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중이용시설 위험성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Research of Security Measures in Soft Target against Terrorist Attacks (국내 다중이용시설 테러안전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Oh, Hangil;Ahn, K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37-138
    • /
    • 2022
  • 2022년 7월 8일 일본 전 총리 아베는 나라현의 야마토사이다이지 역에서 야마가미 데스야의 사제총격에 심각한 총상을 입고 과다출혈로 사망하였다. 다중이용시설에서의 테러안전관리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 본 사건은 다중이용시설 테러안전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테러사례이다. 국내와 유사한 테러환경을 갖춘 인접국가 일본 발생한 테러사건이므로, 국내 다중이용시설 테러안전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있다. 대한민국은 세계적으로 높은 인구밀도와 원스톱 서비스의 선호 욕구로 인해 대부분의 다중이용시설들은 운송·판매·문화 및 집회 등의 기능이 다양하게 복합된 시설로 발전해 가고 있어, 테러리스트의 테러대상 선정의 3가지 요건인 접근성(Easy-Access), 상징성(symbolism), 미디어 집중성(Media Attention)을 갖춘 매력적인 테러대상시설이 되어 가고 있다. 또한, 최근 국제테러 동향을 살펴보면, 국가중요시설, 군사시설과 같은 하드 타겟(Hard Target)보다 엔터테인먼트, 문화, 관람, 카지노, 시장, 플라자, 광장, 소매점, 대형마트 등의 판매·문화 및 집회시설인 소프트 타겟(Soft Target)에서 고 위험성의 테러가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는 추세로 다중이용시설은 테러안전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해져 가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다중이용시설 테러안전관리를 위한 지도·점검 및 시설 취약요인 사전제거 활동 등 대부분의 대테러 활동이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소프트 타겟은 『테러방지법 제25조 시행령』(테러대상시설 및 테러이용수단 안전 대책 수립)과 『테러대상시설 및 테러이용수단 시설의 안전대책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정부에서는 대테러 활동을 매년 상시적으로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다중이용시설의 테러안전관리 문제점과 취약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Research of Terrorist Attacks Risk in Soft Target (국내 다중이용시설 테러 위험도 분석)

  • Ahn, Kyewon;Oh, H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41-142
    • /
    • 2022
  • 세계무역센터를 대상으로 발생한 9.11.테러 이후 세계 테러 동향은 하드타겟에서 경성타겟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경성타겟으로 목표 변화는 테러리스트의 접근성, 대상의 상징성, 미디어 집중성을 고루 갖추고 있어, 테러리스트들의 의사 전달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경성타겟으로 변화와 함께 미디어를 활용한 테러 교육으로 자생테러(외로운 늑대)도 증가하고 있다. 2022년 7월 8일, 일본의 다중이용시설인 나라현 야마토사이다이지 역에서 총기테러 사건이 발생하였다. 야마가미 데스야가 자생테러범은 개조한 사제 총기를 일본 전 총리 아베를 향해 발포하여 과다출혈로 사망에 이르게 하였다. 위 사례는 세계 테러 동향의 변화를 반영한 사건으로, 경성타겟을 목표로 한 자생테러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중이용시설 테러 발생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고위험 테러유형을 도출하고자, 우리나라와 국가 경쟁력이 비슷한 G7국가의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발생한 테러사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테러유형별 위험도를 도출하였으며,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자행되는 고위혐 테러유형의 위협을 차단하기 위한 테러안전관리 대책의 개선사항을 제언하고 있다.

  • PDF

다중이용시설의 화재위험과 방재대책

  • Sin, Byeong-Cheol
    • 방재와보험
    • /
    • s.118
    • /
    • pp.10-16
    • /
    • 2007
  • 다중이용업소는 화재위험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화재안전은 항상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다중이용업소의 현황과 화재 위험성 및 방재 측면의 개선방향 등에 대하여 간략히 기술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Steep Slopes Adjacent to Multi-use Facilities in National Parks using GIS (GIS를 활용한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 인접 급경사지 평가)

  • Lee, Dong Hyeok;Jun, Kye Won;Jung, Min Jin;Park, Jun H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4 no.4
    • /
    • pp.29-36
    • /
    • 2021
  • Recently, due to climate change, the slope is increasing, and the risk of steep slope disasters such as the occurrence of slope collapse in the east coast and Busan region in 2019 and the Gokseong landslide in 2020 is increasing. Particularly, most national parks are made up of mountainous areas, and the risk of disasters on steep slopes is increasing. As the ground of the national park is aging and the weathering and jointing of the bedrock are accelerating due to climate change, the slope collapse and rockfall are increasing, and the annual number of visitors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manage steep slopes adjacent to multi-use facilities with many users. In this study, dangerous steep slopes that affect multi-use facilities in national parks were analyzed using GIS and verified through field surveys. As a process for extracting steep slopes adjacent to multi-use facilities in national parks, the slope was made in DEM and slopes of 34 degrees or higher were extrac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heights of the extracted slopes was used to confirm that the slopes met the standard for steep slopes, and the analysis of the slope direction was used to confirm whether it had an effect on the multi-use facilities. After that, precision aerial images and field photos were analyzed to finally identify risks at 4 sites,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all 4 sites were found to be steep slopes, 3 were graded D and 1 was graded C, so it was confirmed that management was required as a risk of collapse. All steep slopes extracted through GIS were found to be dangerous, so it is judged that the extraction of steep slopes through GIS would be appropriate.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ire Equipment in Multiple Complex Center (다중 복합문화센터에서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 Kim, Kwang-Tae;Kim, S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1-104
    • /
    • 2012
  • 본 연구는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에서 피난설비 및 피난동선의 적합성 여부와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와 같은 시설에서 화재나 비상시에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적정성 여부와 소화설비의 적정한 설치 및 유지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조사 결과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구조적 문제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많은 사람이 일시에 몰려들 경우 노약자와 어린이는 부상의 위험성이 높았고,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시스템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전문성과 적정 유지관리시스템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지하층에서 지상으로 완전 피난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 PDF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Toxic Gases Released from the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Entertainment Service Industry Buildings (다중이용시설 바닥마감재의 연소가스 독성평가에 관한 실험 연구)

  • 강성동;이창우;현성호;윤명오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6 no.2
    • /
    • pp.14-21
    • /
    • 2002
  • The several floor finishing materials that widely used in entertainment service industry build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NES 713. Also, toxic gases of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combustion without air flow rate were checked as concentration of fire gases variation according to time using gas analyzer. We had estimated the smoke hazard of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fire. As results of gas analyses using the method of NES 713, toxic index of samples was estimated range of 2~9.7. Therefore, a large amount of toxic gases will release from a floor finishing materials fire and connoted great smoke hazard in fire.

Study on the Appropriate Use of Weapons by Private Security Guards: Focusing on Public Crowded Places (민간 경비원(보안요원)의 정당한 무기사용 방안 연구: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 Hangil Oh;Kyewon Ahn;Ye ji Na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4
    • /
    • pp.936-949
    • /
    • 2023
  • On August 3, 2023, a brutal incident of unprovoked violence, termed as "Abnormal motivated crime," occurred in a multi-use facility, where retail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converge, near Seohyeon Station. The assailant drove onto the sidewalk, hitting pedestrians, and then entered a department store where a knife rampage ensued, resulting in a total of 14 victims. In the aftermath of this incident, numerous murder threats were posted on social media, causing widespread anxiety among the public. This fear was further exacerbated by the emergence of a "Terrorless.01ab.net" service.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necessary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private security personnel who protect customers and employees in multi-use facilities, to enable them to perform their duties more effectively. Method: To assess the risk of Abnormal motivated crime, a time series analysis using the ARIMA model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omestic trends of such crimes. Additionally, Result: the study presen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n the domestic security service law and emergency manuals for multi-use facilities. Conclusion: This is informed by a legal analysis of the indemnity rights for weapon use by private security guards abroad and their operational authority beyond weapon usage.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Disaster Evacuation Support in Indoor Space (실내공간의 재난 대피지원 통합관제체계 구축 방안 연구)

  • Lee, Jong-Hoon;Jung, Tae-ho;Son, Min-Ho;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25-226
    • /
    • 2020
  • 현대 사회에서는 재난의 유형과 피해가 다양해지고 이에 따른 위험성이 증가하여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운영 및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의 대형화, 복잡화로 인하여 대규모 상업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은 실내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재난 발생 시 안전한 대피 경로를 파악하여 이동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발생 시에 대규모 시설 내에서 이용자가 안전한 대피경로를 확인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통합관제체계 구축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통합관제체계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연계하여 재난 발생 시, 시설 이용자에게 안전한 대피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실내 공간에서의 대패를 지원할 수 있다.

  • PDF

A Fundamental Study on the Fire Protection Management for Private Museum (사립박물관 소방분야 관리 실태에 관한 기초 연구)

  • Song, Chang-Young;Lee,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31-334
    • /
    • 2015
  • 박물관은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 귀중한 문화유산적 가치가 있는 소장품을 보관 전시하는 등 교양, 조사연구, 예술활동 등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박물관의 소장품을 위협하는 요소 중 화재로 인한 피해는 소장품을 순식간에 파괴하여 복구 불능 상태가 될 수도 있어 가장 위험이 큰 재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4조의 6에서는('15년 12월 31일 시행), 다중이용시설 등의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기상황에 대비한 매뉴얼을 작성 관리토록 되어있다. 하지만 연면적 $3,000m^2$ 이상의 대규모 사립박물관만 해당되며 대다수 사립박물관은 재정적으로 취약하고 소규모 시설로 인해 화재를 비롯한 각종 재난안전관리에 매우 취약하여 소중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 유물들이 소실될 수 있는 높은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 소규모의 사립박물관 50개소를 선정하여 화재안전에 대비한 소방분야의 관리실태를 점검하고 향후 안전관리 교육 훈련 프로그램 또는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Terrorism Threat Level of Domestic Tall Buildings and General Buildings through Rapid Visual Screening (Rapid Visual Screening통한 건물 높이별 테러위험도 비교 분석)

  • Song, Jin-Young;Yoon, Sung-Won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1 no.4
    • /
    • pp.89-99
    • /
    • 2011
  • As the scope of the target of terrorism is recently extending, the danger of domestic terroristic attacks is increasing constantly, and the form of terrorism is changing from hard targets such as significant facilities of the country into soft target of multi-complex buildings such as skyscraper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terrorism threat level on skyscrapers by comparing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terrorism threat level on skyscrapers and high-rise buildings with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terrorism threat level on low-rise buildings through fema 455 - Rapid Visual Screening. As a result, skyscrapers and high-rise buildings are relatively higher threat rating than consequences and vulnerability rating.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terrorism threat level on skyscrapers is high due to their residents and their national or regional symbolism and vi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