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중접지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Measuring the Grounding Resistance Using the Leakage Current in the Ground Conductor (접지선 누설전류를 이용한 접지저항 측정에 관한 연구)

  • Kang Moon 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515-517
    • /
    • 2004
  • 현재 배전선로는 4가지 접지종별을 준용하여 피뢰기, 가공지선, 변압기, 기기류, 중성선 둥을 접지시공하고 있다. 또한 규정된 접지저항값에 따라 접지전극을 시공하고 2년에 1회 주기적으로 접지저항값을 측정하고 관리하고 있다. 현재 접지저항값의 측정에는 휴대가 간편하고 측정이 용이한 HOOK-ON 접지저항계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HOOK-ON 접지저항계는 $\pm$5[\%]$정도의 측정오차 뿐만 아니라 측정선 전류가 1[A]를 초과하는 경우 변류용 철심이 포화되어 측정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OOK-ON 측정기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다중접지 배전계통에서 부하 불평형 및 고조파 둥에 의해 발생하는 접지선 누설전류를 전류원으로 이용하는 접지전극의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새로운 측정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실제 배전계통에 적용하여 전위강하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접지저항값과 비교하였다.

  • PDF

배전산업의 현대화 22.9kV-y 다중접지 배전방식의 도입

  • 황원서
    • 전기의세계
    • /
    • v.46 no.7
    • /
    • pp.25-27
    • /
    • 1997
  • 우리나라 배전전압은 1917년 경성전기주식회사가 표준 배전전압으로 3.3kV를 채택한 이래 1960년대 중반까지는 3.3kV, 5.7kV-y, 6.6kV이었다. 1965년 10월, 경북 칠곡군 약목변전소 관내의 당시 박정희 대통령 생가 인근을 통과하는 22kV 비접지 송전선로 9km에 다중접지된 중성선을 추가시설, 3상 4선식 배전선로화하여 4개부락 40kV의 부하를 공급함으로써 우리나라에 22.9kV-y 중성선 다중접지 배전방식 도입의 효시가 된 이래, '22.9kV-y승압'사업은 1970년부터 1986년까지 한전의 배전분야 최우선사업으로 전국 방방곡곡에 걸쳐 시행되었다. 이제는 서울 일부와 제주도에서만 시행중으로 종료단계인 오늘에 이르기까지, '22.9kV-y승압'은 한전의 본사와 전국의 사업장에서 수많은 배전분야 종사자들이 총력을 기울여 이룩한 세계 전력 산업사에 그 유례가 드문 격상에 의한 배전전압 단일화 사업으로써, 배전사업 현대화의 중심사업이었다 하지 않을 수 없다.

  • PDF

Measurement of Resistance of Multi-Grounded System by Ground Current Measurement (접지전류 측정에 의한 다중 접지계통의 접지저항 측정)

  • 최종기;안용호;정길조;한병성;김경철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 /
    • v.53 no.4
    • /
    • pp.234-237
    • /
    • 2004
  • Measuring ground resistance has been a popular method of evaluation of the grounding electrode performance. If some portions of grounding electrodes are lost by corrosion, aging or other reasons, consequent deteriotation of the grounding performance would be resulted. It is one of the reasons why it is requir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grounding systems regularly. However, in case of the electric facilities with multi-grounded system such as power substations with multi-grounded overhead ground wires and/or distribution line neutrals,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disconnect neutrals or skywires from the substation grounding mesh for the ground resistance measurement. In this paper, a method for the grounding performance measurement of multi-grounded systems, which is based on the measuring ground current distributions, has been proposed. A field test results has shown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test method.

Measurement of Resistance of Multi-Grounded System by Ground Current Measurement (접지전류 측정에 의한 다중 접지계통의 접지저항 측정)

  • 최종기;안용호;정길조;한병성;김경철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B
    • /
    • v.53 no.4
    • /
    • pp.234-234
    • /
    • 2004
  • Measuring ground resistance has been a popular method of evaluation of the grounding electrode performance. If some portions of grounding electrodes are lost by corrosion, aging or other reasons, consequent deteriotation of the grounding performance would be resulted. It is one of the reasons why it is requir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grounding systems regularly. However, in case of the electric facilities with multi-grounded system such as power substations with multi-grounded overhead ground wires and/or distribution line neutrals,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disconnect neutrals or skywires from the substation grounding mesh for the ground resistance measurement. In this paper, a method for the grounding performance measurement of multi-grounded systems, which is based on the measuring ground current distributions, has been proposed. A field test results has shown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test method.

Study on the Safety of the Grounding Rods in the Distribution System (IEEE Std 80에 따른 배전용 접지동봉의 안전성 검토)

  • Kang, Moon-Ho;Lee, He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470-471
    • /
    • 2006
  • 다중 접지 배전계통에서 발생하는 이상전압으로부터 전력설비의 안정적인 운영과 인체안전을 위해 주로 봉상 접지전극을 이용하여 대지방전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접지종류별로 접지 저항값을 규정하고 이를 시공에 적용하고 있다. 지락고장이 발생하면 접지전극으로 유입되는 고장전류에 비례하여 대지전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인체 안전성측정 및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EE Std 80에서 제시하는 안전성 기준에 기초하여 다중 접지 배전계통에서 접지전극으로 널리 사용되는 봉상 접지전극을 대상으로 상용주파전류를 인가하여 대지전위상승에 따른 접촉전압을 측정하였으며, CDEG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폭전압을 모의하였다. 또한 이 값을 IEEE Std 80에서 제시하는 최대 허용 보폭전압과 접촉전압과 비교하여 인체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 PDF

Derivations Of Formulas For Electromagnetic Inductive Potentials In The Communication Line By The Fault Of Multi-Grounding Distribution System (다중접지배전선로 고장에 기인한 인근 통신선로 전자유도전압의 계산공식의 유도)

  • Young Moon Park
    • 전기의세계
    • /
    • v.20 no.6
    • /
    • pp.22-28
    • /
    • 1971
  • 3상 4선식 다중접지배전선로에서 고저압혼촉이나 1선지락이 발생하면 인근 통신선로에 전자유도전압이 유기되는데 이 유도전압의 정확한 예측은 전자유도장해의 방지책을 강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유도전압을 계산하는 이론식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Earth Resistance Measurement Method by Clamp-one Type Current Comparison (클램프온식 전류비교 접지저항 측정방법)

  • Jeong, M.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353-355
    • /
    • 2007
  • 피접지체의 접지는 전력설비의 절연파괴,낙뢰 등으로 전압이 침입할 경우 접지전극의 접지저항이 높으면 접지전극으로 유입되는 전류와 접지저항의 곱에 해당하는 접지전극의 전위가 상승하게 되므로 설비의 파손 인축의 피해 등이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지저항은 낮은 값으로 유지하는것이 필요하고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대표적인 접지저항측정방법으로는 3전극법(Fall of potential method)과 Hook-on 측정법이 있다. 그러나 3전극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접지전극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전류를 흘려주고 이때 대지 전위를 측정 할 수 있는 2개의 보조전극 설치가 필수적이나 접지극과 접지선의 단자와는 설치 위치가 다르므로 접지전극의 설치점을 확인하기 곤란하고 건물내부, 지하철, 터널 등에는 보조전극의 설치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처음 설치한 접지극의 접지저항측정관리에 어려움이 크다. 또한 Hook-on 측정법은 다중 접지 계통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접지극이 수십 또는 수백개를 병렬로 연결한 경우 측정하고저 하는 접지그의 접지저항값에 비해 나머지 접지전극 전체의 합성저항이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적은 경우에만 측정할 수 있으므로 건물이나 변전실 등 수개의 접지극이 설치된 경우는 사용할 수 없다. 본 연구는 보조전극을 설치하지 않고 측정하고자하는 접지전극 상호간의 전류분배 비율을 저항의 역수 비율로 하여 각각의 접지 전극의 접지저항값을 운전 중인 상태에서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접지저항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 PDF

Substation Grounding Performance Evaluation by Ground Current Measurement (지락전류 분류계수 측정에 의한 변전소 접지성능 진단)

  • Choi Jong kee;Ahn Yong Ho;Ryu Hee Young;Jung Gil Jo;Lee Bong Hee;Han Byung Sung;Kim Kyung 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594-596
    • /
    • 2004
  • 부식이나 경년열화 등으로 인한 변전소 접지성능 저하에 대한 대책마련을 위하여 정기적인 변전소 접지저항의 측정은 필수적이라고 한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접지저항의 측정을 위하여 변전소 접지망과 연결되어 있는 외부접지계통, 즉 배전 중성선이나 송전선로 가공지선의 다중접지계통을 분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접지시험을 위한 시험전류를 주입하고 가공지선 및 중성선으로의 분류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운전 중인 상태에서 변전소 접지망 단독의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시스템, 측정기법 및 사례연구를 제 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