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양한 해결 방법

Search Result 3,64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Development of the Sensor Registry System for Semantic Processing of Sensory Data (센서 데이터의 의미 처리를 위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개발)

  • Doo, Migyeong;Ha, Su Wook;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99-102
    • /
    • 2010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센서 간 상호운용성 유지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서로 이질적인 센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센서 간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하며, 특히 센서 데이터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센서가 제공하는 센서 데이터뿐 아니라 센서의 종류와 측정단위, 관리기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센서 데이터의 의미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센서 데이터의 의미관리에 대한 높은 구축비용 문제와 동적인 의미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향상된 의미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ISO/IEC 11179 개념을 적용하여 의미 관리 및 처리 연산을 수행하며, 동적인 의미 관리와 낮은 의미 구축비용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지닌다.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 Lee, Seung-Chul;Kim,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111-114
    • /
    • 2018
  • 4차 산업혁명의 특징 중 하나는 생산과 소비의 결합이다. 이제는 소비자가 직접 구매할 물건의 생산에 관여하고, 직접 필요한 물건을 생산한다. 이는 다양한 제작도구들이 보편화되면서 가능해졌다. 이런 흐름으로 세계적으로 메이커 운동, 메이커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메이커들은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하여 무언가를 만들고 공유한다. 이런 공유문화는 메이커들의 축제인 메이커 페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창의적인 메이커를 교육을 통해 길러내야 될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으며, 메이커 교육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디자인 사고가 있다.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는 실제 제품을 사용할 소비자에게 공감하여 이해한 뒤, 다양한 대안을 찾는 확산적 사고,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방법을 찾는 수렴적 사고의 반복을 통해 결과물을 도출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이다. 현재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다양한 메이커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이를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교육이라도 교사들이 모른다면 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기 때문에 메이커 교육을 학교 현장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Modified Edit Distance Method for Finding Similar Words in Various Smartphone Keypad Environment (다양한 스마트폰 키패드 환경에서 유사 단어 검색을 위한 수정된 편집 거리 계산 방법)

  • Song, Yeong-Kil;Kim, Hark-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2
    • /
    • pp.12-18
    • /
    • 2011
  • Most smartphone use virtual keypads based on touch-pad. The virtual keypads often make typographical errors because of the physical limitations of device such as small screen and limited input methods. To resolve this problem, many similar word-finding methods have been studied. In the paper, we propose an edit distance method (a well-known string similarity measure) that is modified to consider various types of virtual keypads.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covers typographical errors in various keypads by converting an input string into a physical key sequence and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virtual keypads to edit scores. In the experiments with various keypads, the proposed method showed better performances than a typical edit distance method.

A Study on the Measurement in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 Lee, Dae Hyun
    • School Mathematics
    • /
    • v.16 no.1
    • /
    • pp.1-17
    • /
    • 2014
  •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 mathematics is connected with problem sol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elementary students' the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which required to solve a mathematical problem in different ways. For this research, I examined and analyzed the response to four multiple solution task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ystem of mathematical creativity which consisted of the factors of creativity(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The finding showed that mathematical creativity was different between students with greater clar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in tasks was different. So I questioned the possibility of analysis of students' the mathematical creativity in mathematical area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ystem of mathematical creativity of this research, mathematical creativity was proportional to the fluency. But the high fluency and flexibility was decreasing originality because it was easy for students to solve multiple solution tasks in the same ways. So, finding of this research can be considered to make the criterion in both originality in rare and mathematical aspects.

  • PDF

LDA-based Approach for URI Disambiguation and Error Reduction (URI 중의성 해소 및 오류 감소를 위한 LDA 기반 접근법)

  • Kim, Jiseong;Kim, Youngsik;Hahm, Younggyun;Hwang, Dosam;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107-111
    • /
    • 2014
  • URI 중의성 해소 문제는 주어진 문서 내의 특정 단어에 연결 가능한 여러 URI가 주어졌을 때 진짜 URI 하나를 선택해내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제는 다양한 해결법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기존에 연구된 문서의 문맥 간 유사도를 이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본 논문에서는 사용한다. 문맥 간 유사도를 이용하는 방법은 영어 디비피디아 URI spotting에서 TF*ICF방법으로 이미 연구가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이용하여 URI 중의성 해소 문제를 다룰 것이며 그 범위를 한국어 디비피디아로 한정한다. 새로 제안하는 방법이 URI 중의성 해소 문제를 얼마나 잘 해결하며,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얼마나 향상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기존의 방법과 새로 제안한 방법 각자가 고유하게 풀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함을 보이고, 두 방법을 병합하였을 때 보다 높은 성능에 도달할 수 있음을 전망한다.

  • PDF

해외안테나 - 관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보자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8 s.51
    • /
    • pp.52-56
    • /
    • 1997
  • 현재 전산망은 매우 복잡해지고 있다. 때문에 전산실에 근무하는 관계자들의 근심은 날로 늘어가고 있다. 집중되는 업무 부하는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전산실 관계자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관련업계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해결해 주는 방법으로 관리툴을 다양하게 제공해 주고 있다.

  • PDF

Adult Image Blocking using Feature Extraction based BP Neural Network (특징 추출 기반 BP 신경망을 이용한 성인 영상 차단)

  • Kim, Jong-Il;Lee, Jung-Suk;Ahn, Hyun-Sik;Jeong, Gu-Min;Kim, Do-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b
    • /
    • pp.349-351
    • /
    • 2005
  • 현재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들에 의해 많은 정보가 공유되고 있으며, 유익한 정보들과 더불어 성인물과 같은 유해한 정보들이 있다. 이로 인하여 여러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성인 영상 차단을 위한 연구도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주로 색상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살색과 유사한 영상이나 노출이 심한 영상에는 성인 영상 검출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성인 영상 차단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제안된 살색 검출을 이용한 방법을 기반으로 성인 영상물로 판정될 수 있는 신체 부위를 검출함으로써 강인한 성인 영상 차단을 한다. 신체 부위에 대한 판별을 위해 여러 기저 영상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이 벡터를 Back Propagation(BP) 신경망의 데이터로 이용하여 학습한다. 제안한 성인 영상 차단 방법의 성능을 여러 장의 살색과 유사한 색상의 물체 영상과 노출이 심한 영상, 성인 영상을 이용한 종합적인 실험 결과인 성인 영상 검출률을 통해 증명한다.

  • PDF

Handwritten Hangul Recognition by Dynamic Lattice Search with Structural Constraints (문자의 구조적 제약과 동적 격자 탐색을 이용한 필기 한글 문자 인식)

  • Kang, Kyung-Won;Kim, Jin-H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359-364
    • /
    • 2001
  • 필기 한글문자 인식은 다양한 필기 변형, 자모 간의 접촉과 같은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랜덤 그래프를 이용한 필기 한글 모델링이 제안되었으나, 상향식 정보처리의 한계인 시간 복잡도 문제를 겪고 있다. 영어 단어인식에 관한 인지과학적 연구에서는 하향식 정보처리의 주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인식 과정에서의 계산 중복을 없애는 필터링의 역할을 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랜덤 그래프를 이용한 필기 한글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여 필기체에 나타나는 다양한 변형을 흡수하며, 시간 복잡도를 해결하기 위한 한글 문자의 구조에 바탕을 둔 하향식 정보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모델 발화를 이용한 자모 후보 추출 DP 정합과 동적 격자 탐색을 이용한 문자 후보 탐색, 그리고 문자의 구조적 제약을 이용한 후보 제거 기법을 포함한다. 필기 한글 데이터베이스인 SERI-DB에 대한 예비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인식률의 큰 저하 없이 상향식 정보 처리에 바탕을 둔 기존 방법에 비해 높은 속도 향상을 가져 왔다.

  • PDF

Automatic Generation of Seed Individuals for Efficient Incremental Evolutionary Learning (효율적인 점증적 진화학습을 위한 씨앗개체의 자동생성)

  • 송금범;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6-8
    • /
    • 1999
  • 시뮬레이션 환경이나 실제 환경에서 이동 로봇 제어기를 진화 알고리즘으로 만들어내는 연구가 최근 활발하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순한 진화 알고리즘이 환경에 제한된 제어기를 만들어 내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셀룰라 오토마타 기반 신경망의 점증적 진화방법을 제시하였다. 점증적 진화 방법은 초기에 간단한 행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환경에 맞도록 제어기를 진화시킨 다음, 점차 복잡한 행동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제어기를 점증적으로 진화시킨다. 실험결과, 점증적 진화의 방법이 좀 더 효율적으로 로봇을 진화시키고 환경의 변화에 보다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전연구에서의 점증적 진화 방법은 한 단계에서 진화가 끝난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갈 개체를 사람이 선택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유용성을 보이고자 한다.

  • PDF

Illumination Invariant Face Recognition based on the Synthesized Exemplars (합성 대표영상에 기반 한 조명 변화무관 얼굴 인식)

  • 문송향;이상웅;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685-687
    • /
    • 2004
  • 최근 생체 인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다양한 환경 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조명 변화를 처리하기 위한 연구들이 세계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방법들은 다수의 등록영상이나 조명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는 제약조건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방법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명 대표영상의 선형 분석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공인된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방법 이 기존의 다른 방법에 비하여 안정적인 인식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