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에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3초

일주일 양잠과 다회육

  • 양성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1-74
    • /
    • 1992
  • 우리나라 양잠의 안정적 성장 발전을 위해서는 생산기반의 재정비 및 호당 양잠 규모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생산체계의 획기적인 탈바꿈의 하나로 애누에 공동육을 함으로써 농가에서 누에의 사육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시급히 요청된다고 림은 "잠사업이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적 대응방안"에서 주장한 바가 있었다. 1. 전제조건 1) 애누에 공동육이 꼭 이루어져야 한다. 2) 뽕밭 생산성이 저해 받아서는 안 된다. 3) 성력 기계기구 개발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4) 가장 중요한 것은 잠작안정이다. 5) 각 잠기별 표준관리된 잠종이 공급되어야 한다. 6) 각 수견 시기에 맞추어 고치공판이 이루어져야한다. 2. 누에 사육시간 선정 1) 뽕나무 생리를 감안한 가지뽕 수확법에 따른 누에 사육기간은 춘잠기는 5월 하순부터 6월 중순까지이고 추잠기는 9월 초순부터 하순까지이다. 2) 병충해 방제관리상으로는 하잠 및 초추잠만이 문제점이 있다. 3) 잠작에 따른 사육기간은 춘잠기는 5월 하순부터 6월 중순까지이며 추잠기는 9월 초순부터 중순까지잠작이 양호하다.(중략)

  • PDF

농약오염 뽕이 누에와 고치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the Influence of Agricultural Chemical Contaminated Mulberry Leaf on Silkworm Rearing and Cocoon Quality.)

  • 유재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3-100
    • /
    • 1974
  • 농약으로 오염된 뽕을 누에에게 급여했을 때 누에의 사육성적과 견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살충제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과를 얻었다. 1. 1,000배액의 살충제를 뽕잎에 살포한 후 25일 자연 방치하였다가 급여하여도 감잠비율이 증가하였다. 2. 농약오염뽕의 누에첨식사육결과 사육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살충제별로 차이가 있다. 3. Lebaycid의 첨식구에서는 탈항잠이 출현하였다. 4. 농약오염뽕의 누에첨식사육은 불정형견과 이상견사의 원인이 된다.

  • PDF

노랑테 불나방과 숯검은 밤나방으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의 형태적 성상 및 누에에 대한 감염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ectivity of Microsporidian Isolates Derived from Yellow-hind Winged Arctiid, Eilema griseola (Hubner) and Cutworm, Agrotis tokionis Butler, to Silkworm Larvae)

  • 김한수;채수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7-31
    • /
    • 1991
  • 노랑테불나방과 숯검은밤나방으로부터 미포자충을 분리하고 이들의 형태적인 성상과 누에에 대한 감염성을 조사하였다. 1. 노랑테불나방과 숯검은밤나방 외 6종의 야외곤충으로부터 8종의 미포자충이 분리되었으며 노랑테불나방와 숯검은밤나방으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들의 크기는 각각 2.6$\mu$$\times$1.5$\mu$, 3.8$\mu$$\times$2.0$\mu$였다. 2. 노랑테불나방과 숯검은밤나방으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들은 누에에 감염성을 나타냈으나 벼잎벌레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은 누에에 감염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3. 노랑테불나방과 숯검은밤나방으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들은 누에에 있어서 경란전달 전염은 되지 않았으나 노랑테불나방에 감연된 누에 나방이의 산란수도 적고 상태도 불규칙적이었다.

  • PDF

1984년도 추잠기 잠병발생 실태조사 (Survey of Silkworm Disease Occurrence in Autumn Rearing Season, 1984)

  • 채수군;박대양;조세연;이길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2-36
    • /
    • 1984
  • 전국 621개 양잠시범부락의 84가을 누에병 발생율과 그 원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누에 사육 기간중 누에병 발생율은 약 17%이었다. 2. 누에병 종류별 발생율은 농병(38.5%), 경화병 (20.3%), 연화병(17.9%) 및 쉬파리병 (9.4%)의 순이었다. 3. 누에병은 종잠기보다 장잠기 이후에 주로 발생하였다. 4. 누에병 발생의 주원인은 기상환경불량, 농약피해 및 소독불량이었고, 엽질불량, 사육기술부족 및 공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 PDF

유당, 카세인, 및 요소의 경구투여용 누에병치료약 부형제로서의 응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bility of Lactose, Casein, and Urea for the Silkworm Rearing Industry as the Useful Vehicles in a Series of Attempts to find Some Therapeutic Agents that can be administered orally for treating Silkworm Diseases)

  • 이장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3-139
    • /
    • 1975
  • 경구투여용 누에 병치료약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적으로 적용하려면 필연적으로 이러한 치료약물에 대한 부형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본인은 이러한 효용의 부형제로서 유당, 카페인 및 요소를 추정하고서 이들 세가지 약제의 경구투여용 누에병치료약의 부형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 실험을 1974년 춘잠기, 1975년 춘잠기 및 1975년 추잠기의 세차례에 걸쳐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잠실에서 실시했다. 1974년 춘잠기에는 4령기 5령기에 걸쳐, 1975년 춘잠기와 추잠기에는 각기 5령기 동안에 유당 카세인 및 요소를 투여량과 투여회수를 달리하면서 누에유충에 투여하여 이들 세가지 약제의 누에유충발육에 미치는 영향과 고치만들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유당은 실험관찰 한 모든 조건에 있어서 누에유충발육과 고치만들기에 사실상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카세인은 이틀 걸러 한번씩 투여하는 경우는 대체로 무난했으나 모든 투여조건에 있어서 비정상고치의 발생이 비교적 많았다. 그리고 요소는 대체로 모든 투여조건에 있어서 누에유충의 발육을 억제했다. 유당, 카세인 및 요소의 누에유충발육과 고치만들기에 미치는 영향은 누에의 암수별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것으로 보였다. 이들 세가지 약제의 실험적 누에병 치료에 있어서의 부형제적 효과와 견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앞으로 계속해서 검토해 보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PDF

인간 유래 Stem Cell Factor (hSCF) 재조합단백질이 발현되는 누에형질전환체 제작 (Construction of Transgenic Silkworms Expressing Human Stem Cell Factor (hSCF))

  • 김성완;윤은영;김성렬;박승원;강석우;권오유;구태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26-173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누에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재조합단백질 대량생산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실험에서는 hSCF유전자를 이용하여 누에에서 재조합단백질을 생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piggyBac 전이벡터는 hSCF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위해 초파리 유래의 dHsp70 promoter를 사용하였고, EGFP marker유전자는 3xP3 promoter로 발현을 조절하였다. 총 1,020 개의 누에알에 microinjection 하여 G1 세대에서 22 bloods의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고, 선발된 누에형질전환체는 초기배 단계의 눈과 신경조직, 유충과 번데기 그리고 성충의 눈에서 GFP 형광을 관찰 할 수 있었다. hSCF 재조합단백질의 발현은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inverse PCR 분석을 통해서 누에 게놈에 전이벡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실험 결과에서 hSCF 재조합 단백질이 누에에서 생산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록 누에에서 생산된 hSCF 재조합단백질의 생리활성에 대한 실험이 추후에 요구되지만, 이러한 실험결과는 piggyBac 전이벡터와 microinjection 법으로 누에에서 고부가가치의 재조합단백질을 대량생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누에를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생체반응기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APD 마커를 이용한 멧누에와 집누에 계통간의 분자적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Molecular Relationships Between Bombyx mandarina and Bombyx mori Strains Using RAPD-Markers)

  • 황재삼;이진성;구태원;강현아;손해룡;김호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26-430
    • /
    • 1998
  • 본 연구는 RAPD마커를 이용, 멧누에와 집누에의 분자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공시한 35개의 primer에서 166개의 RAPD마커를 얻었으며, 이들 마커를 UPGMA에 의해 분석한 결과, 멧누에와 분자적 유사계수가 가장 낮은 품종은 잠305였고, 가장 높은 품종은 Bibaekjam이었다. 또한, 분자적 유사계수 0.55에서 멧누에와 집누에 계통군으로 분류되고, 0.60에서 3개의 아군 그룹과 2개의 독립개체로 분류되었다. 제1아군에는 J111(일본종계),$pnd^{ps}$(일본종계), Bibaekjam(일본종계)이, 제2아군에는 Galwon(중국종계), C18(중국종계), od yujam JAM306(중국종계), C108(중국종계)이, 제3아군에는 R-hwang(중국종계)이 포함되어 있었고, zebra(유럽종계)와 JAM305(일본종게)는 독립개체로 분류되었다.

  • PDF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Using Silk-gland Powder of Silkworm)

  • 전정우;권해용;조유영;박명기;손용호;이희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3-169
    • /
    • 2012
  • 본 연구는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트윈케이크 및 팩트용 화장품 소재로서의 특성을 아미노산 분석, 항산화, 보습 및 탄력 효과 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시험제형의 아미노산은 serine (26.77 %), aspartic (15.47 %), glycine (9.62 %) 등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serin은 누에분말보다 150 % 이상 함유하고 있었다. 누에생실샘 미세 분말 함유 시험제형이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보다 입자 크기가 작음을 확인하였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한 시험제형이 비교제형보다 피부 보습력과 탄력성에서 각각 257.2 %와 181.15 %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항산화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및 탄력성을 높인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화장품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