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국어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Construction of Multilingual Linguistic Translation Knowledge based on the Language Typology (언어 유형론에 기반한 다국어 공용 번역지식의 구축)

  • Choi, Sung-Kwon;Kim, Tae-Wan;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243-248
    • /
    • 1997
  • 본 논문은 다국어 자동번역시스템에서 다국어의 번역지식(사전,규칙,정보)구축을 위해 언어유형론을 도입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다국어 번역지식의 구축과 관련하여 기존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들에서 항상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번역지식의 구축, 관리, 재활용의 문제이다. 번역지식의 구축은 다국어를 위한 번역지식의 크기, 다국어의 수용정도와 관련되며, 번역지식의 관리는 번역지식의 단순화 정도와 관련되며, 번역지식의 재활용은 기존에 구축된 번역지식을 새로운 언어들에 재사용 정도와 관련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포함한 다국어의 언어 친족성에 따라 번역지식을 공유하도록 하는 언어유형론에 기반한 다국어 공용 번역지식 구축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국내 다국어/다문화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 Cho, Yong-Wan;Lee, Soo-Sa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2 no.1
    • /
    • pp.269-29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nationwide status of the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library services in Korea. To do this, a survey aimed at the public libraries,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al bodies that provided library services with multicultural and multilingual materials was conducted. Also, 15 librarians and the persons in charge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not only regarding national library policies but also regarding public libraries providing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o local users were suggested.

Building Multilingual Information Structure in Korean Environment (한글 환경에서의 다국어정보 환경구축)

  • Jeong, Hwi-Woong;Yoon, A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198-203
    • /
    • 1998
  • 인터넷은 다양한 언어로 구성된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해 준다. 따라서 인터넷 환경상의 정보 다국어화는 앞으로도 점차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각 국가별 지역 코드는 다국어 정보화를 가로막는 하나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사용자(end-user)와 개발자(developer)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국어 지원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부산대학교 언어 정보 연구실에서 연구중인 다국어 지원 방법과 연관하여 특히 웹 환경에서 다국어가 동시에 지원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연구하였다. 한글 환경에서 다국어가 원활히 지원되기 위해서는 유니코드 도입과 함께 다국어 입력 알고리즘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다국어 입력 컨트롤 및 라이브러리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웹 환경에서도 KS-C-5601 기반이 아닌 Unicode 기반 웹 환경 구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다국어 자동번역 기술)

  • Choi, S.K.;Hong, M.P.;Park, S.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5 s.95
    • /
    • pp.16-27
    • /
    • 2005
  • W-CDMA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과 보급은 향후 소규모 단말기를 통한 다국어 자동 통/번역에 대한 수요를 대폭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경올림픽을 기점으로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한 수요는 매우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대비하여 각국에서는 다국어 자동통역의 근간이 되는 다국어 자동번역 기술을 국가주도 하에 경쟁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독립 응용시스템에 적용되던 다국어 자동번역 기술은 인터넷의 발전 등과 더불어 이제는 문서에 관한 통합 프로세스를 담고 있는 응용시스템의 일부로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국어 자동번역 기술의 역사와 현황, 국내외 연구진들의 연구방향 등을 소개하고 향후 다국어 자동번역 기술 개발의 방향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Korean Analysis and Transfer in Unification-based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System (통합기반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에서의 한국어 분석과 변환)

  • Choi, Sung-Kwon;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301-307
    • /
    • 1996
  • 다국어 자동번역이란 2개국어 이상 언어들간의 번역을 말한다. 기존의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은 크게 변환기반 transfer-based 방식과 피봇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변환기반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에서는 각 언어의 분석과 생성 규칙이 상이하게 작성됨으로써 언어들간의 공통성이 수용되지 못하였고 그로 인해 전체 번역 메모리의 크기가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었다. 또한 기존의 피봇방식에서는 다국어에 적용될 수 있는 언어학적 보편성 모델을 구현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언어들간의 공통성을 수용하며 또한 여러 언어에서 공유될 수 있는 공통 규칙에 의한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통 규칙의 장점은 전산학적으로는 여러 언어에서 단지 한번 load 되기 때문에 전체 번역 메모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것과 언어학적으로는 문법 정보의 작성.수정.관리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DF

Multilingual Speech and Machine Translation System for Foreign Tourists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

  • Choi, Sung-Kwon;Kim, Yo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665-666
    • /
    • 2016
  • 본 논문은 현재 개발 중에 있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에서 개발 중에 있는 언어는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 스페인어, 불어, 독일어, 러시아어이다. 이렇게 개발된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때 다국어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의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의 성능은 번역만 보았을 때, 영한 87.63%, 한영 88.21%, 중한 85.38%, 한중 77.94%, 일한 89.00%, 한일 86.69%, 스한 76.90%, 한스 77.46%, 불한 76.28%, 한불 79.78%이다.

gCMS for the efficient mutilingual management of web content (웹 콘텐츠의 다국어 관리를 위한 gCMS)

  • Ji, hyu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5-306
    • /
    • 2011
  • 웹 서비스를 하는 많은 곳에서 콘텐츠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CMS를 이용하여 운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웹 분야의 추세 및 글로벌화에 따라 앞으로의 콘텐츠 관리는 다국어로 관리되어야 하지만 기존의 CMS로는 어려운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식품포탈을 리뉴얼하는 과정에 있어서 콘텐츠를 다국어로 관리하기 용이한 gCMS를 도입하는 1차 도입 결과 및 2차 고도화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도입된 gCMS는 기존의 CMS와 달리 콘텐츠를 매체별로, 각 매체별 콘텐츠는 다양한 매체와 다국어 서비스의 기반을 구축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콘텐츠, 메뉴, 항목, 기초코드, 메시지 등의 모든 언어 요소를 다국어로 관리하여 완벽하게 다국어를 지원한다.

  • PDF

Design of Multilingual Thesaurus (다국어 시소러스의 설계)

  • 최석두;조혜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1.08a
    • /
    • pp.5-10
    • /
    • 2001
  • 둘 이상의 언어를 포함하고, 그 중 참조하는 언어를 중심으로 용어관계를 표시할 수 있는 다국어 시소러스의 개념구조에 대하여 논하였다. 아울러, 우리말을 기준어로 삼고, 기본요건, 구조화, 용어관계, 동형이의어, 표시방법, 배열 등에 대한 예시와 함께 다국어 시소러스의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ColBERT with Adversarial Language Adaptation for Multilingual Information Retrieval (다국어 정보 검색을 위한 적대적 언어 적응을 활용한 ColBERT)

  • Jonghwi Kim;Yunsu Kim;Gary Geunba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239-244
    • /
    • 2023
  • 신경망 기반의 다국어 및 교차 언어 정보 검색 모델은 타겟 언어로 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이는 고자원 언어에 치중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어 학습 데이터와 한국어-영어 병렬 말뭉치만을 이용한 효과적인 다국어 정보 검색 모델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언어 예측 태스크와 경사 반전 계층을 활용하여 인코더가 언어에 구애 받지 않는 벡터 표현을 생성하도록 학습 방법을 고안하였고, 이를 한국어가 포함된 다국어 정보 검색 벤치마크에 대해 실험하였다. 본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이 다국어 사전학습 모델과 영어 데이터만을 이용한 베이스라인보다 높은 성능을 보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교차 언어 정보 검색 실험을 통해 현재 검색 모델이 언어 편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였다.

  • PDF

효율적인 다국어 프로그래밍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Moon-Mok;Kim, J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7.05a
    • /
    • pp.69-74
    • /
    • 2007
  • 세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 다국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는 겨우 기존에 알려진 방법들에 비하여 개발 비용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효율적인 다국어 프로그래밍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