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가침투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8초

안성천 상류유역에서의 수문관측자료에 의한 침투능 곡선식의 결정 (Determination of Infiltration Capacity Based on Observed Hydrological Data for the Upper Ansung Stream Basin)

  • 안태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9-106
    • /
    • 2010
  • 본 연구는 안성천 상류유역에서 관측된 강우량 및 유출량을 근거로 하여 단위도와 침투능 곡선식을 결정하고 유역내 침투량 측정에 의한 침투능 곡선과 비교하였다. 누가침투량 곡선식은 단위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침투량 곡선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다음 두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안성천 공도수위관측소에서 계측된 유량과 유역에서 계측된 강우량을 근거로 하여 침투지표법에 의한 유역의 평균침투능 및 Kostiakov 형 누가침투량 곡선을 산정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유역내 4개지점을 선정하고 더블링 침투계를 이용하여 시간별 누가침투량을 측정하고 누가침투량 곡선식을 산정하였다. 두가지 방법으로 구한 Kostiakov 형 누가침투량 곡선에 의한 침투량 양상을 비교하였다.

지표면과 투수성 보도 블록의 침투능 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Determination of Infiltration Capacity of Ground Surface and Pervious Pedestrian Blocks)

  • 유경희;변천일;김경섭;안태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69-76
    • /
    • 2009
  • 침투는 지표면에서 토양속으로 물이 침입하는 현상으로 지하수위 및 강우시 지표면 유출량에 영향을 미친다.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침투량은 감소한다. 이러한 침투량의 감소는 하천수량의 감소 또는 하천 건천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경대학교 교내 3지점에서 침투량 측정을 통하여 침투능 및 누가침투량 관계식을 결정하였다. 침투량 실험용 투수성 보도블록을 3종류로 제작하여 지표면 3개 지점에서의 보도블록에 관한 침투능 및 누가침투량 관계식을 결정하였다. 3종류의 보도블록 중 하나의 침투능은 지표면 침투능과 거의 동일하게 관측되었다. 각 지점의 침투능 및 누가침투량 관계식은 Kostiakov 형식으로 유도하였다. Kostiakov 형의 종기침투능을 근거로 하여 Horton형 침투능 및 누가침투량을 결정하였다. 또한 Horton 형 침투능 관계식에서 토양의 종류를 반영하는 매개변수 값을 결정하고 토양의 종류를 추정하였다.

무차원 홍수파형을 이용한 침투해석 연구 (A Study of Seepage Analysis Using Design Dimensionless Flood Wave)

  • 조창대;조정석;김경훈;윤종수;이재운;이재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5-439
    • /
    • 2011
  • 최근 홍수로 제체누수 및 지반누수에 의해 제방이 피해를 입는 사례가 증가하였다. 특히 2000년대부터 Piping 현상으로 제방이 붕괴되는 일들이 다수 발생하고 있어 기존 제방의 안정성 검토와 신설 제방 설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제방 침투해석은 2차원 비정상 침투해석을 하고 있으나 이 경우 외력 조건으로 외수위에 대한 하천의 홍수파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홍수파형 유도를 위하여 금호강 상류지점인 금호 수위관측소에서 설계 홍수위 및 시간별 홍수위 등을 조사하여 과거 홍수사상의 시간별 수위곡선을 분석하였다. 수위곡선은 Huff의 4분위법에 따라 무차원화 시키기 위하여 각 홍수위의 누가지속시간과 누가 홍수위를 구하고 Weibull분포의 도시위치 공식을 적용하여 10~90% 무차원 누가곡선을 도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통계 해석상 중앙값을 나타내는 50% 무차원 누가곡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50% 무차원 누가곡선을 사용하여 무차원 설계 홍수파형을 유도하였다. 새로이 유도한 무차원 설계 홍수파형을 외력 조건으로 하고, 금호강 유역의 인근 제방을 모형으로 하여 SEEP/W 프로그램으로 2차원 침투해석을 실시함으로써 그동안 외수위를 계획 제방고까지 인위적으로 연장시켜 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설계 홍수파형을 유도하여 하천제방 설계 및 기존 제방의 안정성 검토에 활용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침투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저감효과 개선에 관한 실험 연구 : 누가침투량 분석에 의한 침투-저류시스템 제안 (An Experimental Study on Improvement of the Effect for Runoff Reducing Facilities Using Infiltration)

  • 임장혁;송재우;박영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13
    • /
    • 2009
  • 최근 지속적이고 건전한 물 관리를 위하여 침투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이 고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침투형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실제 적용에는 많은 문제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에 대한 개선 방법으로 침투-저류 시스템(ISS)을 제안하고, 수리모형 실험에 의해 우수유출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 제안된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침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강우 조건과 택지 개발 및 도시화를 고려하기 위해 실제 택지 개발시 이용되는 표면재료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실험결과에 따라, 하부층의 누가 침투량에 의해서 침투-저류 시스템(ISS)은 부가적인 저감효과를 나타냈으며,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누가 침투율도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침투-저류 시스템(ISS)은 침투율이 증가하므로 기존 우수유출 저감시설보다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침투-저류 시스템(ISS)의 우수유출저감시설로써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향후 관련 연구가 수행되면 침투-저류시스템(ISS)은 실제 우수유출 저감시설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서울 북부 지역의 지하수 함양량산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at the Northern Part of Seoul City)

  • 김병우;정상용;강동환;심병완;정상원
    • 대한지질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질공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75-284
    • /
    • 2002
  • 서울 북부지역에 위치하는 북한산 일대의 지역단위 지하수 함양량 산정에 대하여 물수지 분석법과 SCS-CN방법을 이용하였다. 물수지분석법에는 Coutagne 공식과 Turc 공식을, SCS-CN방법에는 직접유출율과 누가침투율을 계산하여 평균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물수지분석법인 Coutagne 공식과 Turc 공식에서 평균 21.36%가 지하수 함양량으로 산출되었다. SCS-CN 방법에서는 직접유출율과 침투율을 계산하여 산정한 결과 지하수함양량은 30.07%로 추정되었다. 여기서 북한산 일대의 기반암을 경계로 상당량이 기저유출(baseflow)의 형태로 유출되기 때문에, 기저유출량 10.9%을 제외한 19.17%를 순수 지하수함양량으로 결정하였다. 누가침투율을 이용한 지하수함양량은 약22.0%로 산정되었다. 물수지분석법과 SCS-CN 방법들을 이용하여, 북한산 지역의 지하수 함양량을 산출한 결과 평균 약 20.84%로 산정되었다.

  • PDF

복잡한 지형에 있어서 디지털 지형모델을 이용한 유출량 계산 (Accumulation of Streamflow in Complex Topography by Digital Terrain Models)

  • 전무갑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7-5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지표면유출과 중간유출의 수문학적과정을 함께 모의발생 시키는 합성 유역모델이 제시되었다. 본 모델은 디지털지형모델과 상호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지형이 복잡한 지역에서도 유출이 시간과 공간적으로 누가계산되어 이 분야의 조사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모델을 이용 유역의 불투수층 위에 분포해있는 토양의 중간계층과 토양수분의 계산 및 침투/용탈의 과정을 모의 발생시킬 수 있다.

  • PDF

선행강우가 존재하는 다공성 매질에서 이력현상을 고려한 비포화 흐름 해석 (Analysis of Unsaturated Flow Considering Hysteresis in Porous Media under Antecedent Rainfall)

  • 박창근;선우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137-1143
    • /
    • 1994
  • 비포화 흐름에서 모세관 이력현상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선행강우가 존재하는 지표면 경계조건하에서 이력현상을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종속변수가 모세관 압력수두인 Richards식을 수치해석하여 습윤전선의 전진 경향, 함수량 재분포현상, 침투율, 누가침투량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비포화 흐름을 해석할 때 모세관 이력현상의 영향은 무시되어질 수 없고, 보다 정확한 비포화흐름의 해석은 이력현상을 고려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만약 비포화 흐름을 해석할 때 이력현상을 고려할 수 없다면, 주마름곡선보다 주젖음곡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Application of Storage Function Method with SCS Method)

  • 김태균;윤강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49-453
    • /
    • 2007
  • 1974년 한강홍수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한 이후로, 저류함수법을 근간으로 하는 홍수예경보시스템이 주요하천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1961년 목촌릉황(木村俊晃)에 의하여 제안된 저류함수법은 저류함수를 기본식으로 이용하고 있다. 저류함수법에서는 유역을 유출역과 침투역으로 구분하고, 누가우량이 포화우량을 초과하기 전까지는 유출역에서만 유출이 발생하고, 포화우량을 초과한 후부터 침투역에서도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이때 유출역의 면적이 일정하므로 유출률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유출역과 침투역의 유출량을 분리하여 계산하며, 이는 비선형저수지의 특성을 고려하면 불합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이용한 수정저류함수법을 제시하였으며, 유효우량은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낙동강유역의 위천을 대상으로 수정저류함수법을 적용하였으며, Kimura 저류함수법에 비하여 첨두홍수량 산정에 개선된 결과를 보였으며, 매개변수의 감소로 적용성을 개선하였다.

  • PDF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Application of Storage Function Method with SCS Method)

  • 김태균;윤강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7호
    • /
    • pp.523-532
    • /
    • 2007
  • 1974년 한강홍수예보시스템을 구축한 이후로, 저류함수법을 근간으로 하는 홍수예보시스템이 주요하천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1961년 목촌준황(木村俊晃)에 의하여 제안된 저류함수법은 저류함수를 기본식으로 이용하고 있다. 저류함수법에서는 유역을 유출역과 침투역으로 구분하고, 누가우량이 포화우량을 초과하기 전까지는 유출역에서만 유출이 발생하고, 포화우량을 초과한 후부터 침투역에서도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이때 유출역의 면적이 일정하므로 유출률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유출역과 침투역의 유출량을 분리하여 계산하며, 이는 비선형저수지의 특성을 고려하면 불합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이용한 수정된 저류함수법을 제시하였으며, 유효우량은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낙동강유역의 위천을 대상으로 수정된 저류함수법을 적용하였으며, 목촌준황(木村俊晃) 저류함수법에 비하여 첨두홍수량 산정에 개선된 결과를 보였으며, 매개변수의 감소로 적용성을 개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