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양도

Search Result 95,923, Processing Time 0.077 seconds

KISTI 생물다양성 DB 구축 현황

  • An, Bu-Yeong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0
    • /
    • pp.26-49
    • /
    • 2002
  • 생물다양성은 육상 생태계, 해양과 기타 수생 생태계와 이들의 복합 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즉, 생물다양성이란 생물종(Species)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Ecosystem)의 다양성, 생물이 지닌 유전자(Gene)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다.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은 한 지역내의 종의 다양성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분류학적 다양성을 지칭하며, 생태계 다양성(Ecosystem diversity)은 한 생태계에 속하는 모든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다양성을 말한다. 또한 유전적 다양성(Genetic diversity)은 종내의 유전자 변이를 말하는 것으로 같은 종내의 여러 집단들을 의미하거나 한 집단내 개체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를 의미한다.

  • PDF

연구개발팀의 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갈등과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

  • Kim, Jin-Yong;Song, Chan-H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4.10a
    • /
    • pp.5-19
    • /
    • 2014
  • 최근 팀 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으나 팀 다양성이 팀 창의성으로 발현되는 과정과 팀 다양성의 조건 하에서 팀 창의성이 촉진되는 조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뤄졌다. 국내 24개의 연구개발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팀 다양성, 특히 정보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팀 구성원간 갈등은 팀 다양성과 창의성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정보다양성과 직무 갈등 사이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예컨대, 변혁적 리더십이 강하면 정보다양성이 높은 팀일수록 직무 갈등이 낮게 나타났다. 저자는 팀 다양성과 창의성 사이에서 갈등의 조절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특히 동양권 국가에서 보다 면밀한 측정 방법이 요구되며 팀 다양성이 주는 가치(value in diversity)를 높일 수 있는 잠재적 매개변수의 탐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PDF

Design of Metadata Schema for Biodiversity Data Exchange (생물다양성 데이터교환을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설계)

  • Ahn Bu-young;Cho Hee-hyung;Ahn Sung-soo;Park Hyu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91-93
    • /
    • 2005
  • 생물다양성은 육상 생태계, 해양과 기타 수생 생태계와 이들의 복합 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알하며, 종내$\cdot$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이 매우 다양하듯이 생물다양성을 표현하는 데이터 또한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생물다양성 데이터의 점보공유 및 교환을 위해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기구에서 제안된 데이터 표준 및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을 알아보고, 이러한 데이터 표준과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국내 생물다양성 데이터 공유 및 교환을 위한 생물다양성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크게 생물종 정보와 종정보에 관한 참조(reference) 정보로 나누어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Wintering Avifauna Change Long-term Monitoring in Major Watershed Tributariesin Han River: Fundamental and Phylogenetic Biodiversity Assessment and Comparison (한강 주요 하천의 겨울철 조류상 변화 장기 모니터링: 기존 생물다양성과 계통적 생물다양성 평가 및 비교)

  • Yun, Seongho;Hong, Mi-Jin;Choi, Jin-Hwan;Lee, Who-Seung;Yoo, Jeong-Chi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3
    • /
    • pp.164-174
    • /
    • 2021
  • Information on biodivers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ervation planning for ecosystem. As existing biodiversity indices are calculated and predicted only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it is difficult to explain aspects of genetic and ecological diversity. Phylogenetic diversity can indirectly evaluate ecological diversity as well as genetic diversity overlooked by existing biodiversity assessments. In this study, typical metrics of biodiversity (e.g.,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etc.) and phylogenetic diversity were evaluated together using a long-term monitoring data of winter birds in Jungrang, Cheonggye and Anyang stream where are designated as Seoul migratory bird reserves. Then discussed the meaning of each assessmentresult. In Jungrang and Anyang stream, the number of individuals generally decreased overtime, whereas in Cheonggye stream,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ddition, species abundance increased over time slightly in Cheonggye stream,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Jungrang and Anyang stream. Species diversity temporally increased in Jungrang and Cheonggye stream, excluding Anyang stream, but phylogenetic divers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only in Cheonggye stream. These changes in the biodiversity assessment indices are thought to be due to anthropogenic disturbances such as construction that occurred within each site, and it was shown that species diversity and phylogenetic diversity do not always lead to the same assessment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biodiversity assessment needs to be considered from various contexts such as genetic and ecological perspectives.

Implications in UNESCO's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and Its Application to the 「World Geography」 Subject (유네스코 '문화 다양성' 개념의 함축과 「세계지리」 과목에서의 실천 방안)

  • Jeon, J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4
    • /
    • pp.559-576
    • /
    • 2016
  •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has emerged as a key concept and the buzzword of the 21st century's international community in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sectors since UNESCO's "World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2001). However, the appropriate and correct implementation in educational level and in a subject scale can not be pursued without special understanding of multilateral implications of UNESCO's 'cultural diversity' because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has been distributed to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 to individual scholars and institutions before the "World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was released. The ultimate orientation of 'cultural diversity', the concept presented in "World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is 'world peace' and 'the coexistence of various cultures of mankind'. In this regard, 'cultural diversity' has special 'educational' meaning to the next generation as well as the current one. Also, it is meaningful to take educational practices on cultural diversity in case of the "World Geography" subject in view of that international society of geographical education came up with "International Declaration of Geographical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in the IGU(International Geographical Union) 2000.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uthor proposes that the 'cultural diversity' concept implies four folds of meanings as an ideology, as a symbol, as a vision, and as a epistemological turn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s on 'cultural diversity' of UNESCO, then presents an educational practice centering around the examples and its usage of teaching materials of cultural diversity.

  • PDF

창업팀의 다양성이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다양성 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ae-Hwan;Je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53-158
    • /
    • 2018
  • 국내외 창업 교육 및 창업 현장에 있어 창업자 개인이 아닌 팀 단위의 역량을 중요시하고 있다. 다양한 창업지원 사업에서 팀의 구성에 따라 당락을 결정할 정도로 팀은 창업 초기에 빠르게 나아가기 위한 원동력이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창업팀의 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의 역량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실패를 용인하고 재도전할 기회를 주는 등 사회 분위기도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기존의 창업가(entrepreneur) 중심에서 창업팀(entrepreneurial team) 단위의 연구로 흐름이 변화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국내 연구에 있어 창업팀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로 해외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어 한국의 창업환경에 맞는 창업팀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부족은 창업팀이라는 연구 대상이 한정되어있다는 점, 시간의 부족을 겪고 있는 창업 팀원들에게 의미 있는 자료를 끌어내기 어려운 점 등도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팀의 특성 중 학습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을 찾기 위해 창업팀의 지각된 다양성과 그 다양성을 수용하는 태도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원들의 지각된 사회범주 다양성과 지각된 정보다양성이 높을수록 다양성을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 다양성과 가치 다양성을 수용하는 태도가 좋을수록 자발적인 학습 행동이 더 많이 발생했다. 셋째, 단순히 다양한 사람들을 섞어 팀을 구성하는 것 자체로만은 학습 행동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사회범주다양성은 정보다양성의 수용태도를 매개로 자발적인 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정보다양성은 정보다양성과 가치다양성 수용태도를 매개로 학습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팀은 긍정적인 영향과 함께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하여 구성원간의 갈등을 야기시키며 창업실패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연구는 이러한 팀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향 후 창업팀의 육성과 지원 시 팀의 구성원간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팀의 특성과 관련한 연구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PDF

MANAGEMENT TREND - 온실가스 이을 환경이슈, 생물다양성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200
    • /
    • pp.44-47
    • /
    • 2013
  • 인류가 지속적인 삶을 유지하려면 다양한 생물을 보전해야 한다. 원론적인 주장으로 받아들여지던 생물다양성이 지난 2010년 나고야 의정서가 채택되면서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생물다양성은 이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이슈가 되고 있다. 여기서는 LG경제연구원 도은진 연구위원의 '온실가스 이을 환경이슈, 생물다양성' 보고서를 통해 생물다양성이 무엇인지, 앞으로 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게 될지 살펴본다.

  • PDF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Park, Gye-Hyeon;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21-125
    • /
    • 2018
  • 지금까지는 창업자 개인의 특성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기회 포착과 성과를 다룬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 학자들은 Entrepreneurship이 개인보다는 팀이 수행하는 업무이며, Entrepreneurial Team의 역동성이 Entrepreneurship 연구에 새로운 통찰력을 추가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팀을 구성하는 데 있어 팀의 다양성 수준을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한지, 어떻게 팀을 조화롭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 중요한 의사결정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구성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팀 구성원들 각자가 가진 속성의 차이에 따라 팀 다양성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곧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성에 관한 국내 연구들은 다양성과 성과에 대한 직접 효과에 대한 분석 중심으로, 조절효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은 관련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팀 다양성과 성과 간의 관계를 과업 상호의존성과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 것이다. 조직 내 다양성의 혼재된 영향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벤처기업의 인력구성 및 관리적 측면에서 다양성이 어떠한 상황에서 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PDF

Diversity Film for Regional Cultural Industrial Base (지역 문화산업 기반으로서의 다양성영화)

  • Kim, Nayun;Kim, S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51-352
    • /
    • 2013
  • 다양성은 문화산업의 기반을 풍부하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성영화는 비주류, 다문화, 소수, 마니아 적인 성격을 가지고있는 예술영화, 다큐멘터리, 독립영화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성영화는 지역의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고 다양한 의견을 포괄할 수 있어서 문화적인 풍부함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근간이 된다. 이 글에서는 다양성영화가 문화산업의 기반 구조를 충실히 하는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를 고찰하였다.

  • PDF

View-Invariant Body Pose Estimation based on Biased Manifold Learning (편향된 다양체 학습 기반 시점 변화에 강인한 인체 포즈 추정)

  • Hur, Dong-Cheol;Lee, Seong-Wha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6 no.11
    • /
    • pp.960-966
    • /
    • 2009
  • A manifold is used to represent a relationship between high-dimensional data samples in low-dimensional space. In human pose estimation, it is created in low-dimensional space for processing image and 3D body configuration data. Manifold learning is to build a manifold. But it is vulnerable to silhouette variations. Such silhouette variations are occurred due to view-change, person-change, distance-change, and noises. Representing silhouette variations in a single manifold is impossible. In this paper, we focus a silhouette variation problem occurred by view-change. In previous view invariant pose estimation methods based on manifold learning, there were two ways. One is modeling manifolds for all view points. The other is to extract view factors from mapping functions. But these methods do not support one by one mapping for silhouettes and corresponding body configurations because of unsupervised learning. Modeling manifold and extracting view factors are very complex. So we propose a method based on triple manifolds. These are view manifold, pose manifold, and body configuration manifold. In order to build manifolds, we employ biased manifold learning. After building manifolds, we learn mapping functions among spaces (2D image space, pose manifold space, view manifold space, body configuration manifold space, 3D body configuration space). In our experiments, we could estimate various body poses from 24 view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