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단 성형기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다단 성형기를 이용한 냉간단조 생산 기술 현황 (Present Situation for Cold Forging Technology Using Multi-Former)

  • 강신준;김홍석;전영효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5년도 제2회 단조심포지엄 단조기술의 진보
    • /
    • pp.158-164
    • /
    • 1995
  • 진합정공 주식회사는 다단 성형기를 사용하여 자동차 부품이나 건축재 등을 냉간 단조로 생산하는 중소기업으로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각종 단조품들의 국산화와 고부가 가치의 정밀 단조품 생산을 위해 기술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회사이다. 본 논문 에서는 진합정공의 냉간단조 생산 기술을 예비처리 과정과 냉간단조법, 단조소재, 단조 금 형으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소개함으로써 중소기업형인 국내 단조 기업의 생산 기술과 생산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국내 단조 기술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협동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출성형기 실린더와 금형 캐비티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사출성형공정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Injection Molding Process by On-line Monitoring in Cylinder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n Cavity of Mold)

  • 박형필;차백순;태준성;최재혁;이병옥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0호
    • /
    • pp.1513-1519
    • /
    • 2010
  • 최근 고품질 제품 생산을 위한 방법으로 센서를 이용한 사출공정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금형, 광학용 금형 및 구조가 복잡한 금형에는 센서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형과 사출성형기 노즐의 압력 을 측정하여 공정 모니터링 데이터의 정량적 지수를 정의하고, 성형품 중량에 대한 상관분석을 수행하여 노즐에 설치된 압력센서의 공정모니터링 적용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공정모니터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단사출속도, 보압 및 제한 사출 압력의 영향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공정 제어 특성도 알아보았다.

고에너지효율 연자성 복합 분말 소재의 연구개발 동향 (Research Trend of Soft Magnetic Composite Materials with High Energy Efficiency)

  • 김휘준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7-82
    • /
    • 2011
  • 우리 삶의 질을 좌우하는 전자기 기기의 고기능화, 자동화, 소형화 추이에 따라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연자성 소재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기강판과 에너지 고효율화라는 시대의 요구에 따라 새롭게 부상되고 있는 연자성 복합 분말 소재에 대해 각 연자성 소재 분야에서 철손 제어 인자 및 이들 인자들의 제어 방안에 대해 문헌을 고찰했다. 전기강판에서는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낮추기 위해 정련공정을 통해 자구이동을 방해하는 결함을 제거하고 결정립의 크기를 최적화하고 있으며, 와전류 손실의 감소를 위해 합금첨가원소를 통해 비저항을 높이고 판재의 두께를 박판화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코팅을 통해 자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응력의 방향 및 크기를 제어하며, 압연기술과 열처리 기술을 통해 집합조직을 최적화하여 고투자율 및 저철손을 동시에 충족시켜 나가고 있다. 연자성 복합 분말 소재의 경우, 분말 표면의 복합화를 통해 철계 조성, 코팅, 윤활재 및 바인더, 성형 및 열처리 조건 등에 복합적으로 의존하는 연자성 코어의 최종 자기특성을 제어하고 있다. 온간 및 다단 성형과 같은 새로운 성형공정, 2단 소둔/자성 열처리와 같은 소둔 조건, 나노결정질, 비정질 및 벌크 비정질 등과 같은 새로운 조성, 적절한 코팅층의 변수들을 최적화할 경우, 연자성 복합 소재의 자성특성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