real-Time Kinematics)는 GNSS/GPS 반송파 위상(carrier phase) 관측값을 이용한 방식으로 cm 수준의 정확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어 측지 측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중요한 단점은 이 방식을 사용하는 기준국과 사용자는 10~20km 이내에 존재해야만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해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궤도오차, 대류층 및 전리층 오차에 공간 상관성(spatially correlated) 있기 때문인데, 사용자 주변을 둘러싼 다중 기준국들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보상하거나 모델링하여 줄이는 방식인 다중 기준국 네트워크 기반의 RTK 알고리즘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중 기준국 네트워크 기반의 RTK 프로세스에서 기준국간 미지정수 결정은 전 과정의 핵심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으며, 관련되어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연구되어 왔다. 특히, 198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후처리 기반으로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는 Blewitt에 의해 전리층 제거 조합과 Wide-lane 반송파 위상 조합을 활용한 미지정수 검색 방법이 대표적이며 이후에도 Gao, Colombo등 다양한 연구자에 의해 활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다중 기준국 반송파 미지정수를 결정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L1, L2 관측값 조합으로 인한 관측값의 잡음 수준이 증가하는 영향을 피하기 위해 L1, L2 반송파 위상 및 의사거리를 그대로 관측값으로 사용하여 사용자 위치 및 속도, 기준국간 이중 차분된 전리층 지연 수직성분, 대류층 wet 지연 수직 성분, 이중 차분된 미지정수를 미지의 상태변수로 확장 칼만필터를 통해 직접적으로 추정하는 방식으로 미지정수의 실수해를 결정하였고, 정수해는 실시간에 적합한 MLAMBDA 기법과 비율테스트를 통한 정수해 검정기법을 통해 결정하였다.

  • PDF

UHDTV 시스템을 위한 다중 반송파와 단일 반송파 기반 전송 방식의 수신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Multi-Carrier and Single-Carrier Based Transmission Techniques for UHDTV Systems)

  • 이유리;강인웅;김형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7호
    • /
    • pp.380-388
    • /
    • 2014
  • 세계 여러 나라들은 향상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상파 UHDTV (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전송방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다중경로에 강건한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다중 반송파 전송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하는 DVB-T2 (Digital Video Broadcasting 2nd generation Terrestrial) 표준에 향상된 대용량 데이터 압축기술을 더해 UHDTV 실험 방송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다중경로에 취약하다고 알려진 단일 반송파 전송방식에서도 수신기에서 주파수 영역에서 채널 등화를 수행하는 SC-FDE (Single Carrier-Frequency Domain Equalizer)를 사용하면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두 방식 간의 성능 차이가 미미하게 나타난다. 이를 고려해 본 논문에서는 UHDTV 방송을 위해서 고차 신호 성상을 전송하는데 다중 반송파와 단일 반송파 중 어느 방식이 적합한지에 대한 판단 근거를 제공하고자 두 방식의 수신 성능을 비교한다.

수중 음향 채널에서 가변 전송율 다중 반송파 CDMA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Variable Rate Multi-carrier CDMA under an underwater acoustic channel)

  • 강희훈;한완옥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3-38
    • /
    • 2012
  • 수중 음향 채널은 매우 복잡하고 지속적인 시변 특성을 가지므로 양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수중 음향 채널의 열악한 환경에 대해서 신뢰성이 있고 강건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전송율을 가변시키는 다중 반송파 CDMA(MC-CDMA)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한다. 제안한 시스템에 적용한 가변 전송율 알고리즘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율을 순시 채널 조건의 함수로 계산하여 채널의 정보를 파악한다. 채널 상태 정보의 획득은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고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가변 전송율 다중 반송파 CDMA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한다. 또한 다중 반송파에 적용하는 확산부호들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한다.

PTS기법을 이용하여 PAPR 감소에 의한 MMoF-OFDM 시스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MoF-OFDM System by PAPR Reduction using PTS Technique)

  • 최경호;김창중;이호경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93-296
    • /
    • 2005
  • 본 논문은 MMoF 시스템의 광학채널을 비선형 채널로 가정하고, 단일 반송파 전송 기법을 사용한 경우와 다중 반송파 전송 기법을 사용한 경우의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MMoF-OFDM 시스템의 성능이 단일반송파를 이용하는 MMoF 시스템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PAPR을 개선하기 위하여 PTS 기법을 사용하면 PAPR을 낮출 수는 있었지만 시스템의 성능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다중 반송파 정현 펄스폭 변조방식으로 제어되는 Cascaded H-bridge 멀티레벨 PWM 인버터의 스위칭 손실 저감을 위한 스위칭 패턴 (Switching pattern for decreasing switching loss in cascaded H-bridge multilevel PWM inverter controlled by sinusoidal pulse width modulation with multi-carrier waves)

  • 최진성;김기두;정보창;강필순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2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반송파 정현 펄스폭 변조방식으로 제어되는 Cascaded H-bridge 멀티레벨 PWM 인버터의 스위칭 손실 저감을 위한 스위칭 패턴을 제안한다. 부하 담당 전력이 상대적으로 큰 H-bridge 모듈의 스위치는 저주파의 기본 출력 전압 레벨을 형성하도록 동작시키며, 부하 담당 전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H-bridge 모듈의 스위치는 고주파의 PWM 파형을 기본파에 가감하여 출력전압 파형이 사인파에 가까워지도록 스위칭 패턴을 형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스위칭 패턴을 PD, APOD 방식의 다중 반송파 정현 펄스폭 변조방식으로 구현하여 Cascaded H-bridge 멀티레벨 PWM 인버터에 적용시키고 실험을 통해 기존의 스위칭 패턴에 비해 스위칭 손실이 개선됨을 증명한다.

  • PDF

자세결정시의 GPS 반송파 다중경로 오차 추정 (GPS Carrier Multipath Estimation While Attitude Determination)

  • 이은성;천세범;이영재;강태삼;지규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5-70
    • /
    • 2005
  • 잘못된 미지정수는 잘못된 위치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자세결정에 큰 오차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하는 항체에 4개 이상의 GPS 안테나를 고정시켜 정확한 자세결정을 수행할 때 다중경로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4개 이상의 GPS 안테나에서 얻은 측정값이 같은 수신기 시계오차를 갖게 되면, 안테나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자세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반파장으로 만들어 미지정수 검색의 과정 없이 미지정수를 결정하고, GPS 반송파 측정값에 존재하는 다중경로 오차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은 GPS 반송파 측정값의 다중경로 오차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수학적인 증명을 하였으며, 이 결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다중 반송파 CDMA 네트워크에서 부분 대역 간섭의 영향 (Effect of Partial-Band Interference in Multi-Carrier CDMA Network)

  • 노재성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87-191
    • /
    • 2004
  • 모바일 통신 채널의 빠른 변화는 다중 반송파 변조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반송파 CDMA 네트워크의 BER 성능을 분석하였고 등가 신호 대 전체 잡음 전력비를 라이시안 페이딩, 부분대역간섭 다중접속 사용자 간섭채널에서 유도하였다. MC-CDMA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등가 SNIR을 사용하여 MC-CDMA/BPSK 신호의 성능을 부분대역간섭의 점유율과 간섭 전력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그리고 다중반송파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QoS를 향상하기 위한 부분대역간섭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였다.

  • PDF

연속적인 다중 위상 검출을 이용한 트렐리스 부호화된 MDPSK-OFDM (Continuous Multiple Phase Differential Detection of Trellis-coded MDPSK-OFDM)

  • 안필승;김한종;김종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68-57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트렐리스 부호화된 MDPSK-OFDM의 차동검파에서 BER(bit error rate)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 위상 검파를 수행한다. 제안된 비터비 디코더는 다중 위상차를 가지 메트릭으로 사용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다중 위상 검출 방식이며 이러한 가지 메트릭을 사용하는 비터비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 위상 검출을 이용한 MDPSK-OFDM은 대역폭과 전력의 효율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같은 SNR에서 BER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제안된 디코더 방식과 알고리듬은 다중 반송파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단일 반송파 변조에도 사용됨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