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양한 유형의 지식 활용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building the KMS for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 Based on the Power Process Methord - (리더십 향상을 위한 지식경영시스템 구축방안 -POWER PROCESS를 중심으로)

  • Lee Byung-Ku;Lee K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1-367
    • /
    • 2006
  •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리더십 특성요인연구, 리더십 contingency 연구, 특성이론적 접근, 행동적 접근, 상황이론적 접근 등이 있으나, 이러한 접근방법이 언제나 긍정적인 리더십을 유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긍정적이고 일관된 리더십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청된다.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문헌연구에서 볼 때 리더십은 파워라는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다. 파워는 사람으로 하여금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능력이며, 문헌에 나타난 리더십의 개념은 조직구성원으로 하여금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하게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리더십은 권력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을 power process에 기초한 권력순환적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Power process는 권력요소, 가치, 욕구, 환경, 관계의 다섯 가지 권력결정요소들의 상호작용 과정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power process는 권력의 원천을 창출하는데 이 원천에 의한 권력행사는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한다(이경환, 2001).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리더십은 권력의 한 유형이므로, power process에 의한 리더십 행사를 실증연구를 함으로서 지식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실증적 연구에서 리더는 자신의 권력요소(타고난 능력, 소질, 경험 등=경영자특성)와 욕구, 가치(경영철학) 관계성 및 환경과 같은 파워결정요소(리더십 결정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 원천을 창출할 때 즉, power process를 통해 리더십을 행사할 때 이러한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리더십 성과 향상을 위한 지식경영정보시스템은 파워결정요소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모델과 독립성 모델에서는 시스템 등급에 영향을 준다. 향후에는 더욱 더 다양한 상호의존 모델들이 정량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진행하였다. 줄여서 보다 더 정확하고, 지능적인 규칙구성요소 추출 방법론을 제시하고 구현하여 지식관리자의 규칙습득에 대한 부담을 줄여 주고자 한다.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t=2.170, P=0.042),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a SIS for the efficiency of SCM - based on Power process Methodology - (공급사슬 관리(SCM)의 효율성을 위한 전략정보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연구 - 권력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

  • Jeon Jae-Woan;Lee K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68-385
    • /
    • 2006
  • 본 연구는 효율적인 공급사슬관리(SCM)을 위한 전략 정보시스템 구축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효율적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전략정보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워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를 실증 연구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전략정보시스템으로서의 SCM 전략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공급사슬관리의 효율적 운영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영향요인들에 관한 기존 연구와 함께 파워 프로세스의 요소와의 연계를 통해 전략정보시스템으로서의 SCM 전략 유형을 제시하고 이의 특징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과 연구범위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된 파워 프로세스의 권력 주체가 권력요소, 가치 욕구, 환경, 관계성이라는 기본적인 다섯가지 권력 결정변수들간의 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며, 이러한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전략이 권력 결정변수에 대한 가중치에 의해 전략의 유형이 결정되며, 이 유형에 따르는 전략 효과는 그 가중치와 결정 변수들간의 상호작용에 크게 의존되고 있음을 밝혀내고자 한다. 또한, 공급기업과 공급받는 기업들간의 이러한 관계는 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전략적 정보시스템(SIS)으로서의 SCM 전략 유형과 일반적으로 높은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더욱이 기업의 정보가치에 대한 높은 인식으로 인한 디지털 경제하에서의 상호간 전략적 형성을 위해서는 더욱 파워프로세스적 관점하에서 SCM 전략 유형과 전략적 정보시스템간의 통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살펴볼 수 있고 그러한 결과는 기업성과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본 논문에서 밝히고 있다.더십을 행사할 때 이러한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리더십 성과 향상을 위한 지식경영정보시스템은 파워결정요소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모델과 독립성 모델에서는 시스템 등급에 영향을 준다. 향후에는 더욱 더 다양한 상호의존 모델들이 정량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진행하였다. 줄여서 보다 더 정확하고, 지능적인 규칙구성요소 추출 방법론을 제시하고 구현하여 지식관리자의 규칙습득에 대한 부담을 줄여 주고자 한다.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 PDF

What We Want for Virtual Humans: Classification of Consumer Expectation Value on Virtual Influencer by Age Based on Q-methodology (가상 인간에 대한 우리들이 원하는 모습: Q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연령대에 따른 소비자 기대 가치 분류)

  • Ji-Chan Yun;Do-Hyung Park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4 no.2
    • /
    • pp.137-159
    • /
    • 2023
  • This study focuses on consumers' perceptions of virtual influencers, which many companies recently used for marketing. This study uses the Q methodology to derive what kind of perception consumers have about virtual influencers who work with various appearances, background stories, and worldviews as components. In addition, we want to see how the expected value of virtual influencers differs by age group. To this end, 34 statements were produced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showed that some consumers preferred appearances similar to humans, despite recognizing that virtual influencers are fictional characters. Some other consumers preferred to feel like a fictional character by maintaining virtuality, confirming that there are both opposite consumers. In addition, consumers expect virtual influencers to have consistency and expertise in the content field covered, and some consumers do not prefer to show an overly commercial appearance. This study will likely provide implications for companies that want to utilize virtual influencers in considering which ones to use for target customers in marketing activ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and Consumer Purchase Decision: Findings from Seoul Sharing Bike (소셜미디어와 소비자 구매 결정과의 관계: 서울 공유 자전거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중심으로)

  • Han, Suhyeon;Jang, Junghwa;Choi, Jeonghye;Chang, Sue Ryung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2 no.4
    • /
    • pp.135-155
    • /
    • 2021
  •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types of social media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ir roles, it has become essential for marketers to understand how different types of social media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differently and derive more detailed strategies by social media types. This study classifies social media into two types-expression-focused social media and relationship-focused social media-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purchases and social media mentions by type. Using the Seoul bike-sharing data and time-series data for social media mentions, we apply the VAR model with Exogenous Variables (VARX). We find that the increase of product mentions in expression-focused social media positively affects both the number of new customers (customer acquisition) and the number of shared bike rentals, while that in relationship-focused social media negatively affects the number of new customers only. In addition, as new customers increase, the product mentions in both types of social media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bike rentals has no significant effect in increasing social media mentions regardless of typ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ocial media and sharing economy literature and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ophisticated social media marketing in bike-sharing businesses.

기업 성장단계 별 외부 협력 및 정부 인증 지원제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Park, Da-In;Park, Chan-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87-192
    • /
    • 2018
  • 현재 급변하는 정보기술, 다양성을 추구하는 시장의 니즈, 미리 예측하지 못한 다양한 형태의 경쟁자 등의 출현으로 인해 경영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것은 더 이상 새로운 현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경영 환경은 기업 간 경쟁 심화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경쟁 심화는 생존 및 발전을 위해 기업 특성에 맞지 않는 무분별한 전략을 활용하면서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다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변화하고 있는 환경 내 벤처기업 및 창업기업들의 경우 창업 후 생존율이 점차 낮아지면서 일반 기업들에 비해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벤처기업들은 도태되지 않고 생존하기 위해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벤처기업은 하나의 비즈니스 생태계 내 유기적 생명체로서 진화하기 위해 제품이나 산업의 수명주기와 마찬가지로 창업기, 초기 성장기, 고도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등의 정형화된 단계를 거친다. 따라서 벤처기업은 무차별적인 전략을 통해 기업의 생존 및 성장을 도모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기업이 놓인 수명주기 단계별로 전략, 조직 구조, 의사결정방식, 통제유형 등을 상이하게 판단하고 이에 적절한 전략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동일 생산요소를 투입하더라도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이 있는 경우 더 높은 가치 창출이 가능(Aghion & Howitt, 1992) 하지만 창업 초창기의 기업은 고도 성장기의 기업보다 보유한 지식 수준 및 경험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다양한 협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의 여러 선행연구들은 기업이 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단편적인 대처 방안이거나 혹은 부분적인 방법론을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이병헌 외,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6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의 외부 협력 정도 및 벤처기업 지원제도 활용 정도가 경쟁력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의 수명주기별로 상이하다고 보고 관련 전략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ype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사이버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자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탐색)

  • Whang, Sang-Min;Kim, Jee-Yeon;Ko, Beom-Seog;Seo, Jeo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06-212
    • /
    • 2007
  • 웹을 기반으로 하는 e-러닝에 대한 교육적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학습 공간으로서의 사이버 공간의 활용에 대한 고민도 증가하였다. 전통적인 학습활동을 사이버 공간에 복제하려 했던 고전적 방식이 e-러닝 또는 사이버 학습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e-러닝의 가치가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이버 공간에서 일어나는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활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일어나는 지에 대한 탐색은 미흡하다. 산재한 정보를 스스로 가공한 지식, '학습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라는 개념들이 제시됨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공간에 산재한 정보,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 그리고 사이버 공간의 학습특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이버 학습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행동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사이버 공간에서 보이는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것이 다양한 학습자 유형으로 구분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사이버 학습 사이트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사이버 가정 학습관이었다. 총 1535명의 사이버 가정 학습관 이용자들의 특성이 분석되었다. 사이버 가정학습관 이용자들의 행동특성은 9개의 요인-놀이 활동, 공동 경험, 현실 정체, 공동 성취, 개인주의, 경쟁 지향, 성취감, 편리성(조작 용이), 생생함-으로 구분되었다. 9개의 활동 요인을 기준으로 하여 확인된 학습자 유형은 4가지로 나타났다. 4가지 학습자 유형은 각각 독야청청형, 동고동락형, 의무방어형, 희희낙낙형으로 명명되었다. 이들 유형은 학습 활동 정도 및 사이트 이용 행동, 학습 스타일(사이버 학습 활동 양식)에서 서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적인 모델에 기초하여 임의적으로 구분된 사이버 학습자 유형 구분이 아닌, 실제 학습 활동을 탐색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기존의 오프라인 학습 이론 및 학습자 특성 연구를 사이버 학습에 그대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실제 학습 활동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밝히려고 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사이버 학습자 유형에 따른, 사이버 학습활동의 촉진방안이나 학습 효과의 차이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모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할 것이다.

  • PDF

멀티모달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기기 사용자 인증 기술 동향

  • Choi, Jongwon;Yi, Jeong Hyun
    • Review of KIISC
    • /
    • v.24 no.3
    • /
    • pp.7-14
    • /
    • 2014
  • 스마트 환경은,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통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스마트기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말하며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보편화되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와 스마트기기 간 인터페이스에서 각종 보안에 대한 위협이 발생한다. 또 스마트기기의 특성상 사용자 입력이 간편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가 계정 종류, 보안 유형 등 전문적인 용어에 대한 지식을 알아야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스마트기기의 터치스크린, 카메라, 가속도 센서, 지문인식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혼합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연구가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인간과 스마트기기 사이 상호작용 시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 환경 조성을 위하여 멀티모달 센서를 활용한 다양한 스마트기기 사용자 인증 기술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Convergence Study on Big Data Competency Reference Model (빅데이터 직무능력 참조모형에 관한 융합적 연구)

  • Noh, Kyoo-Sung;Park, Seong Taek;Park, Kyung-Hy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3
    • /
    • pp.55-63
    • /
    • 2015
  • South Korean Government confirmed the creation of competency-centered society as a key national issue and announce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lan of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n May 21, 2013. As a part of the government's plans, they had been developed NCS about 833 jobs by 2014. But Big Data related job, as an emerging job, cannot be seen as a reliable form of job yet. As, at the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the domestic, education and job competency models of knowledge and skills to take advantage of various types of Big Data have coming, it is a situation that is certainly not settled and more or less in confusion.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to present the Big Data Competency reference model for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o effectively leverage Big Data, we have presented this reference model and summarized competency elements units such as 20 knowledges and 15 skills of Big Data competency.

Analysis of Z Generation's Collaborative Information Activities through Challenges: Focusing on Korean College Students (챌린지에 나타난 Z세대의 협업 정보 활동 - 국내 대학생을 중심으로 -)

  • Ji Hei Ka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5 no.1
    • /
    • pp.173-192
    • /
    • 2024
  • Through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xplained the process and aspects of how Generation Z interacted with information while collaborating on a daily basis. Applying the Radical Change Theory, the study investigated the platforms through which university students engaged in challenges and their information behaviors. University students primarily participated in challenges using platforms such as Instagram and Naver Blog. In terms of changes in information seeking, which is the first type of information seeking in the theory, a wide and diverse range of information behaviors were observed, with the way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being quite different from when the digital age arrived 10 years ago. Information sources included not only digitalized ones but also traditional sources such as printed materials and personal contacts. The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types was prominent, and collaborative efforts were voluntarily undertaken for challenges. In terms of changing perspectives, type 2 of information behavior, the main motivation for acquiring information and securing knowledge led to participation in the challenge. Participants exhibited a sen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cluding mutual influence awareness, socia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nd emotional connection.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COO image on Brand Association Knowledge in Utilitarian and Hedonic product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ethnocentrism - (제품유형별 브랜드 원산지이미지와 브랜드 연상지식에 관한 연구-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성향 정도에 따른 상호조절효과 중심으로 -)

  • Park, Sung-Young;Yu, Sung-Duk;Na, Woon-Bong
    • CRM연구
    • /
    • v.2 no.2
    • /
    • pp.21-40
    • /
    • 2009
  • This study conducted to examine how consumer's perception of COO(Country of (Brand) Origin) image affects brand association knowledge, how coo image and brand association knowledge affect buying intention, how these relationship differs in hedonic and utilitarian produc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ethnocentrism in the influence of brand association to buying intension.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it was significant COO Image affect brand association knowledge, more strong significant in Hedonic products than in utilitarian products. But it was not supported COO Image affect buying intension significantly. Second, Brand association knowledge affected buying intention significantly. And the last, consumer's ethnocentrism mediated between brand association knowledge and buying intention strong significa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