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비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누비공신티그라피를 이용한 기능적 누도폐쇄의 진단 (Diagnosis of Function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Using Dacryoscintigraphy)

  • 임현욱;손형선;김의녕;정용안;김성훈;정수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08-515
    • /
    • 2000
  • 목적: 임상적으로 기능적 누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누도폐쇄의 진단과 폐쇄부위의 결정에 누비공신티그라피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루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증상에 관계없이 양안에 주사기법을 시행하여 누액배출계의 개방이 있는 환자 18명 35누액배출계을 대상으로 누비공신티그라피를 시행하였다(연령 분포 $37{\sim}76$세, 남자 8명, 여자 10명). 결과: 총 35예의 누액배출계에 대한 누비공신티그라피 검사 중 기능적 누도폐쇄가 의심되었던 29예 중 22예(75.8%)에서 누도폐쇄가 있었다. 이중 누낭 전 폐쇄가 7예(31.8%), 누비관전 폐쇄가 9예(40.9%), 그리고 누비관내 폐쇄가 6예(27.3%)였다. 결론: 누비공신티그라피는 기능적 누도폐쇄의 진단과 폐쇄부위를 평가 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눈꺼풀의 누도에 대한 펌프 작용의 부전을 유발할 수 있는 안면신경마비가 있거나, 노화 현상으로 인한 눈꺼풀의 늘어짐이 증가한 경우 누도폐쇄의 진단에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 PDF

누비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나비 모티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lothing Design applying Quilt - focused on a butterfly motif -)

  • 신혜원;김정혜
    • 복식
    • /
    • 제50권7호
    • /
    • pp.75-96
    • /
    • 2000
  • Modern clothing is approached in the level of art, and it becomes the means of expressing individuality in modern society uniformed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ociety. In this modern society, modern men need the recovery of humanity and expectations of handcrafted skills for the succession of tradition culture. Prior to expressing individuality, we should examine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ombine it with western culture. Quit started to be used for practical purpose such as life items, but it is expanded to the fields of art. Used in dress and its ornaments design, quilt is often applied to the addition of aesthetic factors or cubic material feelings by transforming its warming effect. Hereb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create high value added modern dross and its ornaments design by expressing the modern clothing is approached in the level of art, and it becomes the means of expressing individuality ro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quilt, and applying the color combination and the surface of butterfly wings to dress and its ornaments desig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concept of quilt started for practical purposes, but it is expanded to decoration in modern times, and it is confirmed that quilt can be variously applied to handcrafted modern design. 2. Quilt removes the plane character of textile and it riches the three-dimensional material of dress and its ornaments. Apply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expression of transparent wings were possible with 3 transparent layers of textile. 3. The spledid color of butterfly wings are expressed by coloring oganza and felt, and the various colors of felt showed rich color gradation. 4. The form and pattern of butterfly wings are applied as modeling form and line, and the transformation. repetition and expansion of unit forms determined the form of quilting lines. By designing the characteristics of back wings for the composition line of clothing, the form characteristics of a motif could be emphasized. 5. By using felt, oganza, Damdam yarn and ostritch feathers in expressing butterfly wings, the warm material of Linbun is felt, and the tip hair of wings are expressed by croche techniques using Damdam yarn.

  • PDF

정상 개에서 누비공신티그라피의 적용 (Feasibility of Dacryoscintigraphy in Normal Dogs)

  • 조영권;이기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9-564
    • /
    • 2010
  • 인의학에서 비루관의 기능적 폐쇄 검사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비루관신티그라피 검사를 정상 비글견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누비공신티그라피는 정상적인 비루관 개통이 임상적으로 확인된 6마리 비글견에서 시행하였다.정면상의 양측 눈을 100초 동안의 타임세팅으로 한 후 5분, 10분, 20분 영상을 얻고자 하였다. 20분영상에서 누관의 개통이 관찰되지 않으면 30분. 45분. 60분 지연 영상을 얻었다. 신티그라피 이후 획득한 각 영상에서 좌측, 우측의 눈물세관, 누낭, 비루관의 관심영역 (ROI)를 그린 후 각 각의 계수율을 측정한 후 시간별 계수율 표를 구하였다. 20분 내 개통률은 전체 12개 비루관 중 10개를 나타내어 검사개체 중 83.3%를 나타내고 있으며 30분내 개통률은 12개중 11개를 나타내어 개통률은 91.6%이다. 정상 개에서 누비공신티그라피의 영상은 개 비루관의 해부학적, 기능적 누도폐쇄의 진단법으로 유용하다고 판단되며 임상적인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누비기법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색실누비기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using Quilting Technique - Focused on the colored tread quilting technique -)

  • 오가영;김정호
    • 복식
    • /
    • 제60권10호
    • /
    • pp.80-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containing Korean beauty with modern sense by applying quilting with dyed threat among Korean traditional quilting works. Quilting with dyed thread using various colored thread expresses curve, straight and oblique lines harmoniously, is mainly used to make household goods such as a pouch, a spectacle case and a quilting pocket and a circular pattern, a cross pattern and a geometric pattern are shown in this kind of quilting. As for sewing method, half backstitch and full backstitch are used, and products made by this method are pouches stuffing pads in cotton or silk and quilting it finely to make patterns with various colored threads of stuffing cotton between linings and spectacle cases, a packet of needles and case of spoon and chopsticks which give various feelings according to arrangement of colors. Design of cultural products by applying the beauty of curves of hanbok, sleave-seam of jeogori, trimming line of dangeui. We expect that various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convenience will be developed continually by introducing the artistic strength of quilting with dyed thread to practical life.

전통 누비에 관한연구-한국과 일본을 중신으로- (A Study on Traditional Quilting-The Focus of Korea and Japan-)

  • 남윤자
    • 복식
    • /
    • 제50권
    • /
    • pp.161-182
    • /
    • 2000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quit has been used for warmth supporting materials protection religious uses decoration and giving stability of shapes. Quilt is developed from monk's robe of lags and the word 'nubi' is originated form 'nabeui' in both Korean and Japan. Korean quilt was used mainly for warmth: Japanese one was used for warmth and supporting materials. The techniques used for traditional Korean quit were parallel vertical hand stitches. On the other hand Japanese traditional quilt uses various motifs of sashiko which is similar to embroidery and named by region. Korean quilt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by the stitch intervals: Fin quit(Jan unbi) Medium quilt(Jung nubi) and Wide quilt(Demun nubi). Japanese quilt has been developed in east-north region and can be grouped into sashiko kogin and hishizashi by motifs of quit. Korean quilt costumes are stuffed with cotton between the outer fabrics and linings and stitched vertically on the fabrics Main fabrics used were silk and cotton. Japanese quilt costume uses cotton yarns for stitching on flax or cotton fabrics used were silk and cotton. fabrics and main uses of the quilot costumes were sorking clothes of working classes. Both Korean and Japanese quilt costumes contain of family's health happiness and longevity. In summary Korean quilts use two layers of fabrics and stuff them with cotton and stitch parallel vertical i\lines to provide warmth Japanese quilt are sashiko which is stitches of strand in various shapes using cotton yarns. differ by region and are made for warmth and supporting materials.

  • PDF

전통 색실누비 기법의 현대적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rn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Colored Thread Quilting Technique)

  • 이미석
    • 복식
    • /
    • 제65권2호
    • /
    • pp.92-104
    • /
    • 2015
  • Colored thread quilting is sewed up padded with Han-Ji (한지, korean paper) string using colored thread. This showed up geometric pattern with repeated line of straight, diagonal, curve. According to geometric pattern, Colored thread quilting showed visual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anufacturing techniques, kinds, use, shape of traditional colored thread quilting. furthermore, This study has produced fashion items that can be used in modern life by using techniques of colored thread quilting. According to the fashion items, It present succession and utilization of techniques of colored thread quil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It studied traditional colored thread quilting techniques through the documents consideration, previous researches and by surveying antiquity in the museum. 2nd, It tried to make a reproduction about techniques of traditional colored thread quilting. 3rd, This study has selected and developed item and design of fashion items that can be used pragmatically in modern life by using techniques of colored thread quilting. And Fashion items that have been produced in this study is a total 10 kinds that was composed of Vest 4ea, Pendant & Brooch 6ea. Colored thread quilting is a unique technique of thread quilting that combines powerful practicality with decorativeness only in korea. These technique hope that it can developed more variety of items in modern life.

한국 지방 도시 공공자전거 정책의 도입과 지속 요인 -창원시 누비자 사례를 중심으로-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troduction and Maintenance of Bike Sharing Scheme in Korean Local Cities: The Case of Nubijia in Changwon)

  • 신상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9-108
    • /
    • 2016
  • 이 논문은 한국에서 지방 도시들이 왜 제3세대 공공자전거시스템을 도입하는지 그리고 그 정책을 어떻게 유지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가장 먼저 시도되었고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되었다고 평가받는 창원시의 누비자를 사례로 선택하였다. 누비자의 성공적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비자는 창원시가 중화학공업도시로서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미래형 녹색 도시로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환경수도를 선언하였을 때 그 구체적인 실행 전략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둘째, 시장은 선진국 친환경도시의 환경정책 및 생태교통정책을 학습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였고 여기에 한국의 발달된 IT기술이 접목되어 성공적인 공공자전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셋째, 하향식 정치과정으로 인해 시정부가 시민사회나 의회의 참여 없이 독자적으로 공공정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 또한 시장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누비자가 지속되게 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시장과 시정부가 누비자를 국내외적으로 적극적으로 홍보하였고 생태교통연맹 의장 도시 역할을 수행하는 등 누비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을 병행하였으며 그 결과 누비자와 창원시가 국제적 명성과 관심을 받게 되어 정책에 있어서 일종의 '돌아갈 수 없는 지점'을 통과하였기 때문이다. 향후 누비자의 발전을 위해 누비자와 관련된 정책 과정에서 시정부 뿐 아니라 시 의회 및 시민사회의 다양한 행위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수반되어야 한다.

  • PDF

나비의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수용성부직포에 의한 누비 응용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ied by Butterfly Image -Focused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Nubi by Watersoluble Paper-)

  • 허진영;김혜연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6호
    • /
    • pp.9-14
    • /
    • 2006
  • 민화나 고화에 많이 등장하는 호랑나비나 제비나비형태의 그림은 다수 있지만 한자 문화권이라 그런지 '나비'라는 말은 늦게 나타난다. 나비라는 말은 나불나불 나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고서에 호접(胡蝶:범나비), 황접(黃蝶:노랑나비) 등으로 나타나다가 1481년에 나온 두시언해(杜詩諺解)에서 나비 또는 나뵈로, 1527년에 나온 훈몽자회(訓夢字會)에는 나뵈로, 숙종 시대(1675$\sim$1720)에 나온 시몽언해물명(時夢諺解物名)에는 남이로 나온다. 그 후로는 나?????? 또는 나비로 불러오다가 현재 나비가 표준말이 되어 쓰여 지고 있다. 아직도 지방에 따라서는 나부 또는 나베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나비는 연인의 사랑 기쁨 행운 장수 영원 등의 의미와 아름다운 자태에 마음이 끌려 예로부터 시와 그림으로 표현되어 그 아름다움을 감상하거나, 공예품, 장신구등에 응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나비의 형태와 색채를 분석하고 수용성 부직포를 이용한 누비 응용기법을 적용하여 나비의 형태미, 날개시맥의 섬세한 조형미를 표현하였으며 가볍고 드레이프성이 좋은 기본소재를 사용함으로서 나비의 날개 짓이 주는 율동적 움직임을 용이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상기의 표현 기법이 나비 이미지의 미적표현에 적합함과 아울러 디자인 전개에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나비 날개 윤곽선의 부드러운 곡선은 인체의 선적 조형미에 잘 부합되어 의상과 인체가 조화롭게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누비 응용 기법이 가진 특성들이 소재 표현기법으로 다양화 될 수 있음을 깨달았으며 누비 기법의 응용을 통한 혼합기법이 의상에 적용됨으로서 오뜨 꾸뛰르(Haute Couture) 적인 고급스러운 작품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 PDF

17세기 동래 정씨 흥곡공파 일가 묘의 출토복식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Graves of the Tong-Rye Jung Clan in the 17th Century)

  • 이은주
    • 복식
    • /
    • 제53권4호
    • /
    • pp.71-85
    • /
    • 2003
  • The costume of the 17th Century based on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graves of Tong-Rae Jwg Clan are studied in this paper. The remaining were used for filling up the coffin consists of 1 piece of Dopo(도포) from the grave of Jung, Kwang-Kyung, 7 pieces of Joongchimak(중적막), 1 piece of Sochng-eui(소창의), and 1 piece of pants from the grave of Jae-Hoo Jung, grand-son of Kwang-Kyung Jung. From these remainings, this study newly reveals or confirms : 1) Standards of transition Procedure of mid-l7th century's Dopo with gussets, 2) Standards of transition procedure of late 17th century's Joongchimak with wide sleeves and side slits, 3) Standards of transition procedure of late 17th century's Sochang-eui with narrow sleeves and side slits, 4) Typical style of pants in the 17th century, 5) The constructive methods for quilted fab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