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뇌영상

Search Result 90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utomatic Segmentation of the Interest Organ Region in CT Images Using Region Growing (CT 영상에서 Region Growing 기법을 이용한 관심 장기 영역의 자동 추출)

  • Bae, Ho-Young;Lee, Wu-Ju;Lee, B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526-530
    • /
    • 2006
  • 논문은 CT영상에서 영역 확장 기법을 이용하여 인간의 장기 중 뇌와 간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뇌와 간이 CT영상에서 비교적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였으며, CT영상에서 특정 장기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서 크게 초기 탐색 영역 결정 단계와 최종 장기 영역 단계로 나누어진다. 초기 탐색 영역은 CT영상 내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장기 영역과 관계없는 부분을 제거하고 특정 장기 영역만을 남겨 관심 장기 영역의 검출률을 높이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CT영상에서 비교적 높은 Gray Level을 가지고 있는 뼈영역인 두개골과 척추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초기 탐색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정 장기 영역의 추출은 ATID(Automatic Threshold Intensity Decision)를 이용한 이진화 단계, 모폴로지의 Opening 기법을 이용한 잡음제거 단계, Region Growing 기법을 이용한 특정 영역 추출 단계를 이용하는 과정을 거친다. 본 논문에서는 Region Growing 기법을 거친 다음 각각의 그룹 중에서 크기가 가장 큰 부분을 최종 특정 장기 영역으로 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국립전남대학교 부속병원에서 수집된 각각 뇌영상 100장과 간영상 100장을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해 관심 장기 영역을 추출했을 경우 약 91%이상의 높은 추출률을 보였다.

  • PDF

Automatic Tumor Segmentation Method using Symmetry Analysis and Level Set Algorithm in MR Brain Image (대칭성 분석과 레벨셋을 이용한 자기공명 뇌영상의 자동 종양 영역 분할 방법)

  • Kim, Bo-Ram;Park, Keun-Hye;Kim, Wook-H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2 no.4
    • /
    • pp.267-273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method to detect brain tumor region in MR images. Our method is composed of 3 parts, detection of tumor slice, detection of tumor region and tumor boundary detection. In the tumor slice detection step, a slice which contains tumor regions is distinguished using symmetric analysis in 3D brain volume. The tumor region detection step is the process to segment the tumor region in the slice distinguished as a tumor slice. And tumor region is finally detected, using spatial feature and symmetric analysis based on the cluster information. The process for detecting tumor slice and tumor region have advantages which are robust for noise and requires less computational time, using the knowledge of the brain tumor and cluster-based on symmetric analysis. And we use the level set method with fast marching algorithm to detect the tumor boundary. It is performed to find the tumor boundary for all other slices using the initial seeds derived from the previous or later slice until the tumor region is vanished. It requires less computational time because every procedure is not performed for all slices.

Adaptative Retrieval Method for Brain Image using Wavelet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적응적 뇌영상 검색 방안)

  • 구혜영;엄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447-452
    • /
    • 2001
  •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에서 질감정보는 이미지의 검색 속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의 이미지 속성으로서 질감 특징을 사용한다. 의료영상 MRI 중 특히 뇌영상의 검색에서 질감의 특징은 전체 이미지를 대상으로 한 전역 질감 특징 값과 종양이나 뇌출혈 부분 등 정상이 아닌 이상객체 부분의 지역 질감 특징 값을 3단계 웨이블릿 변환을 통해 추출하고 추출된 여러 개의 특징 중 검색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만을 선별하여 검색에 이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PDF

MR 뇌 영상으로부터 20대 한국인의 소뇌 부피 측정

  • 김태영;이법이;정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95-29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20대 남자 50명(23$\pm$2세)과 여자 50명(20$\pm$1세)의 MR 뇌 영상을 KAIST 뇌과학 연구센터에 있는 37 MRI 기기로 획득하였고 Brain Voyager(B/V)를 이용하여 소뇌의 부피를 측정하고자 한다. 남자와 여자의 뇌의 구조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남자의 전체적인 brain volume이 약 10% 크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성별에 따라 소뇌의 부피의 차이가 있는지도 검증하고자 한다.(중략)

  • PDF

Z-Score를 이용한 관류영상과 조영전후 감산에 의한 역동영상의 뇌관류 양상의 비교 관찰

  • 최순섭;오종영;남경진;이영일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1-171
    • /
    • 2001
  • 목적: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Z-score를 이용한 관류 영상과 조영전후의 감산에 의한 역동 영상의 관류 양상을 비교 관찰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젊은 환자 1명, Moya moya 환자 1, 중대뇌동맥 폐색 환자 1명, 외상후 증후군 1명, 뇌종양 1예를 대상으로 하여, 뇌의 routine 자기공명 영상과 함께 Gd-DTPA 0.1 mmol/kg를 급속 주사 후 자화율 대조 EPI 영상을 얻었다. 영상 기기는 Magnetom Vision(Siemens Medical Systems, Erlangen, Germany)이며, EPI 영상 지표들은 TR/TE는 0.8/29 msec, slice 두께 6 mm, slice 수 10, 화소수 128 $\times$ 128, FOV 215 $\times$ 215 mm, 영상획득 1 회, 1회 검사시간 1.32 초, 검사수 30 회로서, 총 검사시간은 40 초였다. 검사 후 영상처리(post processing)는 Magnetom Vision의 VB31D 자체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는데, 2-score를 이용한 관류영상은 조영제 유입전 영상들, 조영제 최대 유입기 영상들, 그리고 조영제 배출기 영상들 4-5 회를 각각 한 군으로 하여, Z-score 1.2에서 2.0 사이에서 여러번 반복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감산에 의한 역동영상은 조영제 도달 전의 영상으로부터 조영제 유입 후의 영상을 차례로 빼어서 영상을 재구성하였으며, 이들 영상을 재정리하여 각 단면의 시간 경과에 따른 관류 양상을 연속하여 관찰하였다 두 방법에 의한 영상 재구성은 각각 약 1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 PDF

The Brain Region Extraction Using Cellular Automata (셀룰러 오토마타를 이용한 뇌 영역 추출에 관한 연구)

  • 이승용;허창우;류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47-250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he extraction method for brain region using cellular automata from the brain MR image. In the first removing the background from the brain MR image, and then extracting the brain region by applying the cellular automata rule obtained from histogram analysis information. The results on som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SNR is 42.11(dB) on image quality and also the correlation factor is estimated 98.46%.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auto-diagnostics system.

  • PDF

Comparative Study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by Global Scaling Analysis (Global Scaling 분석방법에 따른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비교 연구)

  • Yoo, Dong-So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10 no.1
    • /
    • pp.26-31
    • /
    • 2006
  •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 of global scaling analysis on brain activation for sensory and motor functional MR imaging study. Materials and methods : Four normal subjects without abnormal neurological history were included. Arm extension-flexion movement was used for motor function and 1KHz pure tone stimulation was used for auditory function.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at 3T MRI (GE, Milwaukee, USA) using BOLD-EPI technique and SPM2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On data analysis, the brain activation images were obtained with and without global scaling by fixing other parameters such as motion correction and realignment. Results : The difference in brain activation between no scaling and global scaling was not large in case of right upper extremity movement (p<0.000001). For auditory test, brain activation with global scaling showed larger activation than that of without global scaling (p<0.05). Conclusion : A caution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analyzing functional imaging data with global scaling especially for functional study of small local BOLD signal change.

  • PDF

Visualization based on brain MRI using CUDA (뇌 MR 영상 기반 CUDA를 사용한 3차원 가시화)

  • Son, Ji-Heon;Jeon, Woong-Gi;Lee, Young-Seung;Seo, Won-Ho;Choi, Heung-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201-204
    • /
    • 2012
  • 최근 우리나라 사회가 고령화로 진행함에 따라 노인성 질환인 치매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뇌 MR 영상을 사용하여 치매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정 뇌 영역인 해마의 위축률을 기반으로 진단 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 위한 보조적 판별 시스템 개발의 예비 연구로써 뇌 MR 영상 데이터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는 것이 목적이며, 최근 대용량으로 획득되는 MR 영상을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CUDA를 사용한 병렬 컴퓨팅 구축을 하고 FPS(Frame Per Second)를 측정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The segmentation of brain in MRI using Speckle Reducing Anisotropic Diffusion (Speckle reducing anisotropic diffusion를 이용한 MRI에서의 뇌 영상분할)

  • Yun, Hyun-Joo;Lee, Joung-Min;Kim, M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4
    • /
    • pp.1-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인체의 머리 부분을 촬영한 자기 공명 촬영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에서 뇌 영역의 대뇌 피질 만을 분할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뇌의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할 경우에 영상 내에 함께 보여지는 두개골과 뇌척수액 등을 제외한 대뇌피질 영역을 분할하면 보다 효과적인 정보 분석 및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3단계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Speckle reducing anisotropic diffusion (SRAD)를 이용하여 영상 내에 존재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이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필터링된 결과를 이용하여 추출된 임계값과 사용자의 인터렉션인 씨드 포인트를 통해 영상분할을 수행하고, 세 번째 단계에서는 후 처리를 통해 분할 결과를 보완한다. 영상분할 결과의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현재 병원의 의료진들이 사용하고 있는 Mayo clinic사의 Analyze를 이용하여 분할된 결과와의 오류를 측정하였다. 또한 최종 결과에 대해 ultravis를 이용한 볼륨 렌더링으로 영상분할의 최종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The Role of Tc-99m HMPAO Brain Perfusion SPECT in the Psychiatric Disability Evalu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Traumatic Brain Injury (만성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정신의학적 후유 장애 평가에서 Tc-99m HMPAO 뇌혈류 SPECT의 역할)

  • So, Young;Lee, Kang-Wook;Lee, Sun-Woo;Ghi, Ick-Sung;Song, Chang-June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6 no.4
    • /
    • pp.232-243
    • /
    • 2002
  • Purpose: We studied whether brain perfusion SPECT is useful in the psychiatric disability evalu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traumatic brain injury (TBI). Materials and Methods: Sixty-nine patients (M:F=58:11, age $39{\pm}14$ years) who underwent Tc-99m HMPAO brain SPECT, brain MRI and neuropsychological (NP) tests during hospitalization in psychiatric wards for the psychiatric disability evaluation were included; the severity of injury was mild in 31, moderate in 17 and severe in 21. SPECT, MRI, NP tests were peformed $6{\sim}61$ months (mean 23 months) post-injury. Diagnostic accuracy of SPECT and MRI to show hypoperfusion or abnormal signal intensity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represented by NP test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Forty-two patients were considered to have cognitive impairment on NP tests and 27 not. Brain SPECT showed 71% sensitivity and 85% specificity, while brain MRI showed 62% sensitivity and 93% specificity (p>0.05, McNemar test). SPECT found more cortical lesions and MRI was superior in detecting white matter lesion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31 mild TBI patients were 45%, 90% for SPECT and 27%, 100% for MRI (p>0.05, McNemar test). Among 41 patients with normal brain MRI, SPECT showed 63% sensitivity (50% for mild TBI) and 88% specificity (85% for malingerers). Conclusion: Brain SPECT has a supplementary role to neuropsychological tests in the psychiatric disability evaluation of chronic TBI patients by detecting more cortical lesions than MRI.