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공도

Search Result 2,70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coustic Characteristics of Lucite Slab with Circular Cylindrical Pores (원통형 다공을 갖는 판형 루사이트의 음향 특성)

  • Baik Jae Yoon;Roh Heui-Seol;Yoon Suk Wa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99-302
    • /
    • 2000
  • 임의의 매질에서 음파의 전파는 매질의 고유물성 및 구조적 특성에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는 의공학에서 관심을 가지는 골다공증 진단의 기초 물리적 음향 특성을 이해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구조적 특성의 중요한 요소인 매질의 다공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비강체의 다공성 물질로써 루사이트 판에 원통 형태의 관을 균일하게 배열시켰고 이 관들의 배열을 다공성 구조로 간주하였다. 다공도는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범위, 약 $0\%-30\%$에 제한하였으며, 다공도에 따른 음향 특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다공도의 차이를 두었고, 관의 직경에 따른 음향 특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같은 다공도와 두 종류의 관의 크기를 갖는 다공성 루사이트를 제작하였다. 실험은 수중에서 음파의 입사각에 대한 의존도를 배제하기 위하여 수직 입사에 대하여 수행하였고 사용된 주파수는 880kHz이다. 다공도 및 관의 크기의 변화에 따른 음파의 투과 계수의 변화를 관측하여 다공도 및 관의 크기의 변화에 따른 음향특성 변화의 상관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골다공증 진단에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PDF

Frequency- and Porosity-dependent Acoustic Characteristics of Porous Medium with Water- and Air-filled Pores (물과 공기 다공을 갖는 다공성 매질의 주파수 및 다공율 변화에 따른 음향특성)

  • Lee Kang Il;Roh Heui-Seol;Yoon Suk Wa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09-212
    • /
    • 2001
  • 수중에서 물과 공기 다공을 갖는 다공성 매질의 주파수 및 다공율 변화에 따른 음향특성을 고찰하였다. 다공성 매질로서 원통형 다공을 인위적으로 균일하게 배열한 판형 루사이트 (Lucite)를 사용하였다. 수중에서 음파를 다공성 매질의 원통형 다공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입사하였을 때, 빠른 파 (fast wave)는 다공 내의 매질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느린 파 (slow wave) 및 원통형 다공을 전파하는 비평면 고차 정상 모드 파 (nonplanar higher normal mode wave)는 다공 내의 매질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3MHz부터 4MHz까지의 주파수 영역에서 전체 파 (total wave), 빠른 파 및 느린 파의 음속 및 음압투과계수를 주파수 및 물과 공기 다공율 변화에 따라 측정하였다. 비강체 다공성 매질에서의 음파 전파특성에 대한 MBA (modified Biot-Attenborough) 모델의 이론 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f Three Dimensional Flow Characteristics near the Porous Wall (다공성 방풍벽의 3차원 유동특성)

  • Kim, Sung-Hoon;Kim, Il-Hyun;Chang, Young-Bae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8 no.4
    • /
    • pp.19-28
    • /
    • 2019
  • A study has been done on the three dimensional turbulent flow characteristic near the porous wall. The porous holes are considered by penetrating the wall in regular arrangement, and porosity is controlled by diameter of holes. Flow characteristics near the three dimensional porous wall are compared with field test results and self-generated experimental results. FLUENT is employed for computational analysis on the effect of three dimensional porosity with flow and pressur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drag coefficient is defined and compared for three dimensional effect. The drag coefficient is mostly a function of porosity, whereas the effect of Reynolds number is minimal, and its correlation is presented in terms of three dimensional porosity.

Porous gelatin-based membrane as supports for impregnation of cells (세포함유용 지지체로서 다공성 젤라틴계 막)

  • 이영무;홍성란
    • Membrane Journal
    • /
    • v.11 no.1
    • /
    • pp.29-37
    • /
    • 2001
  • 본 논문은 인공 진피와 조직공학용 scaffold로 이용하기 위해 다공성 membrane로서 gelatin-based sponge의 효율성을 연구하였다. 불용성의 다공성 membrane은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EDC)로 가교하여 제조하였다. Fourier-transformed infrared (FT-IR)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그리고 Instron analysis로 다공성 membrane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다공성 membrane은 용적당 큰 표면적을 제공하는 micro porous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Gelatin/hyaluronic acid (HA) membrane의 공경크기는 40~200$\mu\textrm{m}$이다. HA의 첨가는 다공성 membrane의 기계적 강도와 세포부착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Gelatin/HA 다공성 membrane의 압축강도는 collagen과 비슷하며, 세포배양과 인공진피 transplantation에 있어서의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다. Fibroblasts를 함유한 진피기질을 제조하기 위해 직경 8mm의 다공성 membran에 4$\times$10(sup)5cells/membrane의 세포밀도로 fibroblast를 배양하였다. GH91 porous membrane에서의 fibroblast 부착성은 GH55 porous membrane에서보다 우수하였다. 삼차원 구조의 gelatin/HA membrane matrix에서의 fibroblast의 배양은 생체내 조건과 유사한 생리적 환경을 제공하였다.

  • PDF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PLLA Scaffolds with Gentamicin Sulfate Release System (겐타마이신 설페이트를 서방화한 다공성 PLLA 지지체의 제조와 물성평가)

  • 최명규;강길선;이일우;이종문;이해방
    • Polymer(Korea)
    • /
    • v.25 no.3
    • /
    • pp.318-326
    • /
    • 2001
  • PLLA scaffold loaded with gentamicin sulfate (GS) was prepared by emulsion freeze-drying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n and the improvement of wettability. i.e., the cell- and tissue-compatibility. GS-loaded PLLA scaffold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mercury porosimetry and blue dye intrusion, and the GS release pattern was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GS-loaded PLLA scaffolds with porosity above 50%, medium pore size ranging from 30 to 57 ${\mu}{\textrm}{m}$ (with larger pore diameters greater than 150 ${\mu}{\textrm}{m}$), and specific pore area in the range of 35 to 75($m^2$ /g )were manufactured by varying processing parameter as GS concentration. It was observed that GS-loaded PLLA scaffolds were highly porous with good interconnections between pores for allowing cell adhesion and growth. These scaffolds may be applicable for scaffold as structures that facilitate either tissue regeneration or repair during reconstructive operations.

  • PDF

Pool Boiling Enhancement of R-123 Using Perforated Plates (다공판을 사용한 R-123 풀비등 열전달 촉진)

  • Kim, Nae-Hy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0 no.5
    • /
    • pp.275-281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ool boiling enhancement caused by perforated plates on top of a smooth surface. We conduct tests using R-123 at atmospheric pressure. It was shown that perforated plates significantly enhanced the pool boiling of the smooth surface. The reason may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d bubble contact area between the pla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nhancement ratio was dependent on the heat flux. At high heat flux, the enhancement ratio increased as the porosity increased. However, at low heat flux, the enhancement ratio decreased as the porosity increased. For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 optimum configuration had a pore diameter of 2.0 mm, pore pitch of $2.5mm{\times}5.0mm$ or $5.0mm{\times}5.0mm$, and a gap width of 0.5 mm, which yielded heat-transfer coefficients that are close to those of GEWA-T. The optimum porosity for R-123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water or ethanol. The reason for this may be the large liquid-to-vapor density ratio along with the small latent heat of vaporization of R-123. The perforated plates yielded smaller boiling hysteresis compared with that of the smooth surface.

Characteristics of porous Chitosan-Alginate-Gelatin Scaffold Cross-linked by Heat-treatment (열처리에 의해 가교된 다공성 키토산-알지네이트-젤라틴 지지체의 특성)

  • Sin, Byeong-Cheol;Choe, Min-Su;Han, Hui-Dong;Seong, Ha-Su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0 no.3
    • /
    • pp.224-231
    • /
    • 2006
  • agents used for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of porous natural scaffolds, reduces biocompatability of the scaffolds, due to their inherent cytotoxicity. In this study, scaffolds which was composed of chitosan, alginate and gelatin were cross-linked by using heat treatment instead of cross-linking agent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ross-linked scaffold were investigat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alysis confirmed that cross-linking of heat-treated scaffold was formed via amide or ester linkage between the polymer chains. The heat-treated scaffold had interconnected pores with mean diameter of 100~200 m and showed more than two fold increase of water uptake in comparison with chemically cross-linked scaffold. Tensile strength of the heat-treated scaffold increased up to 130% compared to non cross-linked scaffold and average maximum elongation was 11.3%. The porous cross-linked scaffold with the improved mechanical property may be suitable as a biocompatable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팔라듐 합금 수소 분리막의 전처리에 관한 연구

  • Gang, Seung-Min;An, Hyo-Seon;Sin, Yong-Geon;Im, Seul-Gi;Kim,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197-197
    • /
    • 2011
  • 고온 스퍼터 공정과 구리 리플로우 공정을 통해 다공성 니켈 지지체에 팔라듐-구리-니켈 삼원계 합금 수소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스퍼터와 같은 물리적 증착법은 주로 주상정 형태로 증착되기 때문에 다공성 니켈 지지체 표면의 수마이크론 내외의 기공이 존재할 경우 다공성 니켈 지지체에 기인한 많은 기공들 때문에 스퍼터 증착에 영향을 주어 수소 분리막 표면에 기공들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 균일한 증착이 이루어지도록 다공성 지지체 표면의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퍼터 코팅에 의한 균일한 팔라듐 금속층 형성하고 표면에 미세기공이 없는 수소 분리막을 제조하기 위해 다공성 니켈 지지체를 니켈도금, 알루미나 분말 주입 및 미세연마 전처리 공정을 통하여 다공성 니켈 지지체의 표면기공들을 매립하여 치밀한 팔라듐 합금 층을 형성하였다. 전처리를 하지 않은 다공성 니켈 지지체는 팔라듐 및 구리의 고온 스퍼터 증착 및 구리 리플로우 공정에 의해 표면 기공을 막을 수가 없었고 수소분리기능이 없어 수소 분리막으로 역할을 하지 못했다. Al2O3 분말 주입 전처리 공정을 한 다공성 니켈 지지체에 팔라듐 및 구리 고온 스퍼터 증착과 구리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소 분리막은 다공성 니켈 지지체에 기인한 기공을 메우기 위해서 팔라듐 합금 층이 두꺼워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니켈도금 전처리 공정을 한 다공성 니켈 지지체에 형성한 수소 분리막은 우수한 선택도를 가졌으나 도금 전처리에 사용된 $2{\mu}m$ 두께의 니켈층이 수소의 확산을 방해하는 저항막 역할을 하여 수소 투과도가 3.96 $ml{\cdot}cm-2{\cdot}min-1{\cdot}atm-1$으로 낮게 나타났다. 미세연마 전처리 공정을 한 다공성 니켈 지지체에 형성한 수소 분리막 역시 우수한 수소 선택도를 가졌으며, 수소의 확산을 방해하는 저항막이 존재하지 않아 13.2 $ml{\cdot}cm-2{\cdot}min-1{\cdot}atm-1$의 우수한 수소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Perforated Tube and Perforated Tube Muffler (다공관 및 다공형 소음기의 음향학적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Yoon, Doo-Byung;Kim, Yang-Han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62-72
    • /
    • 1995
  •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perforated tube muffler are studied in terms of non-dimensional wavenumber ka and admittance-ratio AZ. This study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perforated tubes having uniform hole distribution along the length but also the case of having non-uniform hole distributions. The acoustic hole impedance and transmission loss of perforated tube of which has various hole distributions were measured.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ransmission loss of perforated tube is a function of non-dimensional wave number ka and admittance-ratio AZ. The transmission loss of perforated tube muffler is predicted by the numerical method which is based on Sullivans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ones.

  • PDF

유동상 코팅공정을 이용한 금속 중공체 제조

  • Kim, Yong-Jin;Lee, Jae-Uk;Yang, Sang-Se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11a
    • /
    • pp.18.1-18.1
    • /
    • 2009
  • 금속 다공체는 자동차, 선박, 건축 등의 분야에서 구조물이나 충격흡수제 등으로 응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일반 금속 구조물에 비해 가볍고 플라스틱에비해서는 강한 장점을 지닌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금속 다공체는 발포 주조공정으로 제조된 알루미늄으로서, 철계 합금에 비해 가벼운 장점을 갖지만 강도가 상당히 떨어지고 가격이 높은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대신 철계 합금으로 다공체를 제조하고자 하였고 제조방법으로는 주조공정 대신 분말공정을선택하였다. 분말공정은 구형 스티로폼을 금속분말 슬러리로 코팅한 후 스티로폼을 제거하여 낱개의 금속중공체(Metallic Hollow Sphere)를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중공체를 뭉쳐 성형함으로써최종 형상의 다공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체는 주조공정으로 제조된 다공체보다높은 강도를 나타내며 낱개의 중공체는 성형공정을 거치지 않고 필터나 충진재 등의 새로운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