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단계 방법

Search Result 37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ype based Control Flow Analysis of Multi-Staged Program (다단계 프로그램을 위한 타입 기반의 실행흐름 분석)

  • Jin, Min-Sik;Yi, Kw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516-520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다단계 프로그램의 실행흐름을 타입을 기반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다단계 프로그램이란 실행 중 코드를 만들고 실행할 수 있는 언어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고차 함수형 언어의 실행흐름을 분석하는 방법을 다단계 언어를 위해서 확장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분석은 한 수식이 평가될 때 호출될 수 있는 함수들의 집합을 정적으로 분석하여 다단계 프로그램의 실행흐름 정보를 제공한다.

  • PDF

An effective method for comparing similarity of document with Multi-Level alignment (다단계정렬을 활용한 효율적인 문서 유사도 비교법)

  • Seo, Jong-Kyu;Hwang, Hae-Lyen;Cho, Hwa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402-405
    • /
    • 2012
  • 문서와 문서간의 유사도들 측정하는 방법 은 크게 지문법 (fingerprint)을 이용한 방법과 서열 정렬(sequence alignment)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두 방법은 각각 속도와 정확도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단계정렬(MLA, Multi-Level alignment))는 이러한 두 방법을 조합하여 탐색 속도와 정확도 사이의 비중을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1] 다단계 정렬은 두 문서를 단위 블록(basis block)로 나누고 블록 간의 벡터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초성 추출 및 어간 추출을 통해 단위 블록의 벡터를 빠른 시 간에 생성하고 비교하는 방법과 다단계 탐색을 통해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빠르게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결과 제안 방법을 통해 다단계 정렬 방법을 이용한 대용량 문서 비교의 속도가 2 배 이상 빨라짐을 보인다.

A method for comparing documents using fingerprinting and sequence alignment. (지문법과 서열정렬법을 결합한 다단계 정렬 방법의 문서 유사도 비교)

  • Seo, Jongkyu;Ock, Chang-Seok;Cho, Hwa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576-579
    • /
    • 2012
  • 문서유사도를 비교하는 방법은 지문법과 서열 정렬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지문법은 계산속도가 빠른 대신 정확도가 떨어지며, 서열정렬법은 계산속도가 느린 대신 정확도가 높다. 다단계 정렬은 두 방법의 비중을 조절하여 문서 유사도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 방법의 장점을 얻으면서 단점을 보완하도록 고안되었다[1]. 이 논문에서는 다단계 정렬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다단계정렬 방법에서 발생 가능한 단편화 문제를 제거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The Transformation of an Object Model Adopting Securities into an Object-Oriented Schema (보안이 적용된 객체모델의 객체지향 스키마로의 변환방법)

  • 김정종;박운재;송호영;김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84-486
    • /
    • 1999
  • 객체지향 방법으로 시스템을 개발할 때 분석단계의 객체모델을 객체지향 스키마로 변환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석단계의 객체모델을 정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분석단계의 객체모델을 정제하여 다단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자료의 잘못된 유출이나 수정을 예방하고 모호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보안을 적용한다. 보안을 적용한 분석단계의 객체모델을 다단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설계할 때 이 보안이 다단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의 설계에서 적용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다단계 뉴럴네트워크(Neural Network)에 의한 온-라인 기계상태감시

  • 한정희;왕지남;허정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504-509
    • /
    • 1995
  • 컴퓨터에 의한 생산시스템의 통합체계화와 온-라인화에 따라 자동화된 설비진단 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계설비에 각종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된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기계설비를 온-라인으로 감시하는 여러가지 기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radial 함수에 근거한 다단계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로 모형화하여 기계설비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다단계 모델링 분석을 통하여 신호를 예측하고 설비고장 원인을 분류하며, 다른 모형과의 비교를 통하여 효율성 평가와 최적 단계수를 결정하였다. 온라인 학습 알고리즘은 recursive least squares와 clustering 방법을 이용한다.

  • PDF

Type-directed Automatic Generation of Open Code Multi-Staged Programs (열린 코드를 갖는 다단계 프로그램을 타입 정보로부터 자동으로 생성하기)

  • Jung, Yung-Bum;Lee, Won-Chan;Yi, Kw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466-469
    • /
    • 2011
  • 단계가 없는 고차원 프로그램(higher-order program)을 다단계 프로그램(multi-staged program)으로 타입의 도움을 받아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최첨단의 다단계 프로그램 타입시스템에 기반했기에 직관적으로 이해가 쉽고, 열린 코드(open code)를 지원한다. 변환의 결과 나올 수 있는 열린 코드는 자유 변수(free variable)을 허용하여 나중에 사용자의 의도대로 자유롭게 묶이게 할 수 있다. 우리의 변환은 기존의 타입의 도움을 받아 특화시키는 Linger와 Sheard[2,3]의 방법에 비해 더 효율적이고, 더 많은 종류의 다단계 프로그램을 만들어 낼 수 있다.

The extension of the IDEA Methodology for a multilevel secure schema design (다단계 보안 스키마 설계를 위한 IDEA 방법론의 확장)

  • Kim, Jung-Jong;Park, Woon-Jae;Sim, Gab-Si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3
    • /
    • pp.879-890
    • /
    • 2000
  • Designing a multilevel database application is a complex process, and the entities and their associated security levels must be represented using an appropriate model unambiguously. It is also important to capture the semantics of a multilevel databse application as accurate and complete as possible. Owing to the focus of the IDEA Methodology for designing the non-secure database applications on the data-intensive systems, the Object Model describes the static structure of the objects in an applic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That is, the Object Model in the IDEA Methodology is an extended Entity-Relationship model giving a static description of objects. The IDEA Methodology has not been developed the multilevel secure database applications, but by using an existing methodology we could take advantage of the various techniques that have already been developed for that methodology. That is, this way is easier to design the multilevel secure schema than to develop a new model from scratch. This paper adds the security features 새? Object Model in the IDEA Methodology, and presents the transformation from this model to a multilevel secure object oriented schema. This schema will be the preliminary work which can be the general scheme for the automatic mapping to the various commercial multilevel secure database management system such as Informix-Online/Secure, Trusted ORACLE, and Sybase Secure SQL Server.

  • PDF

Congestion cost allocation using multistage method (다단계 방법을 이용한 혼잡 비용의 처리)

  • Jung, Hae-Sung;Park, Jong-Keun;Lee, Byung-Y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5a
    • /
    • pp.330-33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쌍방향 시장에서 혼잡 비용의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쌍방향 시장에서 시장의 참여자들은 혼잡을 고려하지 않고 서로 계약을 하며 만일 혼잡이 발생한다면 Independent System Operator(ISO)가 혼잡을 해결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ISO는 혼잡이 발생 시 조정 입찰(adjustment bidding)을 통해 전력을 매매하여 혼잡을 해소한다. 이때 ISO는 전력의 매매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이 매매 비용을 혼잡 비용이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쌍방향 시장에서는 이 혼잡 비용을 시장의 참여자에게 공평하게 배분하는 방식이 중요한 문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송전 제약에 대한 라그랑지 승수를 이용하는 방식도 그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연속 혼잡이 발생하면 참여자에게 혼잡 비용을 정확히 배분할 수 없다. 여기서 연속 혼잡이란 혼잡 선로에 의해 다른 선로에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류 조류를 이용한 다단계 방법을 제시하며 이 방법은 연속 혼잡을 단계별로 처리하여 기존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혼잡 비용이 참여자에게 공평히 배분되도록 하였다.

  • PDF

Closed-code-conversion: Transforming Open Code Multi-staged Programs into Closed Ones (다단계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 생성 단계의 자유변수 제거)

  • Eo, Hyun-Jun;Yi, Kwang-Ke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6 no.3
    • /
    • pp.244-251
    • /
    • 2009
  • We present a transformation which converts open-code multi-staged programs into closed ones. Staged computation, which explicitly divides a computation into separate stages, is a unifying framework for existing program generation systems. Because a multi-staged program generates another program, which can also generate a third program and on, the implementation of a multi-staged language is not straightforward. Dynamic binding of (lexically free) variables in code also makes the implementation of a multi-staged language hard. By converting each code into code of function which takes environment for free variables as its argument and giving an actual environment at the code-composition site, we can transform a open-code program into a closed-code one. Combining with Davies and Pfenning's method, our closed-code-conversion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the unstaged language to be useful for executing multi-staged programs. We also prove the correctness of our conversion: the converted program is equivalent to the original program, and the converted program does not have open code.

Generalized Predictor-Corrector Method

  • 함남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ational and Applied Mathemat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16.2-16
    • /
    • 2003
  • 미분 방정식의 수치적 해를 나타내는 방법 중 예측자-수정자 방법(predictor-corrector method)으로 알려진 Adams-Bashford-Moulton 방법은 다단계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단계 방법에 비하여 훨씬 좋은 수치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제, 이 다단계 방법에 오차제어 변수를 첨가한 새로운 형태의 예측자-수정자 방법을 제시하고 안정적인 해를 구할 수 있는 오차 제어 변수의 범위를 확인한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예측자-수정자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미분 방정식의 해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임을 수치적인 결과를 통하여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